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의례
ICH Materials 535
-
몽골 무속 의례 기록 1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몽골 무속 의례 기록 2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우부르항가이 지역 예순-주일 마을의 나담 축제 전야 의례 기록 1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몽골 무속 의례 기록 3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마긴다나오 족 명연주자의 세계
▶ Play 영상 1. 마긴다나오 족 명연주자의 세계\n이 에피소드는 1994년 8월 18일 필리핀 텔레비전에서 처음으로 방영되었다. 에피소드 포맷은 원본을 수정한 것이다.\n\n마긴다나오 족마긴다나우(Magindanaw),마귄다나우(Maguindanaw),마긴다나오(Magindanao),마귄다나 온(Maguindanaon),(Maguindanaon), 마긴다나오안(Magindanaoan),민다나오(Mindanao)등으로 불림은 필리핀에서 규모가 큰 소수민족 중 하나로, 마긴다나오 주(州) 디나이그(Dinaig), 다투 피앙(Datu Piang), 샤리프 아쿠아 크(Shariff Aguak), 불루안(Buluan) 지역 등에 가장 많이 거주한다.\n\n스페인 정복자들은 마긴다나오 족과 지속적으로 접촉했다. 그 때문에 마긴다나오 족이 속한 섬 전체를 이들의 이름을 따서 민다나오(Mindanao)라고 명명했다. 마긴다나오 족 종교인 이슬람교는 이들의 문화, 사회구조, 조직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교가 없었으면 마긴다나오 족은 스페인 정복자들의 침입에 저항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필리핀에서 술탄이 지배하는 지역 3곳 가운데 한 곳이 마긴다나오 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긴다나오 족 술탄국은 한때 민다나오 남부지역 전체에서 의례에 관련한 권한을 행사했다. 마긴다나오 족의 정치사회 체계와 사회적 지위의 위계구조는 술루(Sulu) 술탄국만큼 복잡하다.\n\n왕실은 술탄 쿠다라트(Sultan Kudarat) 주에 있는 마긴다나오 왕실, 다투 피앙 자치체에 있는 부아얀(Buayan)왕실, 툼바오(Tumbao) 자치체에 있는 카분탈란(Kabuntalan) 왕실 등 3개가 있다. 이들은 모두 초기 이슬람선교사 샤리프 카분수안(Sharif Kabunsuan)과 마긴다나오 족의 술탄이었던 쿠다라트(Kudarat)를 시조로생각한다. 마긴다나오 족은 관습법을 따른다. 관습법은 구전 전통으로 구현되며 일상생활 관련 조항을 담고있는 팔루와란(Paluwaran)법에 따른다.\n\n마긴다나오 족은 습지 적응이 특징인 저지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수도(水稻, 논벼)를 주식으로 경작하고 공예와 예술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세련된 직조 기술을 보유했다. 말레이시아 제철 기술을 사용해서 웨이스트 몰드waste mold, 깨부수지 않고는 금형(金型)을 주물(鑄物)에서 분리할 수 없는 방식 기술로 빈랑나무 열매 상자, 타악기 징, 칼, 팔찌 등 예술품을 만들고 동남아시아 대포인 란타카(lantaka)도 만든다. 란타카는 전쟁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귀한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보유하기도 한다.\n\n장식품에 나타나는 특유의 문양은 다른 동남아시아 지역과 연관성을 보이면서도 민족만의 특성이 드러난다. 악기에는 마긴다나오 족의 상징인 악어 문양이 돋보이는 2현 류트 쿠티아피(kutyapi)와 크기가 점증하는 8개의 놋쇠 징으로 이루어진 쿨린탕(kulintang)을 비롯해 크고 소리가 깊은 징, 북, 피리 등이 있다. 마긴다나오 족의 음악은 저음과 치환이 특징이다
Philippines 1994 -
3.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을 위한 국제 경험과 노하우
시오프 정책에 따르면, 세계민속축전이 친목 정신에 따라 개최되고 평화 문화를 도모할 때 문화 만남의 장으로서의 목적이 완전히 달성된다. 무형유산은 세대 간에 전승되는 뛰어난 문화이자, 문화 발전의 원천이며, 문화다양성의 표현이다. 이 새로운 관리 메커니즘은 무형유산과 관광의 통합을 실현한다. ‘일대일로’ 정책이 시행되면서 실제로 무형유산 보호와 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대한 전략적 기회가 제공되었다. 새로운 문명 주기가 시작하는 시기에 전 세계인에게 새로운 문명을 맞이하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중국, 인도, 비옥한 초승달 지대, 그리고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지중해 등 동양에서 서양에 이르기까지 4대 문명 발생지가 있다. 그중에서 인도 문명이 더욱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는데, 이는 아시아 대부분 지역의 문화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 문명은 직간접적으로 전 세계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n\n세계민속축전은 주로 음악, 무용, 경기, 의례, 관습, 수공예 지식 등의 표현 방식을 통해서 무형유산을 증진하고 전파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의 존속과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민속축제는 적합한 문화적 맥락에서 개최되어야 한다. 본 글은 기존 및 신규 세계민속축전에 적절한 문화적 맥락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국제민속축전기구협의회(이하 시오프)에서 문화적 맥락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South Korea 2020-11-19 -
