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몽골
ICH Materials 473
Photos
(190)-
쌔내무
쌔내무(赛乃姆)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 풍속, 성격 및 복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 무용이다. 농경 생활 속에서 전문 예능인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전승되어 왔다. 춤 동작 또한 모자를 잡거나 소맷자락 뒤집기, 치마 끌기, 먼 곳을 응시하며 가슴 더듬기 등 주로 일상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하체 부분은 무릎을 유연하게 사용해 다리 아래 쪽을 민첩하고 가볍게 보이도록 춘다.\n\n위구르족 사람들은 명절이나 결혼식 등 기쁜 일이 있을 때면 민간 음악인 쌔내무에 맞춰 머리와 목 부위를 자연스레 흔들며 춤을 춘다. 형식과 동작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주로 남녀 두 사람이 추지만 독무, 3인무, 군무까지 인원수에 제한이 없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음악은 서정적이고 우아하며 현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점 명쾌한 리듬과 속도로 변하기도 한다. 춤 중간에 무용수들은 종종 갑자기 춤을 멈추고 유머러스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구르족의 낙관적이고 유머러스한 면을 반영한다.\n\n위구르족은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주로 분포한다. 서기 744년 동 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웠다. 840년 키르기즈(Kirgiz)에게 멸망한 뒤에도 간쑤(甘肅), 둔황(敦煌), 투르판(吐魯蕃) 등지에 위구르 왕국을 세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 및 농경 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했다. 위구르족의 쌔내무는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에 기록되어 있는 무형유산중 하나이자 중국 중등교과과정에서 필수적 수행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n\n특징:\n∙농경 생활의 일상적 동작을 응용\n∙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동작\n\n출연자: 연변흠정무용단\n예술감독: 김영화\n안무가: 김영화
China -
쌔내무
쌔내무(赛乃姆)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 풍속, 성격 및 복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 무용이다. 농경 생활 속에서 전문 예능인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전승되어 왔다. 춤 동작 또한 모자를 잡거나 소맷자락 뒤집기, 치마 끌기, 먼 곳을 응시하며 가슴 더듬기 등 주로 일상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하체 부분은 무릎을 유연하게 사용해 다리 아래 쪽을 민첩하고 가볍게 보이도록 춘다.\n\n위구르족 사람들은 명절이나 결혼식 등 기쁜 일이 있을 때면 민간 음악인 쌔내무에 맞춰 머리와 목 부위를 자연스레 흔들며 춤을 춘다. 형식과 동작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주로 남녀 두 사람이 추지만 독무, 3인무, 군무까지 인원수에 제한이 없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음악은 서정적이고 우아하며 현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점 명쾌한 리듬과 속도로 변하기도 한다. 춤 중간에 무용수들은 종종 갑자기 춤을 멈추고 유머러스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구르족의 낙관적이고 유머러스한 면을 반영한다.\n\n위구르족은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주로 분포한다. 서기 744년 동 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웠다. 840년 키르기즈(Kirgiz)에게 멸망한 뒤에도 간쑤(甘肅), 둔황(敦煌), 투르판(吐魯蕃) 등지에 위구르 왕국을 세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 및 농경 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했다. 위구르족의 쌔내무는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에 기록되어 있는 무형유산중 하나이자 중국 중등교과과정에서 필수적 수행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n\n특징:\n∙농경 생활의 일상적 동작을 응용\n∙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동작\n\n출연자: 연변흠정무용단\n예술감독: 김영화\n안무가: 김영화
China -
쌔내무
쌔내무(赛乃姆)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 풍속, 성격 및 복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 무용이다. 농경 생활 속에서 전문 예능인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전승되어 왔다. 춤 동작 또한 모자를 잡거나 소맷자락 뒤집기, 치마 끌기, 먼 곳을 응시하며 가슴 더듬기 등 주로 일상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하체 부분은 무릎을 유연하게 사용해 다리 아래 쪽을 민첩하고 가볍게 보이도록 춘다.\n\n위구르족 사람들은 명절이나 결혼식 등 기쁜 일이 있을 때면 민간 음악인 쌔내무에 맞춰 머리와 목 부위를 자연스레 흔들며 춤을 춘다. 형식과 동작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주로 남녀 두 사람이 추지만 독무, 3인무, 군무까지 인원수에 제한이 없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음악은 서정적이고 우아하며 현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점 명쾌한 리듬과 속도로 변하기도 한다. 춤 중간에 무용수들은 종종 갑자기 춤을 멈추고 유머러스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구르족의 낙관적이고 유머러스한 면을 반영한다.