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우즈베키스탄
ICH Materials 159
-
소히브 자몰
황금색 자수가 놓인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손에 거울을 들고 춤을 춘다. 거울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미인을 표현하는 중요한 소품이다. 소히브 자몰(Sokiv Jamor)은 타직어로 ‘미녀들’이라는 뜻으로, 오직 샤(Shah, 페르시아 어로 왕을 뜻함) 앞에서만 춤을 추었던 궁중무용수들의 춤이다. 보통 10명이나 16명, 24명의 여성이 한 팀을 이루며, 17세기 궁정 음악가들이 만든 타지키스탄의 전통 음악 ‘사쉬미콤(Shashmaqom)’에 맞춰 춤을 춘다. 6개의 마콤을 뜻하는 사쉬마콤은 창악과 기악, 독특한 선율과 장단, 시가 융화된 예술로 2008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이다.\n\n거의 2천 년 전, 오늘날 중앙아시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르크인이 들어오기 전, 현재의 타지키스탄 지역에는 페르시아인, 소그드인, 쿠샨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살았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아리아와 이란의 유산을 전승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중에서도 타지키스탄의 전통 무용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인 면이 돋보인다. 전문 안무 예술(무용)은 타지키스탄의 가장 오래된 예술분야의 하나로 현재 다양한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n\n출연자: 바즈모로 무용단(Bazmoro Tajikistan National Dance Ensemble)\n예술감독: Qurbonali Kholov
Tajikistan -
소히브 자몰
황금색 자수가 놓인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손에 거울을 들고 춤을 춘다. 거울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미인을 표현하는 중요한 소품이다. 소히브 자몰(Sokiv Jamor)은 타직어로 ‘미녀들’이라는 뜻으로, 오직 샤(Shah, 페르시아 어로 왕을 뜻함) 앞에서만 춤을 추었던 궁중무용수들의 춤이다. 보통 10명이나 16명, 24명의 여성이 한 팀을 이루며, 17세기 궁정 음악가들이 만든 타지키스탄의 전통 음악 ‘사쉬미콤(Shashmaqom)’에 맞춰 춤을 춘다. 6개의 마콤을 뜻하는 사쉬마콤은 창악과 기악, 독특한 선율과 장단, 시가 융화된 예술로 2008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이다.\n\n거의 2천 년 전, 오늘날 중앙아시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르크인이 들어오기 전, 현재의 타지키스탄 지역에는 페르시아인, 소그드인, 쿠샨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살았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아리아와 이란의 유산을 전승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중에서도 타지키스탄의 전통 무용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인 면이 돋보인다. 전문 안무 예술(무용)은 타지키스탄의 가장 오래된 예술분야의 하나로 현재 다양한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n\n출연자: 바즈모로 무용단(Bazmoro Tajikistan National Dance Ensemble)\n예술감독: Qurbonali Kholov
Tajikistan -
소히브 자몰
황금색 자수가 놓인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손에 거울을 들고 춤을 춘다. 거울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미인을 표현하는 중요한 소품이다. 소히브 자몰(Sokiv Jamor)은 타직어로 ‘미녀들’이라는 뜻으로, 오직 샤(Shah, 페르시아 어로 왕을 뜻함) 앞에서만 춤을 추었던 궁중무용수들의 춤이다. 보통 10명이나 16명, 24명의 여성이 한 팀을 이루며, 17세기 궁정 음악가들이 만든 타지키스탄의 전통 음악 ‘사쉬미콤(Shashmaqom)’에 맞춰 춤을 춘다. 6개의 마콤을 뜻하는 사쉬마콤은 창악과 기악, 독특한 선율과 장단, 시가 융화된 예술로 2008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이다.\n\n거의 2천 년 전, 오늘날 중앙아시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르크인이 들어오기 전, 현재의 타지키스탄 지역에는 페르시아인, 소그드인, 쿠샨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살았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아리아와 이란의 유산을 전승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중에서도 타지키스탄의 전통 무용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인 면이 돋보인다. 전문 안무 예술(무용)은 타지키스탄의 가장 오래된 예술분야의 하나로 현재 다양한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n\n출연자: 바즈모로 무용단(Bazmoro Tajikistan National Dance Ensemble)\n예술감독: Qurbonali Kholov