미크로네시아 사푸아피크아톨(Sapwuahfik Atoll)의 축제일
이 비디오는 사푸아피크 아톨의 구전 유산을 기록하기 위한 NGO 파시피카 르네상스의 노력의 노력의 일부로서 촬영된 것이다. 국제 여성의 날 행사가 열리는 축제일을 영상으로 담은 것이다. 이 축제행사는 폰페이섬에서 온 사푸아피크 섬사람들의 방문을 전통적 방식으로 환영하고 기념하는 것이다. 영상에는 음식과 무용 의상 준비, 꽃수레 등 의례행렬 그리고 성가제창 등의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행사 당일 전통무용과 2차 세계대전을 기억하기 위해 작곡된 노래도 담고 있으며 전통 항해용 카누도 촬영하였다.
Micronesia 2016 -
팔로프 만찬
팔로프 문화와 전통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n우즈벡의 생활양식은 팔로프 문화와 깊이 연관되어있다. 탄생 이후의 모든 일생 의례에 팔로프를 먹는 전통이 있다. 심지어 장례식 때도 망자를 기리며 팔로프를 요리해 먹는다. 이러한 전통을 근거로 우리는 우즈벡의 궁중요리인 팔로프가 가족과 친척들, 이웃들, 동료들, 친구들을 더 가깝게 만든다고 얘기할 수 있다.\n\n이 영상은 여러 그룹이 팔로프를 요리하고 소비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팔로프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팔로프를 먹을 때는 몇 가지 규칙도 존재한다.
Uzbekistan 2017
-
페르가나 지역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영상 및 음원 자료_2012 우즈베키스탄 무형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 사업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주, 안디잔 주, 나망간 주를 아우르는 페르가나 계곡 지대에는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전통 의례와 축제, 그리고 전통 공예와 같은 빼어난 무형유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4개국은 2011년부터 중앙아시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온라인 툴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목록작성 지원 3개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형유산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민속예술연구센터가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와의 협력 하에 본 3개년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페르가나 계곡 지역, 자라프샨과 우즈베키스탄 남부 지역, 나보이, 부하라, 코레즘 주와 카라칼팍스탄공화국 등지의 무형유산 종목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에서의 1차 현지조사가 완료된 시점인 2012년, 우즈베키스탄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수집된 영상, 음원, 사진, 보유자 인터뷰 자료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10장의 DVD/CD 세트로 엮었습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이 해당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영어, 우즈벡어, 한국어 해설집을 제작하여 선집과 함께 배포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 위구르, 투르크 족 등 각기 다른 공동체들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면, 각자의 고유한 전통들이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작된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 중 하나인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미술과 노래, 반주, 그리고 서사시를 통합한 독창적인 민요의 한 종류로, 이곳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n\n자료들을 디지털화 시키고, 배포하여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유산을 알리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되어 사라져가는 무형유산들을 보호하고 전문가부터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알려 문화 간 이해와 대화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Uzbekistan 2015 -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인 무형유산 NGO 포럼과 공동으로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 간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전 세계 10개국 11명의 선정된 발표자를 포함한 15명의 참가자들은 코로나 시대 변형, 적용된 각 국의 다양한 활동 사례와 사업 경험을 공유하고, ‘뉴 노멀’ 시대 무형유산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연대를 제안하였다.