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의례
ICH Materials 535
Videos
(21)-
마긴다나오 족 명연주자의 세계
▶ Play 영상 1. 마긴다나오 족 명연주자의 세계\n이 에피소드는 1994년 8월 18일 필리핀 텔레비전에서 처음으로 방영되었다. 에피소드 포맷은 원본을 수정한 것이다.\n\n마긴다나오 족마긴다나우(Magindanaw),마귄다나우(Maguindanaw),마긴다나오(Magindanao),마귄다나 온(Maguindanaon),(Maguindanaon), 마긴다나오안(Magindanaoan),민다나오(Mindanao)등으로 불림은 필리핀에서 규모가 큰 소수민족 중 하나로, 마긴다나오 주(州) 디나이그(Dinaig), 다투 피앙(Datu Piang), 샤리프 아쿠아 크(Shariff Aguak), 불루안(Buluan) 지역 등에 가장 많이 거주한다.\n\n스페인 정복자들은 마긴다나오 족과 지속적으로 접촉했다. 그 때문에 마긴다나오 족이 속한 섬 전체를 이들의 이름을 따서 민다나오(Mindanao)라고 명명했다. 마긴다나오 족 종교인 이슬람교는 이들의 문화, 사회구조, 조직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교가 없었으면 마긴다나오 족은 스페인 정복자들의 침입에 저항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필리핀에서 술탄이 지배하는 지역 3곳 가운데 한 곳이 마긴다나오 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긴다나오 족 술탄국은 한때 민다나오 남부지역 전체에서 의례에 관련한 권한을 행사했다. 마긴다나오 족의 정치사회 체계와 사회적 지위의 위계구조는 술루(Sulu) 술탄국만큼 복잡하다.\n\n왕실은 술탄 쿠다라트(Sultan Kudarat) 주에 있는 마긴다나오 왕실, 다투 피앙 자치체에 있는 부아얀(Buayan)왕실, 툼바오(Tumbao) 자치체에 있는 카분탈란(Kabuntalan) 왕실 등 3개가 있다. 이들은 모두 초기 이슬람선교사 샤리프 카분수안(Sharif Kabunsuan)과 마긴다나오 족의 술탄이었던 쿠다라트(Kudarat)를 시조로생각한다. 마긴다나오 족은 관습법을 따른다. 관습법은 구전 전통으로 구현되며 일상생활 관련 조항을 담고있는 팔루와란(Paluwaran)법에 따른다.\n\n마긴다나오 족은 습지 적응이 특징인 저지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수도(水稻, 논벼)를 주식으로 경작하고 공예와 예술을 발전시켰으며 특히 세련된 직조 기술을 보유했다. 말레이시아 제철 기술을 사용해서 웨이스트 몰드waste mold, 깨부수지 않고는 금형(金型)을 주물(鑄物)에서 분리할 수 없는 방식 기술로 빈랑나무 열매 상자, 타악기 징, 칼, 팔찌 등 예술품을 만들고 동남아시아 대포인 란타카(lantaka)도 만든다. 란타카는 전쟁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귀한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보유하기도 한다.\n\n장식품에 나타나는 특유의 문양은 다른 동남아시아 지역과 연관성을 보이면서도 민족만의 특성이 드러난다. 악기에는 마긴다나오 족의 상징인 악어 문양이 돋보이는 2현 류트 쿠티아피(kutyapi)와 크기가 점증하는 8개의 놋쇠 징으로 이루어진 쿨린탕(kulintang)을 비롯해 크고 소리가 깊은 징, 북, 피리 등이 있다. 마긴다나오 족의 음악은 저음과 치환이 특징이다
Philippines 1994 -
3.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을 위한 국제 경험과 노하우
시오프 정책에 따르면, 세계민속축전이 친목 정신에 따라 개최되고 평화 문화를 도모할 때 문화 만남의 장으로서의 목적이 완전히 달성된다. 무형유산은 세대 간에 전승되는 뛰어난 문화이자, 문화 발전의 원천이며, 문화다양성의 표현이다. 이 새로운 관리 메커니즘은 무형유산과 관광의 통합을 실현한다. ‘일대일로’ 정책이 시행되면서 실제로 무형유산 보호와 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대한 전략적 기회가 제공되었다. 새로운 문명 주기가 시작하는 시기에 전 세계인에게 새로운 문명을 맞이하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중국, 인도, 비옥한 초승달 지대, 그리고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지중해 등 동양에서 서양에 이르기까지 4대 문명 발생지가 있다. 그중에서 인도 문명이 더욱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는데, 이는 아시아 대부분 지역의 문화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 문명은 직간접적으로 전 세계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n\n세계민속축전은 주로 음악, 무용, 경기, 의례, 관습, 수공예 지식 등의 표현 방식을 통해서 무형유산을 증진하고 전파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의 존속과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민속축제는 적합한 문화적 맥락에서 개최되어야 한다. 본 글은 기존 및 신규 세계민속축전에 적절한 문화적 맥락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국제민속축전기구협의회(이하 시오프)에서 문화적 맥락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South Korea 2020-11-19 -