Tajikistan -
소히브 자몰
황금색 자수가 놓인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손에 거울을 들고 춤을 춘다. 거울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미인을 표현하는 중요한 소품이다. 소히브 자몰(Sokiv Jamor)은 타직어로 ‘미녀들’이라는 뜻으로, 오직 샤(Shah, 페르시아 어로 왕을 뜻함) 앞에서만 춤을 추었던 궁중무용수들의 춤이다. 보통 10명이나 16명, 24명의 여성이 한 팀을 이루며, 17세기 궁정 음악가들이 만든 타지키스탄의 전통 음악 ‘사쉬미콤(Shashmaqom)’에 맞춰 춤을 춘다. 6개의 마콤을 뜻하는 사쉬마콤은 창악과 기악, 독특한 선율과 장단, 시가 융화된 예술로 2008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이다.\n\n거의 2천 년 전, 오늘날 중앙아시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르크인이 들어오기 전, 현재의 타지키스탄 지역에는 페르시아인, 소그드인, 쿠샨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살았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아리아와 이란의 유산을 전승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중에서도 타지키스탄의 전통 무용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인 면이 돋보인다. 전문 안무 예술(무용)은 타지키스탄의 가장 오래된 예술분야의 하나로 현재 다양한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n\n출연자: 바즈모로 무용단(Bazmoro Tajikistan National Dance Ensemble)\n예술감독: Qurbonali Kholov
Tajikistan
-
타지키스탄 - 소히브 자몰
황금색 자수가 놓인 화려한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이 손에 거울을 들고 춤을 춘다. 거울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미인을 표현하는 중요한 소품이다. 소히브 자몰(Sokiv Jamor)은 타직어로 ‘미녀들’이라는 뜻으로, 오직 샤(Shah, 페르시아 어로 왕을 뜻함) 앞에서만 춤을 추었던 궁중무용수들의 춤이다. 보통 10명이나 16명, 24명의 여성이 한 팀을 이루며, 17세기 궁정 음악가들이 만든 타지키스탄의 전통 음악 ‘사쉬미콤(Shashmaqom)’에 맞춰 춤을 춘다. 6개의 마콤을 뜻하는 사쉬마콤은 창악과 기악, 독특한 선율과 장단, 시가 융화된 예술로 2008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이다.\n\n거의 2천 년 전, 오늘날 중앙아시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르크인이 들어오기 전, 현재의 타지키스탄 지역에는 페르시아인, 소그드인, 쿠샨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살았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아리아와 이란의 유산을 전승하고 있는 타지키스탄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은 여기에서 비롯한다. 그중에서도 타지키스탄의 전통 무용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인 면이 돋보인다. 전문 안무 예술(무용)은 타지키스탄의 가장 오래된 예술분야의 하나로 현재 다양한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n\n출연자: 바즈모로 무용단(Bazmoro Tajikistan National Dance Ensemble)\n예술감독: Qurbonali Kholov
Tajikistan Aug 29, 2016 -
새봄 명절 ‘나브루즈’
전통 명절 ‘나브루즈’(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n나브루즈(Navruz)는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가장 크게 축하하는 명절 중 하나다. 나브루즈는 2009년 7개국에 의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대표목록에 등재된 바 있다. 나브루즈를 기념하는 나라들 중 일부가 추가로 협약당사자가 된 점을 고려해 2016년 12개국의 공동등재로 재지정되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3월 21일이 나브루즈 국경일로 공표되었지만 마할라 자치주와 공화국에 속한 몇몇 지역에서는 한 달간 나브루즈를 축하한다. 영상에서는 타슈켄트의 마할라 지역의 한 곳과 페르가나 지역의 놀이공원, 문화예술연구원에서 이루어지는 나브루즈 축하행사를 보여준다. 궁중요리인 ‘나브루즈-수말락(Navruz-sumalak)’과 야채를 곁들인 파이 ‘코크 솜사(Kok somsa)’, 야채를 소로 넣은 ‘코크 추취바라(Kok chuchvara)’ 같은 봄철 요리를 해먹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n\n민속공연단, 꼭두각시 조종자, 줄타기 곡예사, ‘폴본(Polvon)’이라 불리는 씨름선수, 현대 가수들의 공연과 그 밖의 다양한 민속놀이 경연 등이 나브루즈 축하 기간에 진행된다. 나브루즈는 새해의 시작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더 가까이 결속시키고 축제의 참여자들 사이에 사랑과 애정을 전파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Uzbekistan 2017 -