\n한국어 자료는 149쪽부터 수록되어있다.\n\n세션 1: 코로나19 시대,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n\n특별강연 1: '회복탄력성 체계 분석과 무형유산, NGO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도전과제' (로베르토 마르티네즈, 경제협력개발기구 멕시코지부)\n1. '무형유산 보호와 웰빙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관리 방안' (카롤리나 베르무데즈, 에트놀라노재단)\n2. '홍콩 윤롱지구 공동체 기반 무형유산을 위한 거시적 발전 모델 구축' (카이퀑 초이, 생명회복기금)\n3. '코로나 대항 매개체로서의 짐바브웨 토착지식' (알링턴 엔드로브, 아마구구국제유산센터)\n4.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 (디비야 보라, 사회과학연구소)\n\n세션 2: 코로나19가 NGO 활동에 가져온 변화\n\n1. '코로나19, ICCN 소속 도시들의 대응방안' (훌리오 나세르, 무형문화도시연합)\n2. '코로나 시대 예술과 문화교육 혁신' (제프리 풀린, 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n3. '파키스탄 칼라샤 지역의 무형유산을 통해 보는 유산교육 촉진' (지아수딘 피르 & 미자 우바이드, THAPP)\n4.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n\n세션 3: 통섭: 무형유산 교육 분야 원형과 전형\n\n특별강연 2: '지역 불균형 : 2003년 협약에 따른 인가 NGO의 균형 대표성 문제' (마티 하카마키, 핀란드민속음악원)\n1. '포스트 코로나, 공예 부문 공동체 회복탄력성 구축' (조셉 로, 세계공예협회)\n2. '예술과 영향력: 문화분야 기업 참여 과제' (니콜라스 포젝, 콜롬비아대학교)\n3. '청년 교육 강화를 통한 공동체 역량강화: 알프스 남서부의 무형유산 사례를 통하여' (알레시오 레 &지울리아 아반자, 산타가타문화경제재단)\n\n
South Korea 2020 -
제3차 아시아태평양무형유산고등교육 네트워크(APHEN-ICH) 국제세미나 아시아태평양지역 무형유산의 다양성과 동질성
여러 국가에 걸쳐 분포하는 무형유산의 기본적 특성과 문화 다양성 보존의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무형유산은 국경을 초월한 공유성을 지닌다는 인식의 전환과 확산이 필요하다. 하지만 문화의 경계를 국경과 동일시하는 근대 국민국가 체계로의 전환은 ‘국가 내 문화’ 또는 ‘경계 내 문화’라는 개념을 형성하였으며, 문화의 소유권이 국가로 귀속된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n\n문화의 배타적 소유권 개념은 유네스코 등재 과정에서도 종종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오랫동안 문화유산과 문화영역을 공유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이런 갈등이 과도한 등재 경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경쟁 분위기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과 이를 통한 평화 실현이라는 유네스코의 근본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따라서 유네스코는 지역 협력을 증진하며 국제 보호 활동이라는 협약의 취지를 되살리는 동시에, 국가 간 갈등에 대한 예방과 이미 발생한 갈등의 해결방안으로 협력을 바탕으로 한 공유 무형유산의 공동등재를 권장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공동등재를 강조하며, 문화소유권으로 인한 국가 간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3차례에 걸쳐 이행지침을 개정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무형유산에 관한 연계성이 지역적 수준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n\n이와 더불어 당사국은 소지역 및 지역적 수준에서 협력하도록 관련 공동체, 전문가, 전문센터, 연구소가 특히 그들이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무형유산에 관하여 연계성을 발전시키도록 장려되고 있다. 특히 2018년 11월 모리셔스에서 개최된 제13차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씨름이 남북 공동의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사례는 무형유산이 민족 간 문화적 이해와 연대를 증진하고 평화 구축에 이바지함을 보여준다. 비단 공동등재된 무형유산뿐만 아니라 공유성이 무형유산의 근간임을 인정할 때 문화 다양성의 시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국가 간 평화 달성의 초석이 됨을 인지해야 한다.\n\n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아시아태평양지역 무형유산의 동질성과 다양성이라는 주제로 옻칠 등 아태지역에서 연행되고 있는 비슷하지만 다양한 무형유산을 살펴보며 무형유산이 문화 다양성의 시각을 달성하고, 포괄적 국제협력과 평화를 실현하는 힘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자 한다.
