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몰디브
ICH Materials 27
-
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1집 : 자장가
CD1_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1집 : 자장가\n\n네덜란드 민족 음악가 아널드 아드리안 베이크(Arnold Adrian Bake)가 1930년대부터 인도에서 녹음한 기록물은 민족지적인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다. 아널드 베이크와 아내 코리 (Corrie)는 벵골(Bengal)지역에서 오래 머물렀지만, 벵골뿐만 아니라 인도 전역을 여행하면서 인도 사람들의 노래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무형문화유산을 녹음했다. 베이크의 기록물은 노동요, 의식요(儀式謠), 의례 연행 등 다양한 일상생활의 소리를 아우르며 여성의 노래와 문화적 표현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1925년에 시작된 베이크의 인도 여행은 1955년까지 계속되었다. 그동안 베이크는 인도뿐만 아니라 네팔과 스리랑카까지 여행 했으며, 그의 기록물은 현재 영국, 독일, 미국 등지에 보관되어 있다. 베이크는 1925년부터 1929년까지는 실린더에 기록했고 1938 년부터 1939년까지는 ‘테피폰(Tefifon)’이라는 기계에 기록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화된 기록물은 1938년부터 1939년 사이 테피폰으로 기록된 내용이다. 테피폰 기록물은 1982년 에 스풀(spool)에 옮겨져 민족음악연구센터(Archives and Rese arch Centre for Ethnomusicology)에 보관되었다. 베이크는 1938년부터 1939년까지 2년 동안 파키스탄 신드 주(Sindh) 에서 구자라트 해안(Gujarat Coast)을 따라 케랄라 주(Kerala) 까지 여행하면서 마하라슈트라 주(Maharashtra), 카르나타카 주(Karnataka), 케랄라 주 등의 지역에서 녹음했고, 몰디브와 스리랑카에서 작업한 기록물도 있다. 따라서 이 앨범에 소개된 노래는 주로 인도 서남해안 지역의 소리다. 역사적 가치가 크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소리를 선택하여 소개한다.\n\n자장가 앨범 - 노래를 부르거나 소리를 내서 아이를 잠들게 하는 것은 문화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행위로 어느 문화에나 존재하기 마련이다. 인도에서 자장가는 아이의 탄생과 관련된 일생의식의 한 부분이기도 하여 의례적인 기능도 포함돼 있다. 인도 자장가는 의식요와 비슷한 주제를 다루기도 하고 신(神)의 은총을 바라거나 신의 어린 시절을 노래하기도 한다. 크리슈나(Krishna) 신 등 신들의 탄생을 기념하는 의례에서 자장가 형식으로 만든 노래를 사용하기도 하고 이들 노래를 아이에게 불러주기도 한다. 이 앨범에 실린 자장가는 1903년대 후반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녹음한 것으로, 범위가 좁아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베이크의 기록물에 자장가가 여러 곡 있는 것을 보면 몇 가지 흥미로운 의문이 생긴다. 베이크는 자장가를 일생의례 노래로 생각했는지, 그리고 당시 사람들은 자장가를 일상생활의 노래로 생각했는지 하는 것이다.
India 2016 -
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2집 : 자장가
CD2_아널드 베이크 1930년대 음향 기록물 2집 : 자장가\n\n네덜란드 민족 음악가 아널드 아드리안 베이크가 1930년대부터 인도에서 녹음한 기록물은 민족지적인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다. 아널드 베이크와 아내 코리는 벵골지역에서 오래 머물렀지만 벵골뿐만 아니라 인도 전역을 여행하면서 인도 사람들의 노래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무형문화유산을 녹음했다. 베이크의 기록물은 노동요, 의식요, 의례 연행 등 다양한 일상생활의 소리를 아우르며 여성의 노래와 문화적 표현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1925년에 시작된 베이크의 인도 여행은 1955년까지 계속되었다. 그동안 베이크는 인도뿐만 아니라 네팔과 스리랑카까지 여행하였으며, 그의 기록물은 현재 영국, 독일, 미국 등지에 보관되어 있다. 베이크는 1925년부터 1929년까지는 실린더에 기록했고 1938 년부터 1939년까지는 ‘테피폰’이라는 기계에 기록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화된 기록물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테피폰으로 기록된 내용이다. 테피폰 기록물은 1982년에 스풀에 옮겨져 민족음악연구센터에 보관되었다. 1938년부터 1939 년까지 2년 동안 베이크는 파키스탄 신드 주에서 구자라트 해안을 따라 케랄라 주까지 여행하면서 마하라슈트라 주, 카르나타카 주, 케랄라 주 등의 지역에서 녹음 했고, 몰디브와 스리랑카에서 작업한 기록물도 있다. 따라서 이 앨범에 소개된 노래는 주로 인도 서남해안 지역의 소리다. 역사적 가치가 크지만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소리를 선택하여 소개한다. 참고: 제목은 아널드 베이크가 작성한 그대로 두었지만, 설명 부분에서 지명과 고유명사는 현재 명칭대로 수정했다. 예를 들어, ‘Canarese’는 현재 명칭을 반영해 ‘Kannada’로 수정했다. 철자 도 현재 용법에 따라 수정했다.\n\n일상생활 노래 - 사람들의 일상생활이야말로 무형문화유산의 핵심이다. 이 앨범은 의례, 노동요, 의식요, 기쁨과 슬픔을 표현하는 일반 노래 등을 담고 있다. 노래뿐만 아니라 함성이나 소음을 담고 있는 트랙도 있어서 베이크가 녹음한 소리의 종류가 광범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dia 2016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28 (무형문화유산과 성스러운 문화공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28권의 테마는 「무형문화유산과 성스러운 문화공간」입니다.