미크로네시아 사푸아피크아톨(Sapwuahfik Atoll)의 축제일
이 비디오는 사푸아피크 아톨의 구전 유산을 기록하기 위한 NGO 파시피카 르네상스의 노력의 노력의 일부로서 촬영된 것이다. 국제 여성의 날 행사가 열리는 축제일을 영상으로 담은 것이다. 이 축제행사는 폰페이섬에서 온 사푸아피크 섬사람들의 방문을 전통적 방식으로 환영하고 기념하는 것이다. 영상에는 음식과 무용 의상 준비, 꽃수레 등 의례행렬 그리고 성가제창 등의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행사 당일 전통무용과 2차 세계대전을 기억하기 위해 작곡된 노래도 담고 있으며 전통 항해용 카누도 촬영하였다.
Micronesia 2016 -
팔로프 만찬
팔로프 문화와 전통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n우즈벡의 생활양식은 팔로프 문화와 깊이 연관되어있다. 탄생 이후의 모든 일생 의례에 팔로프를 먹는 전통이 있다. 심지어 장례식 때도 망자를 기리며 팔로프를 요리해 먹는다. 이러한 전통을 근거로 우리는 우즈벡의 궁중요리인 팔로프가 가족과 친척들, 이웃들, 동료들, 친구들을 더 가깝게 만든다고 얘기할 수 있다.\n\n이 영상은 여러 그룹이 팔로프를 요리하고 소비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팔로프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팔로프를 먹을 때는 몇 가지 규칙도 존재한다.
Uzbekistan 2017 -
인도네시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2015)\n발리의 전통춤은 발리의 역사와 풍습,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발리의 춤은 종교의식 중 의례의 한 절차로 연행되는 성스러운 춤 ‘왈리’, 의식 부대 행사로 연행되는 성스러운 춤 ‘베발리’, 사원이 아닌 장소에서 오락을 위해서 연행되는 춤 ‘발리-발리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시에 소개된 또뼁은 세 가지 장르 중 ‘베발리’에 속해 있는 공연예술이다.\n
Indonesia 2023-04-23 -
2. 키르기스스탄 무형유산 축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
키르기스스탄에서 무형유산 축제는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좋은 방법이다.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은 풍부하며 구전 전통 및 표현, 공연 예술, 사회적 관습, 의례 및 제전, 자연과 우주에 대한 지식 및 관습, 전통 공예 기술 등 모든 무형유산 분야를 아우른다. 축제에서는 예술과 공예, 음식, 민속, 펠트, 새사냥, 말경기 등 다양한 무형유산 관련 행사가 펼쳐진다. 일례로, 키르기즈 쉬르다기(Kyrgyz Shyrdagy) 축제와 오이모(Oimo) 국제 축제는 전통 공예의 지식과 기술을 보호하고 널리 알리려는 목적에서 조직되었고, 살부우룬(Salbuurun)와 콕 보루(Kok Boru) 축제와 같이 전통놀이의 보호와 장려를 위한 다양한 맹금류 관련 축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즉흥 예술 ‘아이티시(Aitysh)’와 같은 구전 전통을 보호하기 위해 열리는 축제를 비롯해 전통 음식과 민속을 선보이는 다른 수많은 축제들이 있다.
South Korea 2020-11-18 -
태국, 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2018)\n태국의 가면 춤극인 ‘콘’은 음악과 노래, 문학, 의례, 수공예 요소가 결합된 공연예술로 전통적으로 왕실이나 귀족 가문, 명인 무용수들의 가계에서 전승되었다. 「라마야나」를 태국식으로 극화한 「라마끼얀」 서사를 중심으로 라마의 일생을 묘사한 에피소드들이 공연된다. 무용수들은 섬세하게 수놓은 의상을 입고 ‘피파트’라는 타악기 악단의 연주와 노래 그리고 내레이션에 맞추어 춤을 완성한다. 콘은 한편으로 태국 궁정에서 수세기 동안 가다듬어진 정교한 예술적 전통을 예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매혹적인 연극 작품으로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지닌 관객들에게 풍부한 감상 경험을 제공한다.