\n\n위구르족은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주로 분포한다. 서기 744년 동 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웠다. 840년 키르기즈(Kirgiz)에게 멸망한 뒤에도 간쑤(甘肅), 둔황(敦煌), 투르판(吐魯蕃) 등지에 위구르 왕국을 세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 및 농경 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했다. 위구르족의 쌔내무는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에 기록되어 있는 무형유산중 하나이자 중국 중등교과과정에서 필수적 수행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n\n특징:\n∙농경 생활의 일상적 동작을 응용\n∙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동작\n\n출연자: 연변흠정무용단\n예술감독: 김영화\n안무가: 김영화
China -
쌔내무
쌔내무(赛乃姆)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 풍속, 성격 및 복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 무용이다. 농경 생활 속에서 전문 예능인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전승되어 왔다. 춤 동작 또한 모자를 잡거나 소맷자락 뒤집기, 치마 끌기, 먼 곳을 응시하며 가슴 더듬기 등 주로 일상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하체 부분은 무릎을 유연하게 사용해 다리 아래 쪽을 민첩하고 가볍게 보이도록 춘다.\n\n위구르족 사람들은 명절이나 결혼식 등 기쁜 일이 있을 때면 민간 음악인 쌔내무에 맞춰 머리와 목 부위를 자연스레 흔들며 춤을 춘다. 형식과 동작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주로 남녀 두 사람이 추지만 독무, 3인무, 군무까지 인원수에 제한이 없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음악은 서정적이고 우아하며 현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점 명쾌한 리듬과 속도로 변하기도 한다. 춤 중간에 무용수들은 종종 갑자기 춤을 멈추고 유머러스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구르족의 낙관적이고 유머러스한 면을 반영한다.\n\n위구르족은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주로 분포한다. 서기 744년 동 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웠다. 840년 키르기즈(Kirgiz)에게 멸망한 뒤에도 간쑤(甘肅), 둔황(敦煌), 투르판(吐魯蕃) 등지에 위구르 왕국을 세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 및 농경 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했다. 위구르족의 쌔내무는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에 기록되어 있는 무형유산중 하나이자 중국 중등교과과정에서 필수적 수행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n\n특징:\n∙농경 생활의 일상적 동작을 응용\n∙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동작\n\n출연자: 연변흠정무용단\n예술감독: 김영화\n안무가: 김영화
China -
쌔내무
쌔내무(赛乃姆)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의 생활, 풍속, 성격 및 복식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 무용이다. 농경 생활 속에서 전문 예능인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널리 전승되어 왔다. 춤 동작 또한 모자를 잡거나 소맷자락 뒤집기, 치마 끌기, 먼 곳을 응시하며 가슴 더듬기 등 주로 일상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특징이며, 하체 부분은 무릎을 유연하게 사용해 다리 아래 쪽을 민첩하고 가볍게 보이도록 춘다.\n\n위구르족 사람들은 명절이나 결혼식 등 기쁜 일이 있을 때면 민간 음악인 쌔내무에 맞춰 머리와 목 부위를 자연스레 흔들며 춤을 춘다. 형식과 동작은 정해진 순서가 없으며 자유분방하고 즉흥적이다. 주로 남녀 두 사람이 추지만 독무, 3인무, 군무까지 인원수에 제한이 없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음악은 서정적이고 우아하며 현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점 명쾌한 리듬과 속도로 변하기도 한다. 춤 중간에 무용수들은 종종 갑자기 춤을 멈추고 유머러스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데, 이는 위구르족의 낙관적이고 유머러스한 면을 반영한다.\n\n위구르족은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중국 서북부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주로 분포한다. 서기 744년 동 돌궐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제국을 세웠다. 840년 키르기즈(Kirgiz)에게 멸망한 뒤에도 간쑤(甘肅), 둔황(敦煌), 투르판(吐魯蕃) 등지에 위구르 왕국을 세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동서의 문화와 유목 및 농경 문화를 융합한 수준 높은 문화를 형성했다. 위구르족의 쌔내무는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에 기록되어 있는 무형유산중 하나이자 중국 중등교과과정에서 필수적 수행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n\n특징:\n∙농경 생활의 일상적 동작을 응용\n∙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머리를 흔드는 동작\n\n출연자: 연변흠정무용단\n예술감독: 김영화\n안무가: 김영화
China -
전통 악기 모린 후르(Morin Khuur)
모린 후르는 두 줄을 가진 현악기이며(악기의 윗부분에 말머리 장식이 있다) 몽골 전통 문화를 대표하는 민속악기이다. 말총으로 만들어진 두 현과 활은 넓은 음역을 내며, 멜로디의 완벽한 조화를 생성한다.
