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교육
ICH Materials 708
Photos
(39)-
발리니스 댄스 “태양의 신”
이 작품은 발리 전통 춤을 바탕으로 삶의 철학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창작 무용이다. 발리 사람들에게 있어서 춤은 발리 달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행하는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발리의 전통춤은 전통과 풍습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상징한다. 발리 사람들은 전통 춤의 율동이 자연을 대변하며, 무드라(Mudra, 손동작)는 일상생활, 법령, 믿음,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n\n발리 춤은 먼저 성스러운 춤 ‘왈리’(Wali, 8~14 세기에 기원), 약간 성스러운 춤 ‘베발리’(Bebali, 14~19세기에 기원), 그리고 오락을 위한 춤 ‘발리-발리안’(Balih-balihan, 19세기~현재에 기원)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는 장소(desa), 시간(kala), 경우(patra)에 따라 나눈 것으로 세 가지 춤 안에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춤들이 있으며, 발리 전역에서 널리 연행되고 있다.\n\n발리 전통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출 수 있다. 무용수들은 강하고 세련된 남성 역할, 여성 역할, 혼합된 역할 등 다양한 인물을 표현한다. 동식물 문양을 금박으로 입힌 화려한 색상에 황금 잎사귀와 보석 박힌 장신구가 달린 호화로운 전통 의상을 입는다. 춤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무릎을 바깥 방향으로 굽히고 배는 안쪽으로 넣는 자세인 ‘아젬(agem)’이 기본 동작이며, 서로 다른 박자와 방향으로 이행하는 동작인 ‘탄당(tandang)’,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전이하는 동작인 탕키스(tangkis), 그리고 행복·슬픔·분노·두려움·사랑 등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앙켑(angkep)’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모든 동작에는 ‘가믈란(Gamelan, 타악기 위주의 인도네시아 전통 악단)의 음악 반주가 따른다. 무용수들은 종교적인 가르침에서 비롯한 도덕적 교훈을 담은 교향시 반주에 따라 춤을 춘다. 발리 춤의 무용수는 능숙한 기량 외에도 내면의 아름다움(탁수, Taksu), 카리스마와 겸손, 절제를 갖춰야 하며, 춤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특별한 영적인 힘 또한 필요하다.\n\n발리의 여러 공동체에서 추는 춤은 주로 전통 집단인 세카(sekaa)에 속한 연장자가 어린이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한다. 최근에는 각 급 학교에서도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다. 발리 전통춤은 발리 사람들의 풍습과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 춤은 2015년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 되었다.\n\n출연자: 자카르타 주립대학교 무용단\n예술감독: 이다 바구스 케투 수디아사
Indonesia -
발리니스 댄스 “태양의 신”
이 작품은 발리 전통 춤을 바탕으로 삶의 철학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창작 무용이다. 발리 사람들에게 있어서 춤은 발리 달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행하는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발리의 전통춤은 전통과 풍습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상징한다. 발리 사람들은 전통 춤의 율동이 자연을 대변하며, 무드라(Mudra, 손동작)는 일상생활, 법령, 믿음,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n\n발리 춤은 먼저 성스러운 춤 ‘왈리’(Wali, 8~14 세기에 기원), 약간 성스러운 춤 ‘베발리’(Bebali, 14~19세기에 기원), 그리고 오락을 위한 춤 ‘발리-발리안’(Balih-balihan, 19세기~현재에 기원)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는 장소(desa), 시간(kala), 경우(patra)에 따라 나눈 것으로 세 가지 춤 안에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춤들이 있으며, 발리 전역에서 널리 연행되고 있다.\n\n발리 전통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출 수 있다. 무용수들은 강하고 세련된 남성 역할, 여성 역할, 혼합된 역할 등 다양한 인물을 표현한다. 동식물 문양을 금박으로 입힌 화려한 색상에 황금 잎사귀와 보석 박힌 장신구가 달린 호화로운 전통 의상을 입는다. 춤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무릎을 바깥 방향으로 굽히고 배는 안쪽으로 넣는 자세인 ‘아젬(agem)’이 기본 동작이며, 서로 다른 박자와 방향으로 이행하는 동작인 ‘탄당(tandang)’,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전이하는 동작인 탕키스(tangkis), 그리고 행복·슬픔·분노·두려움·사랑 등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앙켑(angkep)’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모든 동작에는 ‘가믈란(Gamelan, 타악기 위주의 인도네시아 전통 악단)의 음악 반주가 따른다. 