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몽골
ICH Materials 473
Audio Albums
(11)-
서사시 2
서사시 2\n\n언어문학연구소 음성학 아카이브에는 이스. 초이수렝(S. Choisuren), 베. 아위르메드(B. Avirmed), 이쓰. 보양(Sh. Buyan), 임. 야드마(M. Yadmaa), 게. 하인잔(G. Khainzan), 체. 조돕(Ts. Zodov), 게. 오드(G. Od), 테. 푸렙(T. Purev), 일. 락와(R. Lkhagva), 체. 하르착(Ch. Khartsaga), 두게르수렝(Dugersuren), 헤. 잠발(Kh. Zambal), 일. 덥칭삼보(R. Duvchinsambuu), 데. 바트-울지(D. Bat-Ulzii), 에. 나미랑(E. Namilan), 베. 곰보짜브(B. Gombojav), 베. 굴락차(B. Gurragchaa), 오. 바타아(U. Bataa) 등 유명한 연행자들이 연행한 서사시 50여곡과 그들의 이본(異本)들이 보관되어 있다. 전체 136시간이 넘는 분량의 음원을 복원하였으며, 이 중 선정된 작품을 CD 두 장에 담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무속, 불교의 유산
무속, 불교의 유산\n\n언어문학연구소의 음성학 아카이브에는 무시(巫詩), 무가(巫歌), 무언(巫言), 염불, 독경에 대한 중요한 음원자료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 중 선정된 작품들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서사시 1
서사시 1\n\n언어문학연구소 음성학 아카이브에는 이스. 초이수렝(S. Choisuren), 베. 아위르메드(B. Avirmed), 이쓰. 보양(Sh. Buyan), 임. 야드마(M. Yadmaa), 게. 하인잔(G. Khainzan), 체. 조돕(Ts. Zodov), 게. 오드(G. Od), 테. 푸렙(T. Purev), 일. 락와(R. Lkhagva), 체. 하르착(Ch. Khartsaga), 두게르수렝(Dugersuren), 헤. 잠발(Kh. Zambal), 일. 덥칭삼보(R. Duvchinsambuu), 데. 바트-울지(D. Bat-Ulzii), 에. 나미랑(E. Namilan), 베. 곰보짜브(B. Gombojav), 베. 굴락차(B. Gurragchaa), 오. 바타아(U. Bataa) 등 유명한 연행자들이 연행한 서사시 50여곡과 그들의 이본(異本)들이 보관되어 있다. 전체 136시간이 넘는 분량의 음원을 복원하였으며, 이 중 선정된 작품을 CD 두 장에 담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찬가
찬가\n\n찬가(讚歌)는 어떤 사건에 대한 숭고한 감정의 표현이며 보통 특정한 의식과 연계된다. 축가와 찬가에는 공통된 특징이 많지만, 찬가는 매우 특정한 선율로 암송된다. 또한 축가가 미래의 꿈이나 환상을 풍부하게 표현하는 장르라면, 찬가는 현재의 사건이나 사람들의 자부심, 감탄, 열정 등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음성학 아카이브에 보관된 자료 중 10시간이 넘는 분량의 찬가 음원을 복원하였고, 이 중 선정된 작품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n\n스토리텔링은 사회나 인간의 삶에 일어난 사건을 회상하는 구전 표현이다. 예술적으로 표현되는 이야기들은 어느 정도의 흥미를 끌며 독특성을 가진다. 이야기꾼은 직접 본 사건에 대한 이야기나, 그 사건에 대해 매우 잘 아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를 전한다. 스토리텔링 이외에도 방언자료, 풍속 관련 이야기, 회상록 등을 본 분류에 포함하였으며, 총 50시간이 넘는 음원들이 복원되었다.