할아버지의 비밀 정원
우즈벡의 원예 기술과 지식\n이 영상은 우즈베키스탄 여러 지역의 원예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보여주며, 후대에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알려준다. 영상은 페르가나 계곡에 있는 들판과 정원들, 그리고 페르가나 계곡의 올티아리크(Oltiariq)에 사는 압둘보히드 코지(Abdulvokhid Khoji)의 집을 배경으로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촬영되었다. 92세가 된 압둘보히드 코지의 부친이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미래의 세대들, 특히 아들과 손주들에게 장인과 도제의 전통에 따라 가르쳐왔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Uzbekistan 2017 -
도스톤 서사시
도스톤 구술서사시\n우즈베키스탄 도스톤 노래꾼들의 노래 방식은 지역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된다. 목 뒤에서 나는 소리를 이용하여 전통 북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것이 ‘수르호다랴-카쉬카다랴(Surkhondarya-Qashqadarya)’ 지역의 방식이라면 토르(Tor)와 도이라(Doira), 볼라만(Bolaman) 반주에 맞추어 자연스러운 목소리로 노래하는 것은 호레즘(Khorezm) 지역의 방식이다. \n\n카라칼파크(Karakalpak) 지역 방식 중에서도 ‘바흐시(Baqsi)’라고 불리는 노래꾼들은 ‘카라칼파크 두타르(Karakalpak dutar)’와 ‘기자크(Ghijjak)’반주에 맞추어 낭만적인 도스톤을 노래하고, ‘지라우(Jirov)’라고 불리는 노래꾼들은 ‘코비즈(Kobyz)’ 반주에 맞추어 영웅 서사시를 노래한다. \n\n본 영상은 세 지역을 대표하는 노래꾼들의 공연과 삶의 방식, 전승 모습과 더불어 전통악기 제작 과정을 보여준다.
Uzbekistan 2017
-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인 무형유산 NGO 포럼과 공동으로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 간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전 세계 10개국 11명의 선정된 발표자를 포함한 15명의 참가자들은 코로나 시대 변형, 적용된 각 국의 다양한 활동 사례와 사업 경험을 공유하고, ‘뉴 노멀’ 시대 무형유산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연대를 제안하였다.\n한국어 자료는 149쪽부터 수록되어있다.\n\n세션 1: 코로나19 시대,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n\n특별강연 1: '회복탄력성 체계 분석과 무형유산, NGO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도전과제' (로베르토 마르티네즈, 경제협력개발기구 멕시코지부)\n1. '무형유산 보호와 웰빙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관리 방안' (카롤리나 베르무데즈, 에트놀라노재단)\n2. '홍콩 윤롱지구 공동체 기반 무형유산을 위한 거시적 발전 모델 구축' (카이퀑 초이, 생명회복기금)\n3. '코로나 대항 매개체로서의 짐바브웨 토착지식' (알링턴 엔드로브, 아마구구국제유산센터)\n4.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 (디비야 보라, 사회과학연구소)\n\n세션 2: 코로나19가 NGO 활동에 가져온 변화\n\n1. '코로나19, ICCN 소속 도시들의 대응방안' (훌리오 나세르, 무형문화도시연합)\n2. '코로나 시대 예술과 문화교육 혁신' (제프리 풀린, 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n3. '파키스탄 칼라샤 지역의 무형유산을 통해 보는 유산교육 촉진' (지아수딘 피르 & 미자 우바이드, THAPP)\n4.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n\n세션 3: 통섭: 무형유산 교육 분야 원형과 전형\n\n특별강연 2: '지역 불균형 : 2003년 협약에 따른 인가 NGO의 균형 대표성 문제' (마티 하카마키, 핀란드민속음악원)\n1. '포스트 코로나, 공예 부문 공동체 회복탄력성 구축' (조셉 로, 세계공예협회)\n2. '예술과 영향력: 문화분야 기업 참여 과제' (니콜라스 포젝, 콜롬비아대학교)\n3. '청년 교육 강화를 통한 공동체 역량강화: 알프스 남서부의 무형유산 사례를 통하여' (알레시오 레 &지울리아 아반자, 산타가타문화경제재단)\n\n
South Korea 2020 -
아태지역 무형유산 영상제작사업: 중앙아시아 (살아있는 유산: 삶의 지혜)
