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공동체
ICH Materials 1,085
Audio Albums
(19)-
야프의전통춤노래
야프 전통 춤은 자치구와 마을의 문화활동이나 행사가 거행될 때 연행된다. 전통 춤은 남녀 모두 참여하며, 주요 예식이 있을 때 연행되기도 한다. 크게 ‘대나무 춤’, ‘선춤(立舞)’, ‘앉은춤’으로 나뉜다.
Micronesia 2017 -
세레니쿠무 (대중적인 피지 민요)
세레니쿠무(Serenicumu)를 직역하면 ‘부딪히는 노래’를 뜻하며 피지 전역의 마을과 리조트, 호텔 등지에서 연행되는 대중음악의 한 장르다. 세레니쿠무 노래는 유럽, 미주 또는 기타 태평양 제도 및 카리브 지역에서 유래한 음악(특히 레게)의 번안곡 또는 영향을 받은 곡들이다. 야코나를 마시는 일상적인 모임에서 쉽게 들을 수 있으며 동반되는 춤 역시 타오라탈레(tauratale) 또는 (영어의 ‘댄스’에서 따온) 다니시(danisi)라고 불리는 비형식적인 춤이다.\n\n세레니쿠무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한 설에 의하면 피지 원주민에게 처음으로 맥주 판매가 허가된 1920년대 수바에서 시작되었으며 남자들이 맥주잔을 서로 부딪히며 마시던 파티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또 다른 설은 이 음악의 원래 이름은 세레니쿠무 사카(sere ni cumu saqa)로 ‘사카’는 술을 담는 통을 뜻하며, 남자들이 탁자에 둘러앉아 맥주통에 머리를 기대는 모습에 빗대어 명명되었다고 한다.\n\n오늘날까지 연행되는 세레니쿠무 노래의 대다수는 2차 세계대전 때 만들어졌다. 이 시기는 미국,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 및 호주 출신의 병사들과 피지인 간의 교류가 활발했던 시기로, 세레니쿠무 창작의 황금기였다. \n현대에 와서 음악가들은 세레니쿠무를 크게 트리오와 세레 베이스(sere bass) 두 가지 형식으로 구분한다. 세레 베이스는 작곡된 지 15년 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세레 마카와(sere makawa, 오래된 노래)라고 불리기도 한다. 세레 베이스는 여러 명의 베이스 보컬(베이스/베시, bass/besi)들과 세 개의 독창 성부- 타타바니/타타바나(tatabani/tatabana), 도모톨루/바카바바(domo tolu/vakababa) 및 라가/라가라가(laga/lagalaga)-로 이뤄진다. 음역대는 타타바니/타타바나, 도모톨루/바카바바, 라가/라가라가순으로 좁아진다. 트리오에는 세 개의 독창 성부만이 들린다. 악기의 종류와 역할, 조율 및 연주 기법 역시 세월에 따라 변해왔다. 예전에는 세레 베이스 기타 주법 중 바디바디(vadivadi, 탄현법)가 대표적이었지만 현재에 와서는 다양한 ‘스크러밍’ (스트러밍) 기법과 리드 기타리스트의 다양한 왼손 및 오른손 주법으로 대체되었다. 세레 베이스에는 두아(dua, 으뜸 화음), 루아(lua, 서브 도미넌트 코드) 및 톨루(tolu, 도미넌트 코드) 화음만이 사용되며 트리오에는 워닝(세븐 코드), 마이너스 (마이너 코드), 및 플랫(윗으뜸음) 코드도 사용된다.\n\n세레 베이스는 누구든지 연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의 모임에 적합하다. 트리오의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공연이 기대되며 흔히 야코나 모임 등 소규모 행사에서 연행된다. 트리오에 비해 세레 베이스의 템포는 느리고 음 높이도 낮은 편이다. 세레 베이스는 형식적으로 메케와 가깝기 때문에 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40대 이상)이 선호하는 편이며, 청중에게 전통 문화를 느끼고 즐길 수 있게끔 한다. 트리오는 보통 2-30대 청년들이 즐겨 들으며 세레 베이스보다 서구화된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세대를 건너 전승되면서 새로운 노래가 추가되고 오래된 노래는 사라지며 진화하고 있는 세레니쿠무 전통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Fiji 2017 -
산간지역 여성들의 목소리