Mongolia 2012 -
몽골의 민속음악
인류 문화의 보물창고, 중국 서남부의 민속음악\n\n중국의 서남부 지역인 광서, 귀주, 운남성은 중국에서도 가장 다채로운 민족이 모여 사는 산악지대이다. 광서장족자치구를 본거지로 하는 장족 사람들은 둘씩 또는 대여섯 명씩 짝을 지어 산가(山歌)를 많이 부른다. 산가의 내용은 남녀간의 사랑 노래가 주를 이루지만, 때로는 장대한 설화를 노래하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노래를 지어 부르는 놀라운 모습도 볼 수 있다.\n\n여인들의 머리 모양이 특이한 묘족은 광서성과 귀주성을 비롯한 중국 서남지역 여기저기에 흩어져 산다. 이들은 하나의 음을 한없이 끌어내리는 독특한 창법으로, 새가 날아가는 듯한 느낌의 비가(飛歌)나 주가(酒歌) 등을 부른다. 남자들의 루셩 연주도 들을 만하다.\n\n귀주성에 많이 사는 동족은 중국에서도 가장 노래를 잘하는 민족으로 꼽힌다. 이들은 마을마다 성별, 연령대별로 수십 명씩의 소리패를 만들어 대가(大歌)라는 다성부의 노래를 부른다. 동족 마을을 상징하는 고루와 동족의 대가는 이미 유명해져서 관광 상품으로 활용되는 단계에 와 있다.\n\n운남성에는 많은 민족이 살고 있지만, 그 중에서 노래 잘하기로는 이족을 꼽아야 한다. 이족 여인들은 남자 악사의 월금 연주에 맞추어 매우 높은 목소리로 여러 가지 노래를 부른다. 이족은 여름 횃불축제에서 다양한 군무와 노래잔치를 벌이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Mongolia 2005 -
민속전통예술
민속전통예술\n\n몽골인들이 인류문화유산에 기여한 바를 증명하는 놀라운 민속예술 녹음자료 중에서 선정된 작품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단가
단가\n\n몽골의 민요는 장가(長歌, 오르팅 도), 단가(短歌, 보긴 도), 그리고 창작민요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민요는 다른 종류보다 비교적 짧고 대개 1-5분 정도의 길이이지만,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복원하고 분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약 48시간 분량의 민요 음원이 복원되었다.
Mongolia 2012 -
장가
장가\n\n몽골의 민요는 장가(長歌, 오르팅 도), 단가(短歌, 보긴 도), 그리고 창작민요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민요는 다른 종류보다 비교적 짧고 대개 1-5분 정도의 길이이지만, 그 수가 많기 때문에 복원하고 분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본 사업을 통해 약 48시간 분량의 민요 음원이 복원되었다.
Mongolia 2012 -
축가
축가\n\n몽골의 축가(祝歌)는 방대한 어휘량의 강력한 힘을 보여준다. 축가는 음률(音律)을 사용하는 구전 시 문학 장르 중 하나이다. 미래의 행복에 대한 염원을 기술적으로 작곡된 시의 암송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축가는 매우 다양한 주제로 수천가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안장의 젖은 옷을 때릴 때, 아르히(몽골 전통 술)를 증류할 때, 탄생을 축하할 때, 아기의 배냇머리 깎는 의식 때 암송하는 축가 등이 있다. 음성학 아카이브에는 고전적인 형태의 축가뿐만 아니라 새집, 혼례, 아기의 배냇머리 깎는 의식, 구복(求福)의식, 말 젖 짜는 첫날 의식, 망아지 낙인찍기, 인민 혁명 기념, 군대 축가 등 현대식 축가 등도 다양하게 보관되어 있다. 이 중 선정된 축가를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 -
설화와 전설
설화와 전설\n\n설화는 몽골 구비문학의 중요한 장르 중 하나이다. 몽골 설화는 매우 상징적인데, 전형적으로 “옛날 옛적에”, “어느 곳에서”, “어느 나라에서”로 시작하여 “그리고 그들은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다”로 끝이 난다. 전설 역시 몽골 구비문학의 대중적 장르 중 하나이며, 역사적 사건에 대한 보충적 표현으로서 민속 문학 내에 존재한다. 역사적 사실들은 상징적 장치로 꾸며져 역사적 전설로 탈바꿈한다. 음성학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음원자료 중 가장 장시간의 자료가 바로 설화와 전설이며, 본 디지털화 사업을 통해 총 200시간이 넘는 설화 음원과 약 14시간 분량의 전설 음원을 복원하였다. 이 중 선정된 작품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Mongolia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