아태지역 무형유산 영상제작사업: 중앙아시아 (살아있는 유산: 삶의 지혜)\n\n급격한 도시화와 세계화로 인해 무형유산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무형유산의 변화와 그 추이를 파악하는 기록 작성이 보호 조치의 일환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특히 현존하는 무형유산을 보존·전승하는 데 있어 가시성을 확보하는 양질의 영상제작은 더욱 중요한 보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n\n영상은 최신의 기술을 활용해 무형유산을 가장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는 기록 매체이자 또한 대중과 소통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입니다. 하지만 아태지역의 영상 제작 환경이 상대적으로 취약해 이를 위한 많은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회원국의 무형유산 보호 역량을 강화하고, 아태지역 무형유산의 가시성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각국의 무형유산 전문가들, 공동체, NGO 등과 협력해 무형유산의 생생한 현장 기록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n\n센터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무형유산 보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해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과 함께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보호 협력 네트워크 회의(중앙아 협력회의)를 개최해왔습니다. \n\n센터는 해당 협력 회의를 통해 무형유산 정보수집, 무형유산 웹사이트 제작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센터와 중앙아시아 4개국 및 몽골은 지난 2015년 전주에서 개최된 6차 회의에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가시성 제고를 위한 2차 3개년 사업계획을 채택하면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영상제작’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사업 참여국 지원을 위해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영상제작’ 사업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15년 11월 중앙아시아의 영상 및 무형 유산 전문가를 초청하여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이후 국가별로 지정된, 포컬 포인트 기관들은 영상기록을 담당할 전문가회의 및 영상기록팀을 구성하여 약 2년간 영상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n\n2016년 2월 말 각국의 중간보고 이후, 2016년 5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개최된 ‘제7차 중앙아 협력회의’ 기간 중 5개국이 모두 모여, 국가별 영상 샘플을 시사하고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2016년 말부터 2017년 초까지 몽골, 한국, 타지키스탄 등에서 바쁘게 중간점검 실무회의가 개최되었고, 마침내 2017년 7월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서 개최된 ‘제8차 중앙아시아 협력회의’ 기간 중 최종 공개 시사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후 최종 편집 작업을 거쳐 각국의 무형유산을 담은 영상 50편이 완성되었습니다.
Kyrgyzstan,Kazakhstan,Mongolia,Tajikistan,Uzbekistan 2017 -
페르가나 지역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영상 및 음원 자료_2012 우즈베키스탄 무형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 사업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주, 안디잔 주, 나망간 주를 아우르는 페르가나 계곡 지대에는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전통 의례와 축제, 그리고 전통 공예와 같은 빼어난 무형유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4개국은 2011년부터 중앙아시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온라인 툴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목록작성 지원 3개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형유산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민속예술연구센터가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와의 협력 하에 본 3개년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페르가나 계곡 지역, 자라프샨과 우즈베키스탄 남부 지역, 나보이, 부하라, 코레즘 주와 카라칼팍스탄공화국 등지의 무형유산 종목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에서의 1차 현지조사가 완료된 시점인 2012년, 우즈베키스탄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수집된 영상, 음원, 사진, 보유자 인터뷰 자료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10장의 DVD/CD 세트로 엮었습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이 해당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영어, 우즈벡어, 한국어 해설집을 제작하여 선집과 함께 배포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 