South Korea 2021 -
네팔의 직업음악가 계급
DVD2_네팔의 직업음악가 계급\n\n네팔에는 다마이, 간다르바, 카팔리, 바디라는 네 종류의 세습적 음악가 카스트 계급이 존재한다. 이중 다마이와 간다르바 음악가들을 가장 흔히 볼 수 있으며, 카팔리는 사찰 음악가들이고 바디는 북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다마이는 지배층이 모시는 여신을 위해 연주할 뿐만 아니라, 결혼식과 브라타반다(Bratabandha) 등 모든 종류의 의식과 통과의례에서 연주를 맡는다. 다마이는 판차이 바자(panchai baajaa)라고 하는 그룹을 이루어 공연한다. 판차이 바자는 우주의 다섯 요소이자 모든 생명과 사물을 구성하는 땅, 물, 불, 공기, 하늘을 상징하는 일곱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아홉 명의 음악가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악기 가운데 턈코(tyamko)는 땅을, 다마하(damaha)는 물을, 주르마(jhurma)는 불을, 돌라키(dholaki)는 공기를, 나라싱가 (narasingaa)와 사하나이(sahanai) 그리고 카르날(karnal)은 하늘을 상징한다. 판차이 바자 음악은 이 요소들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게 함으로써 음악적 치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가이네(Gaine)라고도 하는 간다르바 계급의 음악가들은 마을을 돌며 가가호호 방문하여 바잔(성가), 위대한 힌두 서사시에 관한 노래, 그리고 영웅과 용맹에 관한 역사적 노래인 카르카(karkha)를 부른다. 그리고 소식을 전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들은 사랑기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른다.
Nepal 2017
-
깬(kèn) 독주
2009년의 통계에 따르면 산짜이족(Sán Chay)으로도 알려져 있는 까오란족(Cao Lan)은 16만 9,410명으로, 주로 뚜옌꽝(Tuyên Quang) 성에 거주한다. 까오란족은 신 까(sình ca; 고유한 민속노래), 무아 쫑(múa trống; 드럼 춤), 무아 쑥 뗍(múa xúc tép; 작은 새우 잡기 춤), 무아 찜 거우(múa chim gâu; 뻐꾸기 춤) 등과 같은 시와 민속음악 및 춤 등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까오란족이 연주하는 악기는 타인 라(thanh la; 손잡이 없는 작은 징), 나오 밧(não bạt; 작은 심벌즈), 드럼, 종, 관악기 등 다양하다. 깬(kèn)은 관악기로, 축제나 의례에서 연주한다. 깬은 몸통, 종, 리드 버팀대, 리드 등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통은 길이가 30cm 정도로 속이 빈 원통형의 딱딱한 나무로 되어 있다. 몸통에는 앞쪽에 7개, 뒤쪽 리드 버팀대 근처에 1개 등 8개의 구멍이 있다. 종은 원뿔대 모양의 얇은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져 있다. 작은 종은 튜브의 큰 쪽, 리드 버팀목은 작은 쪽에 각각 붙어 있다. 리드는 리드 파이프로 만들어지거나 리드 버팀목에 부착된 형태를 이루기도 한다. 깬은 떨리면서 강한 소리를 내며, 높은 음에서는 약간의 불협화음을 내고 낮은 음에서는 약간 깨지는 소리를 낸다. 음역대는 2옥타브이며, 남자만 연주한다. 수록된 음악은 하인 (hành quân; 군사 작전), 깬 캅(kèn Khắp), 드아 팟(đưa Phật; 부처 환영) 등과 같은 의식에서 연주되는 멜로디를 발췌한 것이다.
