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ICH Materials 893
Publications(Article)
(389)-
삶과 사상, 소중한 한국의 의술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NGO포럼의 온라인 자매지인 #헤리티지얼라이브와 함께 무형유산 NGO 활동을 진흥하고자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의술 : 현장의 경험 공유』을 발간하였습니다.\n해당 도서는 전통의술과 현대의학을 비교하는 대신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독자들에게 전통의술의 다양성 및 관련 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전통 의술과 음악: 음악 요법으로서의 파스텔레싸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NGO포럼의 온라인 자매지인 #헤리티지얼라이브와 함께 무형유산 NGO 활동을 진흥하고자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의술 : 현장의 경험 공유』을 발간하였습니다.\n해당 도서는 전통의술과 현대의학을 비교하는 대신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독자들에게 전통의술의 다양성 및 관련 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전통 치료사의 증언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NGO포럼의 온라인 자매지인 #헤리티지얼라이브와 함께 무형유산 NGO 활동을 진흥하고자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의술 : 현장의 경험 공유』을 발간하였습니다.\n해당 도서는 전통의술과 현대의학을 비교하는 대신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독자들에게 전통의술의 다양성 및 관련 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Le reboutement au Burkina Faso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NGO포럼의 온라인 자매지인 #헤리티지얼라이브와 함께 무형유산 NGO 활동을 진흥하고자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의술 : 현장의 경험 공유』을 발간하였습니다.\n\n해당 도서는 전통의술과 현대의학을 비교하는 대신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독자들에게 전통의술의 다양성 및 관련 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아제르바이젠 카펫 직조 전통의 부활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보호를 위해 활동하는 7개국 8개 NGO들의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책으로 출판하였다. 특히 금년도 세부주제는 ‘SDG 4, 양질의 교육’으로 무형유산보호활동과 교육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NGO들은 공동체, 연행자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공식·비공식 교육을 통하여 무형유산 보호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로의 전승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2003년 협약이 강조하고 있는 바를 어떻게 구체화하고, 무형유산이 유엔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지를 제시한다.Year2018NationSouth Korea
-
인도 히말라야의 자연, 학습 그리고 전통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보호를 위해 활동하는 7개국 8개 NGO들의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책으로 출판하였다. 특히 금년도 세부주제는 ‘SDG 4, 양질의 교육’으로 무형유산보호활동과 교육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NGO들은 공동체, 연행자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공식·비공식 교육을 통하여 무형유산 보호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로의 전승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2003년 협약이 강조하고 있는 바를 어떻게 구체화하고, 무형유산이 유엔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지를 제시한다.Year2018NationSouth Korea
-
한국 폐백 음식에 담긴 사회 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음식>편을 발간하였습니다. \n\n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다양한 지역의 16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통해 세계 곳곳의 창의적이고 역사적인 전통음식을 소개합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조리법과 민중 생활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음식>편을 발간하였습니다. \n\n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다양한 지역의 16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통해 세계 곳곳의 창의적이고 역사적인 전통음식을 소개합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집밥의 재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음식>편을 발간하였습니다. \n\n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다양한 지역의 16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통해 세계 곳곳의 창의적이고 역사적인 전통음식을 소개합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The Pastellessa between Music and Traditional Food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음식>편을 발간하였습니다. \n\n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다양한 지역의 16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통해 세계 곳곳의 창의적이고 역사적인 전통음식을 소개합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맺음말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전통음식>편을 발간하였습니다. \n\n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다양한 지역의 16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통해 세계 곳곳의 창의적이고 역사적인 전통음식을 소개합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국경을 넘은 아시아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당진시 지원을 받아 리빙헤리티지시리즈(Living Heritage Series) 두 번째 도서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을 발간했다. \n\n이 도서는 총 7개 국가(캄보디아, 일본, 필리핀, 한국, 태국, 우크라이나, 베트남)에서 연행돼 온 줄다리기를 문화적 다양성과 유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번 도서 출판은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센터가 진행한 줄다리기 관련 심포지엄과 현장연구에 참여한 6개국 저자들의 원고를 보완한 내용 중심으로 기획돼 진행됐다. 이에 더해 우크라이나 저자 또한 이번 도서 출판 작업에 합류해 줄다리기라는 유산이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이외 지역에서도 연행돼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도서는 줄다리기가 가진 보편성과 함께 서로 다른 지역의 연행자들과 연행 방식 및 기원 등을 통해 이 유산이 지닌 문화적 다양성을 드러내고 있다.Year2019NationJapan,Cambodia,South Korea,Philippines,Ukraine,Viet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