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의례
ICH Materials 535
Photos
(107)-
몽골 무속 의례 기록 1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몽골 무속 의례 기록 2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우부르항가이 지역 예순-주일 마을의 나담 축제 전야 의례 기록 1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몽골 무속 의례 기록 3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우부르항가이 지역 예순-주일 마을의 나담 축제 전야 의례 기록 2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몽골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 및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이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어진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공동 협력 사업의 후속작업으로서 무형유산 영상 기록 워크숍과 공동 현장 기록 작업을 통해 한국과 몽골 영상 기록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최신 장비 사용법 및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서로 전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n\n본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n\n- 무형유산 영상 기록에 관한 워크숍 개최를 통해 한국과 몽골 전문가들의 영상 기록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 보호에\n기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n- 영상 기록 워크숍과 현장 기록 공동 작업을 통해 한-몽골 전문가들의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역량 증진\n- 몽골과 한국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무형유산 영상 기록 작업 시도 및 훈련\n- 한-몽골의 무형유산 영상 기록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향후 양국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 가능성 모색
Mongoli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 \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비둘기 꽃필 때
창족의 대표적인 민족춤 '어깨 방울춤'을 모티브로 하는 창작무이다. 원래 어깨 방울춤은 원시 종교에 바탕을 둔 창족의 굿에서 기원했지만 지금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민족 행사 때 많이 추는 대중적인 춤이 되었다.\n\n창족(羌族)은 중국 쓰촨성에만 사는 특유한 소수민족이다. 인구의 98% 이상이 쓰촨성에 거주한다. 창족의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중국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고 알려진다. 주 거주지역인 치옹라이 산맥은 쓰촨썽의 칭장고원(青藏高原)과 청두평원( 成都)평원 사이에 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른 민족과 교류가 적었던 창족 사회에는 아직도 원시 형태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 2천 수백 미터의 산중턱 급사면에 삼층으로 세운 석조 가옥 형태로 촌락이 형성된 까닭에 전통 노래 또한 산가(山歌) 형태가 많다.\n\n고대로부터 음악과 춤은 창족 사람들에게 삶의 애환을 달래는 고유한 방법이자 생활 그 자체였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춤에 능했던 창족은 오늘날까지도 그들만의 탁월한 춤 문화를 이어오고 있다. 전통무용은 오락적인 춤, 종교적인 춤, 그리고 의례용 춤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티아오샤랑, 티아오쿠이지아, 티아오피푸가 대표적인 민족 무용으로 꼽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식의 창족 춤은 샤랑(薩朗)이다. 명절, 결혼식, 추수 감사, 심지어 장례식에서도 샤랑 춤을 춘다. 보통은 별다른 소품 없이 추며, 다리와 엉덩이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래를 부른다.\n\n원시 종교의 굿에서 기원한 춤이다.\n\n출연자: 중국 성도체육대학교 예술학과\n예술감독: 로봉
China -
마두금 전통음악_3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말(馬)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는 몽골의 국가적 가치규범과 상징물(국기,국장), 나아가 민요에 반영되어있다. 말 형상의 머리 부분에서 이름을 따 온 모린 쿠르(Morin Khuur), 즉 마두금(馬頭琴)은 몽골의 유목민들이 고안한 독특한 2현 악기로서 활과 현은 말의 꼬리털로 제작된다. 몽골인들 사이에서는 마두금의 기원에 관한 전설이 전해진다. 언젠가 한 남자가 말을 타고 먼 곳을 여행하던 중에 그가 사랑하는 말이 죽었다. 슬픔에 빠진 남자는 오랫동안 죽은 말을 애도하였다. 그 때 불현듯 말의 갈기와 꼬리를 지나는 바람이 만들어 낸 소리가 음악처럼 들리자 그는 자신의 사랑하는 말을 기리기 위해 악기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마두금은 몽골의 전통 관습과 문화의 집합체이다. 무엇보다도 모든 제의와 의례 행사에서 마두금을 연주하는 전통이 계승되고 있다. 새해 첫날(Tsagaan sar) 몽골의 힘과 몽골 사람들의 번영과 행복, 그리고 모든 이의 용맹을 상징하기 위해 칸 쿠르(Khan Khuur)에 맞춰 국가 (國歌)가 연주되며 라디오와 TV를 통해 전국에 생중계 된다. 유네스코는 2003년 ‘몽골의 마두금 전통음악’을 인류 구비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하였다.
Mongo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