Viet Nam 1959 -
상 사(Sang sa)-띤 떠우(Tính tẩu; 류트) 독주
2009년의 통계에 따르면 타이족(Thái) 인구는 150만으로 베트남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주로 선라(Sơn La) 성과 디엔비엔(Điện Biên) 성에 거주한다. 타이족은 신화, 시, 핫 캅(hát khắp) 민속음악, 쏘에(xòe) 춤, 대나무 막대 춤 등 민속문화를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띤 떠우(Tính tẩu)는 타이족의 전통 악기 가운데 하나다. 띤 떠우는 특히 타이족을 비롯해 따이족(Tày), 눙족(Nùng) 등과 같은 소수민족의 텐(Then) 의식 같은 의례의 노래 반주를 위해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타이족의 사랑 노래, 쏘에 춤을 위한 반주에도 동원된다. 띤 떠우는 현악기로, 뜯는 악기에 속한다. 띤 떠우는 머리, 목, 울림통, 상판, 브리지, 줄로 이루어진다. 목과 머리는 전체 길이 80~90cm의 나무 하나로 만든다. 여기에는 조율을 위한 두 개의 집게가 있다. 울림통은 늙은 박의 표면으로 만들며, 둥글고 두껍다. 상판은 크고 얇은 대나무로 만든다. 줄이 놓이는 브리지는 홈이 파진 대나무 조각이다. 띤 떠우의 줄은 지역과 음악 기능에 따라서 2개 또는 3개로 되어 있다.
Viet Nam 1964 -
남 아이 (Nam ai; 기악 합주)
아이 장 남(Ai giang nam)이라고도 불리는 남 아이(Nam ai)는 까 후에 곡의 기본 가락이다. 전설에 따르면 응우옌 왕조 시대 때 민(Minh) 왕으로 있던 응우옌푹쭈(Nguyễn Phúc Chu) 왕이 남 아이의 전조인 아이 장 남을 작곡했다. 이에 따라 남 아이 가락은 18세기에 발생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남 아이 가락은 느린 박자로 연주되며, 구슬픈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음악은 궁중에서 허용되지 않았으며, 때때로 제물을 바치는 의례나 장례식에서 연주됐다.
Viet Nam 1998 -
Vatanim (나의 조국) / 소비르존 마트무사옙 (Sobirjon Matmusayev)과 아크롬존 투르디옙 (Akromjon Turdiye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바스타르와 차티스가르 음악
CD7_바스타르와 차티스가르 음악\n\n인도 원주민 부족 공동체는 여러 어족에 속한다. 이 앨범에 수록된 곡은 바스타르(Bastar)라고 알려진 곳과 그 주변 지역의 음악이다. 이 지역은 현재 행정구역으로 마디야프라데시 주(Madhya Pradesh)와 차티스가르 주 (Chhattisgarh)에 해당한다. \n\n이 앨범은 마리아(Maria) 족, 무리아(Muria) 족, 파르단 (Pardhans) 족의 음악을 골라 수록했다. 이들은 크게 곤드(Gond) 족에 속한다. 곤드어(Gondi)와 그 관련 언어는 드라비다어 족의 일부이며, 이 앨범을 들으면 인도 중부지역 부족 공동체의 무형문화유산을 엿볼 수 있다. 수록된 음원은 1978부터1982년까지 민족 음악가 로데릭 나이트(Roderic Knight)가 기록한 것으로, 현재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부족 공동체의 면모를 볼 수 있다.
India 2016 -
베트남 중부 고산지대 일부 소수민족의 민속노래
CD2_베트남 중부 고산지대 일부 소수민족의 민속노래\n\n베트남 중부 고산지대는 잘라이(Gia Lai), 꼰뚬(Kon Tum), 닥락(đ?c L?c), 닥농(đ?c Nong), 람동(Lam đ?ng) 등 5개 성을 포함한다. 이 지대는 몬크메르어(Mon-Khmer)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Malayo-Polinesian) 사용 소수민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바나족(Ba na), 쓰당족(Xe đ?ng), 므능족(Mnong), 쓰띠엥족(Xtieng)은 몬크메르어를 사용하고 에데족(E đe)과 자라이족(Gia rai) 및 라글라이족(Raglai)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사용한다. 중부 고산지대 사람들은 민속음악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음악은 종교성 축제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징 같은 악기는 축제에서 사용된 뒤에 보관된다. 이러한 악기는 신성성이 있다고 인식돼 가족의 번영을 상징한다고 여겨진다. 종교음악과 더불어 이곳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속음악도 사랑 노래, 고원 노래, 종족공동체 노래 등 풍부하다. 중부 고산지대에 사는 토착민들은 음악 재능이 타고났다. 그들은 누구나 가수와 악기연주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대나무, 나뭇잎, 돌 등을 재료로 하여 능숙하게 악기를 만들 수 있으며, 자연스러우면서도 쉽고 깔끔하게 음악 연주를 할 수 있다. 이 CD에서는 베트남 중부 고산지대 소수민족이 일상생활에서 즐기는 민속음악 가운데 일부를 소개하고 있다. 수록된 음악은 1977~1978년(트랙 1, 5, 11)과 1997~1998년(나머지 트랙)에 에데족, 자라이족, 쓰당족, 므능족, 바나족 등 이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의 지역 민속음악 예인들이 연행한 것을 녹음한 것이다.