CD6_산간지역 여성들의 목소리\n\n이 앨범에 목소리가 녹음된 여성들은 전문 음악가가 아니다. 이 앨범은 일상생활에서의 여성들의 노래를 담고 있다. 여성들의 노래는 노동요로 볼 수 있으며, 탈곡을 하거나 곡식을 빻거나 찧을 때 길고 힘든 노동의 지루함을 잊고 작업에 리듬감을 주면서도 외로움을 덜기 위해 부른다. 여성은 의례 연행, 서사시와 발라드 가창뿐만 아니라 출산, 결혼, 장례 등 일생의례를 위한 노래를 부르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결혼 노래는 인도에서 여성이 부르는 노래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도시화와 도시로의 이주, 그리고 기계의 발달로 인해 여성의 노래라는 인도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녹음된 노래와 텔레비전이 가창의 자리를 뺏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을 음향과 문자로 기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가족과 가족의 수호신을 위한 의례를 연행하는 주체인 여성의 목소리를 가정과 밭에서 기록하는 것은 매우 가치있는 일이다. 이 앨범에는 히마찰프라데시(Himachal Pradesh) 주 캉그라 (Kangra)의 낮은 히말라야 언덕(‘눈의 땅’이라고 불림)과 우타 라칸드(Uttarakhand) 주 가르왈(Garhwal)의 히말라야 고지대 (‘북쪽 땅’이라고 불림)에서 녹음한 노래를 담았다. 상호 연관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스야리(ghasyari) 노래, 가르왈의 쿠데르(khuder), 캉그라의 파카하루(pakaharu)는 주제가 비슷하다. 여성들이 결혼 생활의 고난, 남편의 부재, 친구 관계 등 자신이 처한 어려움에 관해 노래한다. 여성들의 노래는 악기 반주가 없다. 수록된 노래는 두 명의 여성 연구자, 키린 나라얀(Kirin Narayan) 과 라기니 데쉬판데(Ragini Deshpande)의 연구 결과에서 가져온 것이다. 캉그라 지역의 노래는 키린 나라얀이 기록한 노래로, 키린 나라얀은 수년 동안 캉그라에 있으면서 여성의 노래와 이야기를 연구했다. 여기 수록된 곡은 그녀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기록한 것이다. 라기니 데쉬판데는 1981년부터 1989년까지 9년 동안 가르왈의 차몰리에서 여성의 노래를 기록했다. 키린 나라얀이 인용한 산기타 데비(Sangita Devi)의 말처럼 “모두 노래를 할 수 있지만 고통을 아는 사람만이 노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dia 2016 -
네팔 민속문화 속 바잔
CD1_네팔 민속문화 속 바잔\n\n네팔 전통문화에서 바잔(bhajan)은 주로 사원에서 불리는 영창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신들의 선행에 관한 가사를 담고 있다. 네팔 사람들은 바잔을 낭송하면 평화와 번영이 깃들고 모든 생명체의 삶이 보다 풍요로워 진다고 믿는다. 본 CD에는 여러 바잔 가운데 데비 바잔, 다파 바잔, 카인자디 바잔, 우샤 차리트라 바잔 등 4종류의 바잔이 수록되어 있다.
Nepal 2016 -
베트남 북부 산악지역 일부 소수민족의 민속음악
CD1_베트남 북부 산악지역 일부 소수민족의 민속음악\n\n베트남 북부 산악지역은 낀족(Kinh) 및 베트남 54개 소수민족 가운데 28개 소수민족의 거주지다. 이 지역에는 다양한 민속 문화, 특히 다양한 민속음악이 발달했다. 베트남 북부 산악지역 몇몇 소수민족의 민속음악 CD에서는 이 가운데 일부 레퍼토리를 소개하기로 한다. 수록된 민속음악은 1959년(트랙 1, 2, 5, 7), 1964 년(트랙 10, 15), 1970년(트랙 3, 4, 6, 8, 9, 11, 12, 13, 14, 16)에 녹음된 것이다. 연행자는 타이족(Thai), 따이족(Tay), 눙족(Nung), 까오란족(Cao lan), 푸라족(Phu la), 흐몽족(Hmong) 등 북부 산악지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의 민속 예인이다. 이 시기에 이뤄진 녹음은 음질 면에서는 좋지 않지만 연구자나 민속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역사 및 예술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CD를 통해 외부 세계와 거의 단절된 시대의 민속예술과 오늘날 같은 인터넷 시대의 민속예술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Viet Nam 2015 -
야프의 전통과 관습에 관한 이야기 II
야프의 전통과 관습을 전통 춤과 의복 중심으로 소개한다. 또한 야프 전통 춤에 사용된 노래 가사와 단어가 지식과 도덕적 교훈의 전달에 어떤 식으로 도움을 줬는지도 기술한다. 야프의 전통 복장은 성별과 행사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다.
