Materials
공동체
ICH Materials 1,085
Audios
(16)-
옐람마(Yellamma) 신에 대한 기도
차우디케(chaudike)는 현악기다. 차우디케 음악은 카르나타카 지역 북부, 특히 수백만 명이 옐람마 여신을 숭배하는 다르와드(Dharwad) 인근에서 인기가 높다. 이들 노래는 자마당니(Jamadagni) 신과 부인 레누카(Renuka) 신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데, 카르나타카 지역에서 레누카는 옐람마 여신으로 알려져 있다. 수많은 신화가 결합하면서 레누카를 옐람마 여신으로 인식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레누카는 천민(Pariahs)과 같은 카스트의 하층 계급 사이에서 인기가 높으며, 이 트랙도 천민 계급의 공연을 담고 있다. 데바다시(Devadasi) 공동체가 레누카 신전에서 차우디케 음악을 포함하는 의식을 연행한다. 이들 노래는 자마당니, 레누카, 그리고 그들의 아들인 파라슈라마(Parashurama)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India 1938 -
닙 두오이 (Nhịp đuổi; 째오 가락)- 니(nhị) 독주와 째오 관현악단
닙 두오이(Nhịp đuổi)는 쩐 투 르루 돈(Trấn thủ lưu đồn)이라 불리는 째오 극에 나오는 곡 가운데 하나다. 이 곡은 타이빈(Thái Bình) 지역의 유명한 째오 예인인 미인 니으엉(Minh Nhương, Khuốt 출신)이 2현금 악기 니(nhị)으로 독주 연행한 것이다. 타이빈은 공동체 차원에서 연주되는 고대 민속 째오가 유일하게 보전되고 있는 지역이다
Viet Nam 1999 -
야프 전통 춤과 의복의 역사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섬의 전통 춤과 의복에 관한 이야기다. 전통 춤을 통해 주민들이 겪은 고난, 마을 간 관계, 사랑 등 다양한 주제를 풀어낸다. 수록된 이야기는 세대를 거쳐 지식을 전승하고, 몇몇 이야기는 춤에 사용된 가사와 단어를 통해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데 일조한다. 이는 과거의 사건과 상황을 기억하는 방식으로써 마을이나 인물, 공동체 등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통 의복은 성별과 신체적 특징에 따라 남성복과 여성복으로 구성되고, 특별한 행사 유무에 따라 평상복과 예복으로 나뉜다.
Micronesia 1989 -
와와! 와와! 부이 케이 드로세(부이와 드로세를 위한 자장가)
부이(할머니)와 드로세(해파리)라는 등장인물에 대한 자장가로 부아(Bua)와 바누아레부(Vanua Levu) 고유의 비둘기 종인 초켈로아(Coqeloa)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피지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 비둘기를 소켈로아(Soqeloa)라고 부른다. 가사는 노래를 부르는 아름다운 새의 일생을 서술하고 있으며 아기의 집, 마을, 씨족, 공동체, 시대, 공간, 문화, 유산, 역사 및 삶의 방식을 대자연 속에서 삶의 터전을 찾는 새에 비유하는 의미도 담겨 있다.