South Korea 2016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VOL.32 (옻칠공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32권의 테마는 「옻칠공예」입니다.
South Korea 2017 -
컬러링북 : 남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의 가시성을 높이고 그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서 구글 아트앤컬처(Google Arts and Culture)와 함께 온라인 전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6년 태평양편에 이어 2017년에는 남아시아 무형유산을 주제로 총 5개의 전시가 기획되었습니다. 전통지식, 사회적 의례, 공예 등 남아시아의 다양한 무형유산을 아우르는 생생한 전시가 온라인상에서 완성되었습니다.\n\n해당 자료는 온라인 전시의 주요 장면을 일반대중, 특히 청소년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서 컬러링북으로 제작한 것입니다.\n\n남아시아 온라인 전시 목록\n\n- 방글라데시의 잠다니(Jamdani) 직조 전통 예술\n- 부탄 전통활과 화살 제작 기술\n- 몰디브의 칠(Lacquer) 공예\n- 네팔의 라케(Lakhe) 춤\n- 스리랑카의 전통의술 (Hela Weda Mahima)
South Korea 2018 -
2017 문화동반자 연수보고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4명의 문화동반자(이하 동반자)를 초청해 연수를 진행하였다. \n\n방글라데시, 몰디브, 부탄, 네팔 출신의 동반자들은 내부 토의 및 검토를 거쳐 자국의 무형유산 보호 제도의 현황 및 사례를 포함하여 향후 정보공유와 네트워크 구축 등에 관련한 연구 주제를 선정한 뒤, 약 5개월 간 국내 무형유산 관계기관 및 공동체 현장방문 등을 통해 해당 연구를 수행했다. 본 보고서는 해당 연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South Korea 2017
-
몰디브의 툰두쿠나 공동체 : 돗자리 직조 장인들툰두쿠나는 몰디브 습지대의 갈대로 만드는 특별한 돗자리이다. 현지에서 이 갈대는 ‘하우’라고 알려져 있다. 하우를 이용한 돗자리 직조공예는 약 200여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오랜 역사를 지닌 툰두쿠나는 몰디브 최남단의 산호지대와 깊은 연관이 있다.Year2018NationSouth Korea
-
몰디브 보두베루 전통음악의 다시 찾은 생명력보두베루(bodu beru)는 현재 몰디브에 남아있는 음악 및 무용 공연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몰디브 내에서 최고로 인기를 끌고 있는 공연 중 하나이다. 보두베루는 공연의 필수 악기 중 하나인 몰디브의 전통 북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공연단은 보통 15-20명이며, 여기엔 가수 한 명과 전통 북 연주자 세 명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공연단은 연주를 하는 동안 사롱과 흰색 반팔 셔츠를 입고 바부르 네슌(baburu neshun) 또는 니그로의 춤(Negro dance)을 춘다. 해당 전통음악은 대개 19세기 아프리카 노예들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부에서는 11세기 궁정음악을 대체하기 위해 발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n\n북을 치는 면은 보통 염소 가죽으로 만드는데, 가오리 가죽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또한 북의 몸통은 코코아 나무를 사용한다. 북은 처음에 맨 손으로 천천히 치다가 점점 세게 치는 식으로 연주하는데, 강렬한 음악이 계속되다가 어느 순간 끝이 난다. 보두베루 연주와 함께 부르는 노래는 바부르 라바(baburu lava) 또는 니그로의 노래(Negro song)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힘든 하루 일과를 마친 후 현지어와 아프리카 말을 섞어 의미 없는 가사를 만들어 흥얼거리는 방식이었고, 현재는 현지어인 디베히(Dhivehi)로 만들고 있다.\n\n보두베루는 결혼식, 이드(Eid) 축제 및 소년 할례 관련 행사에서 인기가 많으며, 요즘에는 관광객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전통공연으로 선택되면서 해당 공연을 위한 다양한 공연단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무엇보다도 매년 “보두베루 챌린지(bodu beru challenge)”라는 이름의 TV 리얼리티쇼가 방영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보두베루 음악의 상업적 부활을 이끌면서 해당 전통공연의 생명력을 강하게 만들어주고 있기도 하다.\n\n사진 : Bodu beru performance by young practitioners CCBY2.0 Shafiu HussainYear2017NationMald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