Micronesia 2017 -
베트남 북부지역 박닌의 꽌호
CD4_베트남 북부지역 박닌의 꽌호\n\n꽌호(quan h?)는 지난날 베트남 북부지역에서 역사가 오래 된 성 가운데 하나인 낀 박(Kinh B?c) 지역에서만 연행된 남녀 사이의 돌림노래다. 전통 형태의 꽌호는 오늘날의 박닌(B?c Ninh) 성과 박장(B?c Giang) 성인 낀 박 지역 49개 마을에서 연행되던 민속예술이다. 꽌호 노래는 지난날 친선 교류와 관련돼 있다. 꽌호는 대개가 각 마을의 본 꽌호(b?n Quan h?)라고 불리는 다른 종족의 사람들이 서로 우정을 맺고자 부르는 노래다. 연례 축제, 자유 시간, 새해 축제 등의 경우 꽌호 연행자들은 예술 교류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꽌호를 연행했다. 이들은 밤낮을 쉬지 않고 노래를 불렀다. 막역한 예술가 동지로서의 꽌호 연행자들 간 우정은 조상 때부터 지속돼 후손에게까지 이어졌으며, 이 때문에 이들은 절대로 서로 결혼할 수가 없다. 꽌호는 사랑을 노래하는 다른 민속노래와 달리 남녀 사이의 돌림노래로, 사랑의 교환을 노래하는 서정 짙은 가사이면서 일상생활에서는 사랑을 교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꽌호는 서로 관계가 있는 꽌호 연행자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서도 연행된다. 꽌호는 여러 상황에서 부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평상시의 밤에 집이나 축제 때 사원, 언덕, 숲 속, 길거리, 호수, 배 위 등지에서 연행할 수 있다.\n\n꽌호 노래에서 남자 그룹은 리엔 아인(li?n anh), 여자 그룹은 리엔 찌(li?n ch?)로 각각 불린다. 전통의 꽌호에서는 두 그룹이 반주 없이 노래를 부른다. 노래는 남자 한 쌍과 여자 한 쌍이 돌아가면서 이어 부른다. 이들 남녀 짝 가운데 한 명은 주 음률을 부르고 나머지 한 명은 화음을 받치는 역할을 맡는다. 짝을 이루는 두 사람은 완벽한 조화를 이루기 위해 동일한 음색을 내는 연습을 한다. 짝을 이뤄 노래를 부르는 것 이외에 축하나 숭배의식에서 공연하는 단체 가창이 있다. 남성 단체 가창단은 여성 단체 가창단에 응답하며 노래를 한다. 꽌호의 가창 기본 기술은 공명, 울리기, 절제, 스타카토 등 4가지다. 양쪽이 서로 주고받으면서 부르는 꽌호 노래는 상대방과 맞받아치는 가사가 필요하다. 양쪽은 서로에게 응답하면서 노래하는데 멜로디는 같지만 가사는 다르다. 서로 대구를 이루는 단어와 의미는 또한 가사와 관련된다.
Viet Nam 2015 -
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2집 : 자장가
CD2_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2집 : 자장가\n\n네덜란드 민족 음악가 아널드 아드리안 베이크가 1930년대부터 인도에서 녹음한 기록물은 민족지적인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다. 아널드 베이크와 아내 코리는 벵골지역에서 오래 머물렀지만 벵골뿐만 아니라 인도 전역을 여행하면서 인도 사람들의 노래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무형문화유산을 녹음했다. 베이크의 기록물은 노동요, 의식요, 의례 연행 등 다양한 일상생활의 소리를 아우르며 여성의 노래와 문화적 표현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1925년에 시작된 베이크의 인도 여행은 1955년까지 계속되었다. 그동안 베이크는 인도뿐만 아니라 네팔과 스리랑카까지 여행하였으며, 그의 기록물은 현재 영국, 독일, 미국 등지에 보관되어 있다. 베이크는 1925년부터 1929년까지는 실린더에 기록했고 1938 년부터 1939년까지는 ‘테피폰’이라는 기계에 기록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화된 기록물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테피폰으로 기록된 내용이다. 테피폰 기록물은 1982년에 스풀에 옮겨져 민족음악연구센터에 보관되었다. 1938년부터 1939 년까지 2년 동안 베이크는 파키스탄 신드 주에서 구자라트 해안을 따라 케랄라 주까지 여행하면서 마하라슈트라 주, 카르나타카 주, 케랄라 주 등의 지역에서 녹음 했고, 몰디브와 스리랑카에서 작업한 기록물도 있다. 따라서 이 앨범에 소개된 노래는 주로 인도 서남해안 지역의 소리다. 역사적 가치가 크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소리를 선택하여 소개한다. 참고: 제목은 아널드 베이크가 작성한 그대로 두었지만, 설명 부분에서 지명과 고유명사는 현재 명칭대로 수정했다. 예를 들어, ‘Canarese’는 현재 명칭을 반영해 ‘Kannada’로 수정했다. 철자 도 현재 용법에 따라 수정했다.\n\n일상생활 노래 - 사람들의 일상생활이야말로 무형문화유산의 핵심이다. 이 앨범은 의례, 노동요, 의식요, 기쁨과 슬픔을 표현하는 일반 노래 등을 담고 있다. 노래뿐만 아니라 함성이나 소음을 담고 있는 트랙도 있어서 베이크가 녹음한 소리의 종류가 광범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dia 2016 -