위구르, 투르크 족 등 각기 다른 공동체들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면, 각자의 고유한 전통들이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작된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 중 하나인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미술과 노래, 반주, 그리고 서사시를 통합한 독창적인 민요의 한 종류로, 이곳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n\n자료들을 디지털화 시키고, 배포하여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유산을 알리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되어 사라져가는 무형유산들을 보호하고 전문가부터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알려 문화 간 이해와 대화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Uzbekistan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라파르 (Lapar)
민속 창작의 고대 장르 중 하나인 라파르 공연예술은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라파르 노래는 유명한 예술인들에 의해 명절, 민속 축제, 그리고 결혼식 날 저녁 신부집에서 진행되는 “여자들의 저녁”, “여자들의 파티”, “라파르의 밤”이라고 불리는 연회에서 연행되었다. 여자들과 남자들이 양편으로 나란히 서서, 낭만적인 가잘-바이트(g‘azal-bayt)를 부른다. \n\n라파르 노래를 통해 남녀는 서로에게 사랑을 표현하고 맹세하며 가슴 속 한恨을 음악 없이, 특정한 음조로 노래하였다. 만일 라파르를 부르던 남자와 여자가 서로 마음에 들게되면, 노래를 부르다 말고 서로에게 선물을 주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남자들은 보통 꽃을 건네고, 여자는 조각보, 손수건, 향수, 등을 선물하였다.\n\n라파르는 기본적으로 4행으로 구성되는데, 양편으로 나누어 대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 점에서 올란(O'lan)과 비슷하지만, 사상적·예술적 특징, 묘사 대상, 노래되는 삶의 양식, 생생한 생각의 표현 정도 등으로 구별된다. 유명한 예술가 루트피호님 사림소코바(Lutfikhonim Sarimsoqova), 타마라호님(Tamarakhonim), 리자호님 페트로소바(Lizakhonim Petrosova), 가브하르 라히모바(Gavkhar Rakhimova), 오이혼 요쿠보바(Oykhon Yoqubova), 굴숏 오타보예바(Guishan Otaboyeva), 토흐타혼 나자로바 (To'khtakhon Nazarova), 쿤두즈혼 에감베르디예바(Qunduzkhon Egamberdiyeva) 등은 라파르 공연 예술을 세계적으로 알렸다. \n\n오늘날에는 라파르 및 올란 노래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문화체육부 산하 국립민속예술과학연구센터는 라파르·올란을 수집하고, 민요 현행자들을 후원하며, 그들의 창작물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라파르·올란 연행자들의 전국 대회·축제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Uzbekistan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올란 (O‘lan)
올란(O'lan)은 민간 구비 창작 장르로서, 주로 여성들이 도이라나 칠드르마(childirma) 연주와 함께 또는 무반주로 연행한다. 우즈벡 의례, 연회 등에서 한 쪽에는 여자들이, 반대 쪽에는 남자들이 서서 팀으로 할 수도 있고, 두 사람이 대화 형식으로 부를 수도 있다.\n\n요르요르(Yor-Yor)는 결혼식 때 부르는 민요이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즈벡, 타직, 위구르 및 투르크멘 민족 사이에 널리 보급되었다. 요르-요르는 2행 혹은 4행 형태로 구성되고, 각 마디의 끝이나 간혹 중간에 "Yor-yor, Aylanaman(내사랑, 사랑스럽구나)"와 같은 말을 넣어 부른다. 보통 도이라 반주와 함께 신부를 배웅하는 여성들이 부르는데, 페르가나 지역(페르가나, 오시, 호잔드)이나 자랍샨 지역에서 (신부를 데리러-역주) 신부집으로 이동하는 남자들이 부르기도 한다. 요르-요르의 강력한 영향력은 애잔하고 구슬픈 음조와 함께, 잔치 분위기의 쾌활함이 동시적으로 표현된다는데 있다. 요르-요르에는 신부의 장점, 꿈과 희망, 기원, 축복의 메세지가 담긴다. \n\n우즈베키스탄 문화체육부 산하 국립민속예술과학연구센터, 그리고 유네스코 우즈베키스탄 국가위원회 협력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연구하고, 분류 및 목록 작업을 하고, 유산 전승자 및 전수자를 구체화하기 위해 페르가나 지역에서 수행된 답사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전수자들로부터 많은 올란들이 기록되었다. 하이룰로 미르자옙(Xayrullo Mirzayev), 하니파 미르자예바(Hanifa Mirzayeva), 이노얏 라피코바(Inoyat Rafiqova), 바흐부바 욜도셰바(Makhbuba Yo'ldosheva), 바흐티요르 투르구놉(Baxtiyor Turg'unov), 제비혼 압두나자로바(Zebikhon Abdunazarova), 코파이슨 아야 옥보예바(Ko'paysin Oqboyeva), 코지혼 싯디코바(Qo'zikhon Siddiqova) 등이 이들에 속한다.