Viet Nam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카타 아슐라 (Katta Ashul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n\n10세기 후반부터 카타 아슐라에 새로운 성악-기악 양식, 솔로 가창자에 맞춘 유형들이 생겨났다. 에르카코리 카리몹(Erkaqori Karimov), 투르디알리 에르가솁(Turdiali Ergashev), 마르부바 삿토롭(Matbuva Sattorov), 조라혼 술토놉(Jo'raxon Sultonov), 마무르존 우조콥(Ma'murjon Uzoqov), 볼타보이 라자봅(Boltaboy Rajabov), 오리프 알리마흐수몹(Orif Alimahsumov), 팟토혼 마마달리옙(Fattohxon Mamadaliyev), 조라혼 유수폽(Jo'raxon Yusupov), 함로쿨코리 토라쿨롭(Xamroqulqori To'raqulov) 등이 큰 명성을 얻었다. 현재는 할리마 노시로바(Xalima Nosirova), 무노좃 욜치예바(Munojot Yo'lchiyeva), 이스모일 바호봅(Ismoil Vaxobov) 및 이스로일 바호봅(Isroil Vaxobov), 마흐뭇 토지보옙(Mahmud Tojiboyev)과 같은 가수들이 전문적 기교를 활용해 카타 아슐라를 부르고 있다.
Uzbekistan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올란 (O‘lan)
올란(O'lan)은 민간 구비 창작 장르로서, 주로 여성들이 도이라나 칠드르마(childirma) 연주와 함께 또는 무반주로 연행한다. 우즈벡 의례, 연회 등에서 한 쪽에는 여자들이, 반대 쪽에는 남자들이 서서 팀으로 할 수도 있고, 두 사람이 대화 형식으로 부를 수도 있다.\n\n요르요르(Yor-Yor)는 결혼식 때 부르는 민요이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즈벡, 타직, 위구르 및 투르크멘 민족 사이에 널리 보급되었다. 요르-요르는 2행 혹은 4행 형태로 구성되고, 각 마디의 끝이나 간혹 중간에 "Yor-yor, Aylanaman(내사랑, 사랑스럽구나)"와 같은 말을 넣어 부른다. 보통 도이라 반주와 함께 신부를 배웅하는 여성들이 부르는데, 페르가나 지역(페르가나, 오시, 호잔드)이나 자랍샨 지역에서 (신부를 데리러-역주) 신부집으로 이동하는 남자들이 부르기도 한다. 요르-요르의 강력한 영향력은 애잔하고 구슬픈 음조와 함께, 잔치 분위기의 쾌활함이 동시적으로 표현된다는데 있다. 요르-요르에는 신부의 장점, 꿈과 희망, 기원, 축복의 메세지가 담긴다. \n\n우즈베키스탄 문화체육부 산하 국립민속예술과학연구센터, 그리고 유네스코 우즈베키스탄 국가위원회 협력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연구하고, 분류 및 목록 작업을 하고, 유산 전승자 및 전수자를 구체화하기 위해 페르가나 지역에서 수행된 답사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전수자들로부터 많은 올란들이 기록되었다. 하이룰로 미르자옙(Xayrullo Mirzayev), 하니파 미르자예바(Hanifa Mirzayeva), 이노얏 라피코바(Inoyat Rafiqova), 바흐부바 욜도셰바(Makhbuba Yo'ldosheva), 바흐티요르 투르구놉(Baxtiyor Turg'unov), 제비혼 압두나자로바(Zebikhon Abdunazarova), 코파이슨 아야 옥보예바(Ko'paysin Oqboyeva), 코지혼 싯디코바(Qo'zikhon Siddiqova) 등이 이들에 속한다.