Fiji 1976 -
무함마드 막노동꾼의 함성
함성은 의례적인 행위일 뿐만 아니라 노동요의 일부다. 이 곡은 짐을 옮기는 등의 일을 하는 노동자들이 ‘아발레 비스밀라(Avale Bismillah)’를 외치는 소리를 담고 있는데, 이것은 무슬림들이 작업을 시작할 때 외치는 소리다. 케랄라의 어떤 공동체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India 1938 -
알고자(Algoza) 반주의 아히르 고알 기트 (Ahir Goal geet)
이 트랙은 마디아프라데시 주 아히르 사람들의 서사시다. ‘알고자’라는 바람구멍이 있는 트럼펫과 함께 연행된다. 가창을 하면서 순환호흡을 이용해 연주한다. 아히르 고알 기트는 자발푸르(Jabalpur) 지역 근처 아히르 공동체가 결혼식이나 기쁜 일이 있을 때 부른다. 원래 밤새도록 부르는 서사시의 일부분을 발췌해서 수록했다. 노래는 지고지순한 여성과 시집 식구에 관한 이야기다. 남편은 멀리 떠나면서 부인에게 “시어머니와 잘 쉬고, 시누이와 잘 놀고, 시동생에게 도움을 구해라” 라고 했다. 임신 중이었던 여성은 시어머니께 산파를 불러 달라고 하지만, 시어머니는 산파를 불러주기는커녕 여성에게 산에 가서 나무를 해오라고 한다. 나무를 묶을 끈도 없이 말이다. 신이 뱀을 보내 나뭇더미를 묶을 수 있게 해주어 여성은 무사히 나무를 가지고 돌아올 수 있었다. 아이가 태어났지만 시집 식구들은 아이이게 물도 주지 않고 우유도 주지 않았다. 이때 강가(Ganga)와 야무나(Yamuna) 강이 흐르는 방향을 틀더니 아이에게 와서 물을 주고 소가 와서 우유를 주었다. 이러한 기적은 여성이 남편과 재회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India 1982 -
야프 소녀들의 선춤을 위한 노래 ‘모그 마가르’
모그 마가르(Mo’og Magar)는 야프의 전통 노래로 야프 섬의 룰(Rull) 자치구인 바레바트(Balebat) 마을에서 소녀들이 서서 춤을 추는 동안 연행되었다. 이 노래는 기본적으로 공동체의 살아 계신 조부모에 대해 신에게 감사드리기 위한 곡으로, 이승에서 자손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장수를 기원한다. 또한 춤을 통해 소녀들은 자신들의 부모를 키워준 조부모와 현재의 자신들을 키워준 부모에게 감사를 표현한다.
Micronesia 2000 -
와와! 와와! 로코 사비레와(로코 사비레와의 노래)
로코 사비레와(Roko Savirewa)가 식사를 기다리는 내용의 노래다. 그가 기다리는 식사는 그날 잡은 물고기로 현지에서는 누카(Nuqa)라고 부른다. 로코 사비레와가 아이의 이름인지 공동체의 족장 또는 원로를 지칭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피지의 일부 지역에서 로코는 족장의 작위를 의미하는 단어로 영국의 노르위치공 처럼 ‘사비레와의 족장’이라는 뜻이 될 수도 있다. 공교육이 없던 시절의 과거 아이들은 이런 노래와 같은 구전 전승을 통해 언어, 문화적 관습 및 생존 기술을 배웠다.
Fiji 1976 -
결혼식 음악 (기악 합주)
눙족(Nùng)에게 결혼은 단순히 결혼 당사자 사이의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의 단결과 민족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는 의식이다. 전통과 관습에 따른 결혼식은 신랑과 신부 맞아들이기, 조상 숭배, 신랑 받아들이기, 신부 맞아들이기 요청 등 특정한 절차로 진행된다. 신부를 요청하는 절차에서 신랑 쪽 가족 어른들은 신부를 요청하는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며, 신부 쪽 가족도 음악과 노래로 화답한다. 눙족의 결혼식에서 연주하는 기악곡은 주로 남자가 연주한다. 연주되는 악기로는 니(nhị; 2현금), 관악기, 심벌즈 등이 있다.
Viet Nam 1970 -
다파 바잔(Dafa Bhajan)
다파 바잔은 카트만두 계곡에 사는 네와르 족 쟈푸 공동체에서 비롯된 곡이다.\n악기: 파치마, 킨, 바부, 콸리말리, 반수리
Nepal 1905 -
주멜로(Jhumelo)
주멜로는 다양한 공동체 행사에서 춤에 맞춰서 단체로 부르는 노래다. 여기에 수록된 주멜로는 톨차(Tolchha) 부족 여성들이 바자회와 축제 때 부르는 노래다.\n기록 : 라기니 데쉬판데
India 1982 -
아우 레키 니 사 라와 나이 나키 세 오가 니 추게니 나 불리 니 노다 카와 (우리 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목표를 달성하여 기쁘도다)
자신들의 공동체에 교육기금을 설립하기 위해 여덟 달 동안 혹독한 환경 속에서 일했던 남성들에 대한 노래로 그들의 성공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되었다.
Fi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