Uzbekistan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알라 (Alla)
알라(Alla) 노래는 아기를 재울 때 여성이 홀로 부르는 구비 형식 중 하나이다. 알라는 자녀 양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라 노래의 뿌리는 튀르크족(Turkic) 고유의 것임이 많은 자료들에서 강조된 바 있다. 알라는 자식을 향한 어머니의 사랑, 꿈과 희망, 소망을 언급하는 동시에 다양한 정신적인 경험들도 표현한다.\n\n알라는 만드는 사람도 부르는 사람도 어머니 자신이다. 알라의 내용과 가락은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에서 비롯된다. 노래가 불린 시대의 정신이 알라에 반영되는데, 오늘날 어머니들을 삶에 대한 애정, 행복한 삶, 밝은 미래를 찬미하며 새로운 내용의 알라를 부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문화체육부 산하 국립민속예술과학연구센터와 유네스코 우즈베키스탄 국가위원회가 협력하여 무형문화유산을 연구, 분류, 기록하고 목록을 만들며 전승자 및 전수자를 구체화하기 위해 페르가나 지역으로 답사단이 파견되었다. 답사 동안 어머니의 사랑과 인간의 정신적 경험의 고통스러운 부분이 표현된 알라 노래 중 몇몇 표본들이 기록되었다. \n\n알라(Alla)\n알라를 불러줄게 사랑스러운 아가야\n귀를 기울여보렴, 알라\n달콤한 알라를 듣고 천천히\n쉬거라, 알라\n달콤한 알라를 듣고 조용히\n잠들거라, 알라\n너의 미래는 밝단다\n우리 귀여운 아가, 알라-\n\n
Uzbekistan 2015 -
우즈베키스탄의 민속음악
실크로드의 길목, 우즈베키스탄의 민속음악\n\n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은 사막 또는 초원지대로서 사람들은 주로 유목을 하지만, 드문드문 발달한 오아시스 지역에는 정착 농경생활을 하기도 한다. 우즈벡은 실크로드의 중요한 길목으로서 예로부터 동서의 문물이 교차하던 곳이다. 우즈벡에는 카자흐나 타지크 사람들이 곳곳에 집단을 이루어 살고 있고, 국경에서는 주변 나라의 상인이나 유목민들이 자연스레 넘나든다.\n\n우즈벡 사람들은 춤과 노래를 매우 즐긴다. 우즈벡에는 오래 전부터 ‘앙상블’이라고 하는 지역단위의 민간 공연단체가 조직돼 있어, 모든 축제나 행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은 전래되어 오던 민요와 악기연주를 조합하고 각색하여 춤과 노래와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공연을 벌인다. 우즈벡 동남부의 보이순에서는 전국의 앙상블이 참가하는 보이순 축제가 해마다 열리고 있다.\n\n우즈벡에서 때묻지 않은 민요를 찾으려면 당나귀라도 타고 산간 오지마을로 들어가야 한다. 이런 산골에서는 그림같은 풍경과 푸근한 인심을 만날 수 있고, 소박한 노래를 덤으로 들을 수 있다. 우즈벡의 보이순 지역은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는 멋진 산악지역이다.\n\n우즈벡 민요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아이들 노래가 많다는 것이다. 우즈벡의 아이들은 지금도 우리가 옛날에 불렀던 것만큼이나 많은 종류의 동요를 부르고 논다. 우즈벡에서는 또한, 직업적 소리꾼인 ‘박쉬’가 부르는 장대한 영웅서사시를 들을 수 있다.