네팔의 카스트 민요
CD8_네팔의 카스트 민요\n\n네팔의 여러 카스트 계급은 출생부터 죽음까지 삶의 대소사를 기리는 다양한 문화적 의식을 수행하며, 모두 음악이 동반된다. 이러한 의식들은 지형은 물론 같은 계급 안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샤인, 마게 산크란티, 푸르니마 등의 축제나 파종과 추수 와 같은 계절의식을 수행할 때 연주하며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이러한 자리에서 각 카스트 계급민들은 전통 의상과 악기, 노래, 그리고 춤으로 자신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선보인다.
Nepal 2016 -
베트남 전통극음악
CD9_베트남 전통극음악\n\n전통극은 베트남 전통음악의 등장을 설명하는 데 빠질 수 없는 요소다. 베트남 전통극은 주로 킨족(Kinh)과 커메족(Kh? me), 눙족(Nung) 등 몇 몇 소수민족이 연행했다. 역사가 깊은 전통극으로는 킨족의 고전극 뚜옹(Tu?ng)과 전통 경가극 째오(Cheo) 두 가지가 있다. 이러한 전통극은 문학, 회화, 음악, 춤, 희곡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뚜옹은 수세기에 걸쳐 베트남 북부지역에서 발생해 궁중에서 연행되다가 고위 관료의 음악이 되어 ‘핫 보이(Hat b?i)’ 또는 ‘핫 보(Hat b?)’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베트남 중부 및 남부 지역까지 퍼졌다. 뚜옹은 응우옌 왕조인 17~18세기에 중부 지역에서 완성돼 최고조로 발전했다. 그 당시 뚜옹은 왕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 의해 연행되었으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베트남 전체, 특히 중부 및 남부 지역 사람들의 정신생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여전히 중요했다. 뚜옹은 왕실과 일반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몇 안 되는 전통예술 가운데 하나였다.\n\n전성기에 뚜옹 연행자는 두 부류로 구분되었다. 하나는 뚜옹 타이(Tu?ng th?y; 표준 내용 및 연행 양식을 갖춘 뚜옹)이고 뚜옹 롱(Tu?ng rong; 반전문 연행자로 기능이 일부 부족하고, 주로 즉흥적인 공연을 함)이다. 뚜옹 시스템은 내용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는데 뚜옹 포(Tu?ng pho; 막이 많고, 여러 날 연행되는 뚜옹), 뚜옹 도(Tu?ng đ?; 역사책에는 언급되지 않은 민속 이야기를 전하는 민속 뚜옹), 뚜옹 떤 터이(Tu?ng tan th?i; 새로운 소설 이야기를 전하는 뚜옹)이 해당된다. 뚜옹 응으(Tu?ng ng?;‘ 왕의 여흥을 위한 뚜옹), 뚜옹 꿍 딘(Tu?ng cung đinh; 왕실에서 연행된 뚜옹)이라고 부르는 특별한 뚜옹을 연행하기도 한다. 고전 뚜옹은 ‘적을 물리치기 위해 왕을 보좌하라’를 주제로 하여 연행되는 애절한 영웅 느낌을 주는 극음악 전형의 뚜옹이다. 이러한 뚜옹 극은 팽팽한 긴장감이 넘치는 구조로 하여 이야기가 처음부터 끝까지 시간 순서대로 일어나는 베트남 동부 묘사 방식으로 연행된다. 심한 충돌과 대립이 이 극 전반에 흐르는 특징이다. 하나의 연극은 3막으로 이뤄진다. 1막에서는 등장인물 소개와 기본인 충돌이 전개되고, 2막에서는 갈등을 다루면서 악의 편이 승리하며, 3막에서는 충돌이 최절정에 이르고 정의 편이 승리한다. 이 극의 주인공은 애국 영웅들이다. 주요 고전 뚜옹으로는 선 하우(S?n H?u), 안 짜오 끼엠(An Trao ki?m), 땀 느 드오 브봉(Tam n? đ? v??ng), 다오 땀 쑤언 로안 짜오(đao Tam Xuan lo?n trao), 주엉 짠 뜨(D??ng Ch?n T?)가 있다.