Thailand 2023-04-23 -
몽골 : 샤먼유산
몽골은 예로부터 풍부한 샤먼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몽골 샤머니즘에는 유목민의 철학, 텐그리(하늘) 숭배 사상, 성산(聖山) 의례, 물과 불에 대한 숭배 의식,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유목민의 의식 등이 드러난다. 샤먼이 신들림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은 영적인 장소로의 여행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스스로를 새로 변화시켜 하늘을 날거나 동물을 타고 그들이 갈망하는 세계로 가는 경험이다.
Mongolia 2013 -
줄 자르는 아이 ‘투사우 케수’
줄 끊기 아기 걸음마 의례 ‘투사우 케수’\n유목민들의 깊은 전통에 따라 텡그리 의식(Tengri Rite, 푸른 하늘의 신에게 바치는 제사 의식)인 ‘투사우 케수(Tusau Kesu)’가 전해지는 가운데, 의식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조금 변했다. 과거 조상들의 ‘투사우 케수(다리에 묶은 끈을 자르며 하는 걸음마)’나 ‘아샤메이가 밍추(Ashamayga Mingyzu, 6-7세 때 처음 말 등에 오르기)’ 같은 의식에는 삶이라는 여정의 시작과 그 새로운 세계에 대한 탐험의 의미가 함께 담겨 있었다. \n\n또한 투사우 케수 의식에는 그 나름의 기능이 있다고 믿는 카자흐인들이 많다. 첫째로 아기의 신체발달을 가속해서 아기가 자신 있게 걷게 해주고, 더러 힘이 없는 아기가 잘 걷지 못하면 예식을 반복할 수도 있다. 둘째, 예식은 삶의 길에 대한 발견을 상징하고, 셋째는 부모가 존경하는 이에게 의식을 맡겨 그 사람이 아이에게 영적, 신체적 특질들을 전해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의식의 하나로서 할머니가 손녀에게 직물을 짜는 세세한 기술을 보여주기도 한다.
Kazakhstan 2017 -
얀클렛 소리, 발루반나단 티페스트리
케랄라는 수많은 전통적, 의례적 예술형태로 인해 문화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곳이다. 바얄리는 2004년 케랄라의 토착적 전통민속, 특히 바라타푸자 강 둑을 따라 존속하는 풍부한 문화적 자산의 보존을 목표로 티리수르 지역의 작은 마을 아랑고투카라에서 탄생한 민속단체이다.\n그들은 사라져가는 “다리카 바담 의식예술”을 되살리고자 하는 꿈을 지니고 있다. 파라야 공동체의 전통의식예술 “다리카 바담”은 어머니 여신 칼리와 악마의 왕 다리카 사이에서 벌어진 치열한 전투 묘사하고 있다.
India 2016 -
붉은 야오족의 ‘12등 성년식’
붉은 야오(Red Yao)족은 베트남의 54개 소수 민족 중 하나로 대부분 북부 지방에 살고 있다. 붉은 야오족은 전통에 따라 결혼을 앞둔 남성은 신부와 함께 ‘12등 성년식’을 치러야 한다. 이 성년식을 통해 남성은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는다. \n\n일종의 통과의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의식을 거친 남성에게는 종교적 지위와 영적 권한이 주어진다. 이후에는 의례 전승자 자격으로 가족과 공동체의 종교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본 영상은 중국과 국경을 접한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빠(Sa-pa)현 붉은 야오족이 연행하는 12등 성년식의 모습을 담았다.
Viet Nam 2019 -
초원의 선물 ‘아이락’
전통주 아이락(말젖을 발효시킨 마유주) 빚기 관련 공예와 의례\n암말을 말뚝에 매두는 사흘의 기간 동안 말젖을 발효시키는 의식은 잔치와 같다. 몽골인들은 축하의식을 통해 갓 태어난 망아지들을 축복한다. 말 무리가 불어나고 마유주 아이락(Airag)과 같은 유제품이 더 많아지는 등의 번영을 기원하는 것이다. 의례 기간 동안 망아지들을 말뚝에 묶기, 암말 젖짜기, 마유를 신에게 바치는 의식, 마유를 문질러 바르며 읊는 독송, 예식용 양고기 분배와 말 젖짜기 잔치 등의 의식이 번갈아 치러진다.
Mongolia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