Uzbekistan 200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주, 안디잔 주, 나망간 주를 아우르는 페르가나 계곡 지대에는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전통 의례와 축제, 그리고 전통 공예와 같은 빼어난 무형유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4개국은 2011년부터 중앙아시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온라인 툴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목록작성 지원 3개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형유산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민속예술연구센터가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와의 협력 하에 본 3개년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페르가나 계곡 지역, 자라프샨과 우즈베키스탄 남부 지역, 나보이, 부하라, 코레즘 주와 카라칼팍스탄공화국 등지의 무형유산 종목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에서의 1차 현지조사가 완료된 시점인 2012년, 우즈베키스탄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수집된 영상, 음원, 사진, 보유자 인터뷰 자료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10장의 DVD/CD 세트로 엮었습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이 해당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영어, 우즈벡어, 한국어 해설집을 제작하여 선집과 함께 배포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 위구르, 투르크 족 등 각기 다른 공동체들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면, 각자의 고유한 전통들이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작된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 중 하나인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미술과 노래, 반주, 그리고 서사시를 통합한 독창적인 민요의 한 종류로, 이곳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n\n자료들을 디지털화 시키고, 배포하여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유산을 알리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되어 사라져가는 무형유산들을 보호하고 전문가부터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알려 문화 간 이해와 대화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Uzbekistan 2015 -
우즈베키스탄인들의 전통 멜로디(2014-2015 우즈베키스탄 순수예술연구소 소장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
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산하 예술 연구소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민속음악유산 음원 CD 세트, 「우즈베키스탄의 멜로디(Melodies from Uzbekistan)」를 발간했습니다.\n\n이 음원 선집은 우즈베키스탄 국립학술원 산하 예술연구소의 오래된 오디오 녹음 자료들을 현재 사용되는 매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간한 것입니다. 선집에 담긴 음원들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즈베키스탄과 국경 지역에서 현장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와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민속 음악입니다. 총 여덟 장의 CD는 노동, 가축 사육, 의식용 노래 등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우즈베키스탄의 노래 유산과 두타르(Dutor), 가지르 나이(G’ajir Nay)와 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 관악기 등으로 연주한 기악 외에도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산인 마콤(Maqom)이나 구전예술전통인 도스톤(Doston) 등을 담고 있습니다.\n\n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전통 음악이 낯설게만 들릴 수도 있지만, 여덟 장의 음원 CD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민속 음악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설자료(한국어, 영어, 우즈베키스탄어)가 포함되어 있어 국내외 대중들 역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n우즈베키스탄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특징을 모두 들려주는 CD 선집은 앞으로 무형유산 교육 및 홍보 자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zbekistan 2015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11 (목피(木皮)·짚풀 공예와 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11권의 테마는 「목피(木皮)·짚풀 공예와 무형문화유산」입니다.
South Korea 2012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VOL.32 (옻칠공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32권의 테마는 「옻칠공예」입니다.
South Korea 2017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46 (새해맞이 전통공연)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46권의 테마는 「새해맞이 전통공연」입니다.\n\n아태지역의 공동체들은 지역과 종교별로 각기 다른 시기에 새해를 맞이하며 춤과 노래 및 고유의 풍습을 통해 새로운 시작을 환영한다. 이번 호에서는 새로운 한해의 시작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일본, 네팔, 미크로네시아 그리고 미얀마의 전통공연 예술을 소개한다.
South Korea 2021 -
2018 국제포럼_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고등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는 7월 17일 서울에서 유네스코방콕사무소,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공동으로 국제포럼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고등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다」를 개최했습니다.\n\n본 자료집에는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학들의 다양한 무형유산관련 교과 과정 및 공동체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을 통한 고등교육기관의 무형유산 보호에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아시아태평양지역 12개국 무형유산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논의한 결과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outh Korea 2018
-
무형유산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2013년 유네스코 방콕사무소는 이슬라마바드, 하노이, 아피아, 타슈켄트 사무소와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인식 제고 교육법의 하나로써 무형유산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시험하는 것이었다. 일본 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프로젝트 활동은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 10년(2005~1014)’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이루어졌다.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용 지침서와 시범강의 계획서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교사들이 지역 지식 및 관습에 토대를 둔 교육자료 개발에 좋은 안내서가 될 것이다. 파키스탄, 팔라우,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의 17개 학교가 이번 시범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문화만을 내용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교과 과목의 교육을 풍부하게 할 자료로의 무형유산 활용에 초점을 두었다.Year2014NationSouth Korea
-
알파미쉬알타이, 타타르, 바쉬키르, 카자흐, 카라칼팍인들을 비롯한 투르크어 사용 민족들의 동화와 서사시, 다스탄(우즈베키스탄의 구전 서사시)을 보면, 유사한 장면이 다수 발견된다. 이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구전되는 알파미쉬 이야기가 투르크 구전 민속예술의 산물이며, 오랜 역사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알파미스’, ‘알파미로스 보티르’, ‘알립-마나쉬’, ‘알팜샤’, ‘바르친 히루프’ 등 다양하게 불리는 알파미쉬는 우즈베키스탄 외 지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Year2018Nation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