Uzbekistan 2015
-
인도의 음악과 노래와 이야기
인도민족음악아카이브연구센터는 1982년에 설립된 비정부기구로 전 세계 아카이브에 산재된 인도 음악, 공연 자료를 직접 수집, 관리해 가용할 수 있도록 인도 내에 아카이브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현재 센터는 25,000 시간 이상의 시청각 아카이브를 보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전통 음악과 구전 서사시까지 인도 전역의 희귀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 기록물들은 인도 무형문화 유산과, 더 나아가 남아시아 문화유산까지 연결되는 등 센터는 지역 내 무형유산 자료의 보고로 기능하고 있습니다.\n\n2016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인도민족음악아카이브연구센터와 함께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디지털화 사업’을 실시하여 500시간 분량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 했습니다. 이 가운데 인도의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자료를 선별하여 무형유산 영상·음원 선집 세트 「인도의 음악과 노래와 이야기(Music, Songs and Stories: Archival Selection from India)」를 제작하였습니다. 본 사업을 수행한 인도민족음악아카이브연구센터는 디지털화는 물론 제작 과정 전반에 거쳐 더 많은 독자들이 귀중한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n\n인도 선집은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녹음된 음원자료를 담은 CD 9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일상생활의 노래, 구비서사시, 부족 공동체 음악 등 70곡이 수록되었습니다. 특히 CD 1, 2에 수록되는 음원은 네덜란드 민족 음악가 아널드 아드리안베이크(Arnold Adrian Bake, 1899-1963)가 1930년대 인도 전역을 여행하며 녹음한 것으로, 자장가를 비롯하여 노동과 의례 등 일상생활의 소리를 담고 있습니다.\n\n본 사업은 훼손과 손상의 위험에 처한 인도의 아날로그 자료를 복원하여 학술적인 가치를 높이고 대중의 인식을 제고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센터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아태지역의 소중한 자료를 발굴하고, 무형유산 정보를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India 2016 -
마르지 않는 네팔 민속음악의 샘물
마르지 않는 네팔 민속음악의 샘물\n(2016 네팔-센터 무형유산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 음원 자료)\n\n네팔음악박물관은 1995년에 설립된 비정부기구로 네팔의 민속 음악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며 널리 알리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100여 개 이상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네팔은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과정을 다양한 통과의례음악으로 표현하는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네팔음악박물관은 이러한 무형문화유산들을 기록하고 문서화해서 기록하는 일을 수년간 해오고 있습니다.\n\n2016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네팔음악박물관과 함께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디지털화 사업’을 실시하여 500시간 분량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화 했습니다. 이 가운데 네팔의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자료를 선별하여 무형유산 영상·음원 선집 세트 「마르지 않는 네팔 민속음악의 샘물(Precious Drops from Nepal’s Fountain of Folk Music)」을 제작하였습니다. 본 사업을 수행한 네팔음악박물관은 디지털화는 물론 제작 과정 전반에 거쳐 더 많은 독자들이 귀중한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n\n먼저 네팔 선집은 8장의 음원 CD와 2장의 영상 DVD로 구성되었습니다. 종교와 축제 등에서 사용되는 46곡의 민속음악, 그리고 네팔의 민속무용과 세습 음악가 계급의 연주를 담은 10개의 동영상이 수록되었습니다. 또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CD마다 수록된 곡을 연주하는데 사용된 민속악기의 이미지와 설명을 담았습니다.\n\n본 사업은 훼손과 손상의 위험에 처한 네팔의 아날로그 자료를 복원하여 학술적인 가치를 높이고 대중의 인식을 제고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센터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아태지역의 소중한 자료를 발굴하고, 무형유산 정보를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Nepal 2016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주, 안디잔 주, 나망간 주를 아우르는 페르가나 계곡 지대에는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전통 의례와 축제, 그리고 전통 공예와 같은 빼어난 무형유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4개국은 2011년부터 중앙아시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온라인 툴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목록작성 지원 3개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형유산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민속예술연구센터가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와의 협력 하에 본 3개년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페르가나 계곡 지역, 자라프샨과 우즈베키스탄 남부 지역, 나보이, 부하라, 코레즘 주와 카라칼팍스탄공화국 등지의 무형유산 종목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에서의 1차 현지조사가 완료된 시점인 2012년, 우즈베키스탄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수집된 영상, 음원, 사진, 보유자 인터뷰 자료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10장의 