Viet Nam 2015 -
바칼루투이보체 케이 나 바카부니가사우 (찬트)
바칼루투이보체는 작은 해양 섬 또는 큰 섬의 해안가 지역의 어민 남성들이 듀엣으로 연행하는 찬트다. 내용은 주로 씨족의 성공적인 고기잡이 원정에 대한 것으로 고기잡이와 해양, 해안 환경을 묘사한다. \n바카부니가사우는 큰 섬의 내륙 지방에 사는 공동체들의 찬트다. 바카부니가사우는 통나무 끌기와 관련된 기능적인 찬트로 집을 지을 때 계속 불러 노동의 단조로움, 심심함과 고됨을 달랜다. 또한 일꾼들 간의 통합과 결속을 다져 일의 진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n\n바칼루투이보체와 바카부니가사우의 창법은 유사하다. 보통 한 선율에 다른 선율을 얹어 반주를 하는 방식으로 예전부터 흔히 불렸다. 두 사람이 도, 레, 미, 파, 솔로 구성된 음계의 으뜸음이 솔-파 음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는 선율을 부르며 두 선율의 화음을 이뤄낸다. 이런 찬트 또는 노래들은 해안가 부족과 내륙 부족들이 전통 지식을 포착하여 전승시키는 방식을 보여준다.\n\n이런 찬트는 청중이 아닌 연행자 자신을 대상으로 단순 시간 보내기용으로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조음이 중요시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방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동시에 해당 언어가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음반에는 번역이 불가능한 관계로 내용 서술이 누락된 곡들도 있다.
Fiji 2017 -
까 쭈 가창
CD6_까 쭈 가창\n\n까 쭈(Ca tru) 가창은 핫 아 다오(hat ? đao), 핫 끄아 딘(hat c?a đinh), 핫 나 또(hat nha t?), 핫 나 쪼(hat nha tro), 핫 꼬 더우(hat co đ?u)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다이 비엣 역사서(đ?i Vi?t s? ky toan th?)에 따르면 아 다오 노래 (? đao singing)이라는 이름으로 리왕조(Ly dynasty (1010-1025)) 시기에 카쭈가 나온다. 다수의 아 다오 노래 경연대회가 마을회관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마을에서는 노래와 함께 북을 치고, 노래를 잘하는 가창자들에게 카드를 던져 칭찬했다. 이때 던지는 카드를 쭈(tru)라고 부른다. 점차적으로 이런 식으로 카드로 가창자를 북돋는 방식이 까 쭈(Ca tru)로 알려졌다. 까 쭈라는 이름은 레 둑 마오의 시 Ngh? h? tam giap lam gi?i th??ng cho co đao hat (8개 마을 사람들을 대표하여 우수한 가창자를 치하하는 방법)”에서 발견된다. 까 쭈는 베트남 북부 및 중부지역에 거주하는 낀족(Kinh)의 전통 춤 및 노래의 한 종류다. 까 쭈 악단은 3현 류트인 단 다이(đan đay) 연주자 1명(단 다이는 까 쭈에서 반주를 담당하는 유일한 악기다), 노래와 연주를 함께하는 가창자 1명, 꽌 비안 껌 쩌우(quan vien c?m ch?u)로 알려진 고수 1명으로 구성된다.\n\n까 쭈는 다양한 장소에서 연행된다. 까 쭈는 원래 숭배를 위한 노래였다. 마을 공동체에서 숭배를 위한 노래로 불리다가 일반 가정, 레스토랑, 카바레 등에서 여흥을 위해 부르는 노래로 변화했다. 까 쭈는 이러한 주요 연행 장소 이외에 왕궁이나 고위 관료의 저택에서도 불렸다. 오늘날에는 전통음악으로 무대에서 연행된다. 연행 환경에 따라서 까 쭈는 곡, 음악성, 연행 형태 등이 바뀐다. 이 CD에서는 숭배 및 여흥을 위해 연행된 곡 가운데 일부를 소개한다. 수록된 곡들은 1970년(트랙 5, 6, 7), 1982년(트랙 1, 4), 1997년(트랙 2, 3)에 가장 유명한 까 쭈 연행자 3명이 연행한 것을 녹음한 것이다.
Viet Nam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