Mongolia -
전통 활 제작 기술
활 쏘기는 몽골인들의 전통적인 스포츠이다. 이 무형문화유산은 사격술과 함께 활과 화살 제작 기술 및 관련 의례들을 포함한다. 활과 화살은 짐승의 뿔, 대나무, 현지에 자생하는 나무 등으로 만든다.
Mongolia -
몽골의 축제
몽골여행중 운좋게 유목민들의 축제인 Tamagni nair(Тамагны найр)을 만났습니다.\n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말들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낙인을 찍고, 말들의 건강을 비는 축제였습니다.\n한 마리의 말을 잡기 위해서 주변 유목민들과 힘을 모으고, 낙인을 찍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모습에 자신들의 삶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고 있는 동물들과 공생하기 위한 그들의 오래된 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n우리 주변에는 알려지지 않은 무형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또한 '주류'문화에 밀려, 지금은 그 중요성이 쇠퇴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n하지만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고, 우리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Mongolia -
몽골의 축제
몽골여행중 운좋게 유목민들의 축제인 Tamagni nair(Тамагны найр)을 만났습니다.\n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말들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낙인을 찍고, 말들의 건강을 비는 축제였습니다.\n한 마리의 말을 잡기 위해서 주변 유목민들과 힘을 모으고, 낙인을 찍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모습에 자신들의 삶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고 있는 동물들과 공생하기 위한 그들의 오래된 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n우리 주변에는 알려지지 않은 무형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또한 '주류'문화에 밀려, 지금은 그 중요성이 쇠퇴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n하지만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고, 우리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Mongolia -
몽골의 축제
몽골여행중 운좋게 유목민들의 축제인 Tamagni nair(Тамагны найр)을 만났습니다.\n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말들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낙인을 찍고, 말들의 건강을 비는 축제였습니다.\n한 마리의 말을 잡기 위해서 주변 유목민들과 힘을 모으고, 낙인을 찍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모습에 자신들의 삶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고 있는 동물들과 공생하기 위한 그들의 오래된 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n우리 주변에는 알려지지 않은 무형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또한 '주류'문화에 밀려, 지금은 그 중요성이 쇠퇴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n하지만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고, 우리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Mongolia -
몽골의 축제
몽골여행중 운좋게 유목민들의 축제인 Tamagni nair(Тамагны найр)을 만났습니다.\n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말들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낙인을 찍고, 말들의 건강을 비는 축제였습니다.\n한 마리의 말을 잡기 위해서 주변 유목민들과 힘을 모으고, 낙인을 찍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모습에 자신들의 삶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고 있는 동물들과 공생하기 위한 그들의 오래된 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n우리 주변에는 알려지지 않은 무형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또한 '주류'문화에 밀려, 지금은 그 중요성이 쇠퇴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n하지만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고, 우리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Mongolia -
몽골의 축제
몽골여행중 운좋게 유목민들의 축제인 Tamagni nair(Тамагны найр)을 만났습니다.\n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생후 몇 개월 되지 않은 말들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낙인을 찍고, 말들의 건강을 비는 축제였습니다.\n한 마리의 말을 잡기 위해서 주변 유목민들과 힘을 모으고, 낙인을 찍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모습에 자신들의 삶과 가장 깊은 연관을 갖고 있는 동물들과 공생하기 위한 그들의 오래된 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n우리 주변에는 알려지지 않은 무형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또한 '주류'문화에 밀려, 지금은 그 중요성이 쇠퇴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잊혀져 가고 있습니다.\n하지만 지금도 세계 어딘가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고, 우리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양한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Mong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