DVD/CD 세트로 엮었습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이 해당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영어, 우즈벡어, 한국어 해설집을 제작하여 선집과 함께 배포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 위구르, 투르크 족 등 각기 다른 공동체들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면, 각자의 고유한 전통들이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작된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 중 하나인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미술과 노래, 반주, 그리고 서사시를 통합한 독창적인 민요의 한 종류로, 이곳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n\n자료들을 디지털화 시키고, 배포하여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유산을 알리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되어 사라져가는 무형유산들을 보호하고 전문가부터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알려 문화 간 이해와 대화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Uzbekistan 2015 -
우즈베키스탄인들의 전통 멜로디(2014-2015 우즈베키스탄 순수예술연구소 소장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
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산하 예술 연구소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민속음악유산 음원 CD 세트, 「우즈베키스탄의 멜로디(Melodies from Uzbekistan)」를 발간했습니다.\n\n이 음원 선집은 우즈베키스탄 국립학술원 산하 예술연구소의 오래된 오디오 녹음 자료들을 현재 사용되는 매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간한 것입니다. 선집에 담긴 음원들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즈베키스탄과 국경 지역에서 현장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와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민속 음악입니다. 총 여덟 장의 CD는 노동, 가축 사육, 의식용 노래 등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우즈베키스탄의 노래 유산과 두타르(Dutor), 가지르 나이(G’ajir Nay)와 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 관악기 등으로 연주한 기악 외에도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산인 마콤(Maqom)이나 구전예술전통인 도스톤(Doston) 등을 담고 있습니다.\n\n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전통 음악이 낯설게만 들릴 수도 있지만, 여덟 장의 음원 CD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민속 음악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설자료(한국어, 영어, 우즈베키스탄어)가 포함되어 있어 국내외 대중들 역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n우즈베키스탄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특징을 모두 들려주는 CD 선집은 앞으로 무형유산 교육 및 홍보 자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zbekistan 2015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11 (목피(木皮)·짚풀 공예와 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11권의 테마는 「목피(木皮)·짚풀 공예와 무형문화유산」입니다.
South Korea 2012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45 (아태지역 공동체의 구전전통)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45권의 테마는 「아태지역 공동체의 구전전통」입니다.\n\n구전전통은 건국신화와 영웅의 일대기에서부터 어머니 또는 스승이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삶의 지혜까지 다양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야기들은 구전을 통해 전승되는 삶의 지혜로 국가의 역사, 철학 그리고 삶의 방식 등에 녹아들어 한 공동체의 지식체계를 이루는 근간이 된다. 이번 호에서는 스리랑카, 팔라우, 키르기스스탄 그리고 베트남에서 전승되고 있는 구전전통에 대해 소개한다.
South Korea 2020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VOL.33 (전통 마을 신앙과 축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33권의 테마는 「전통 마을 신앙과 축제」입니다.
South Korea 2017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39 (무형유산과 출산전통)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39권의 테마는 「무형유산과 출산전통」입니다.
South Korea 2019
-
몽골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작성몽골의 다양한 구전전통과 음악, 무용 등의 공연예술, 관습, 사회 관습, 축제는 영러 패턴과 소리를 통해 몽골인들의 자연 및 우주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서사민요와 사회적 관습, 의례, 축제, 민속예술을 포함한 몽고로 무형문화유산은 자연에 대한 총체적인 보호체계를 구축하여 왔다.Year2009NationMongolia
-
살아있는 유산으로서의 신년축제매년 4월 중순 스리랑카인들은 힌두교와 불교 관습이 융합된 독특한 제의가 수반되는 신할라(Sinhala)와 힌두 신년축제를 거행한다. 기원전 3세기에 불교가 도입되면서 힌두교의 전통적인 신년축제는 재해석되었다. 하나의 천궁에서 다른 천궁으로 이동하는 태양의 운행에 대한 신화와 결부되는 점에서 역사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축제를 고대의 태양 숭배 신앙과 결부시키고 있다. 오늘날 신년축제는 문화적 유산과 전통을 구현하는 주요 의례이다.Year2011Nation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