무용수들은 종교적인 가르침에서 비롯한 도덕적 교훈을 담은 교향시 반주에 따라 춤을 춘다. 발리 춤의 무용수는 능숙한 기량 외에도 내면의 아름다움(탁수, Taksu), 카리스마와 겸손, 절제를 갖춰야 하며, 춤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특별한 영적인 힘 또한 필요하다.\n\n발리의 여러 공동체에서 추는 춤은 주로 전통 집단인 세카(sekaa)에 속한 연장자가 어린이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한다. 최근에는 각 급 학교에서도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다. 발리 전통춤은 발리 사람들의 풍습과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 춤은 2015년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 되었다.\n\n출연자: 자카르타 주립대학교 무용단\n예술감독: 이다 바구스 케투 수디아사
Indonesia -
발리니스 댄스 “태양의 신”
이 작품은 발리 전통 춤을 바탕으로 삶의 철학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창작 무용이다. 발리 사람들에게 있어서 춤은 발리 달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행하는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발리의 전통춤은 전통과 풍습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상징한다. 발리 사람들은 전통 춤의 율동이 자연을 대변하며, 무드라(Mudra, 손동작)는 일상생활, 법령, 믿음,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n\n발리 춤은 먼저 성스러운 춤 ‘왈리’(Wali, 8~14 세기에 기원), 약간 성스러운 춤 ‘베발리’(Bebali, 14~19세기에 기원), 그리고 오락을 위한 춤 ‘발리-발리안’(Balih-balihan, 19세기~현재에 기원)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는 장소(desa), 시간(kala), 경우(patra)에 따라 나눈 것으로 세 가지 춤 안에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춤들이 있으며, 발리 전역에서 널리 연행되고 있다.\n\n발리 전통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출 수 있다. 무용수들은 강하고 세련된 남성 역할, 여성 역할, 혼합된 역할 등 다양한 인물을 표현한다. 동식물 문양을 금박으로 입힌 화려한 색상에 황금 잎사귀와 보석 박힌 장신구가 달린 호화로운 전통 의상을 입는다. 춤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무릎을 바깥 방향으로 굽히고 배는 안쪽으로 넣는 자세인 ‘아젬(agem)’이 기본 동작이며, 서로 다른 박자와 방향으로 이행하는 동작인 ‘탄당(tandang)’,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전이하는 동작인 탕키스(tangkis), 그리고 행복·슬픔·분노·두려움·사랑 등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앙켑(angkep)’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모든 동작에는 ‘가믈란(Gamelan, 타악기 위주의 인도네시아 전통 악단)의 음악 반주가 따른다. 무용수들은 종교적인 가르침에서 비롯한 도덕적 교훈을 담은 교향시 반주에 따라 춤을 춘다. 발리 춤의 무용수는 능숙한 기량 외에도 내면의 아름다움(탁수, Taksu), 카리스마와 겸손, 절제를 갖춰야 하며, 춤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특별한 영적인 힘 또한 필요하다.\n\n발리의 여러 공동체에서 추는 춤은 주로 전통 집단인 세카(sekaa)에 속한 연장자가 어린이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한다. 최근에는 각 급 학교에서도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다. 발리 전통춤은 발리 사람들의 풍습과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 춤은 2015년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 되었다.\n\n출연자: 자카르타 주립대학교 무용단\n예술감독: 이다 바구스 케투 수디아사
Indonesia -
발리니스 댄스 “태양의 신”
이 작품은 발리 전통 춤을 바탕으로 삶의 철학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창작 무용이다. 발리 사람들에게 있어서 춤은 발리 달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행하는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발리의 전통춤은 전통과 풍습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상징한다. 발리 사람들은 전통 춤의 율동이 자연을 대변하며, 무드라(Mudra, 손동작)는 일상생활, 법령, 믿음,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n\n발리 춤은 먼저 성스러운 춤 ‘왈리’(Wali, 8~14 세기에 기원), 약간 성스러운 춤 ‘베발리’(Bebali, 14~19세기에 기원), 그리고 오락을 위한 춤 ‘발리-발리안’(Balih-balihan, 19세기~현재에 기원)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는 장소(desa), 시간(kala), 경우(patra)에 따라 나눈 것으로 세 가지 춤 안에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춤들이 있으며, 발리 전역에서 널리 연행되고 있다.\n\n발리 전통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출 수 있다. 무용수들은 강하고 세련된 남성 역할, 여성 역할, 혼합된 역할 등 다양한 인물을 표현한다. 동식물 문양을 금박으로 입힌 화려한 색상에 황금 잎사귀와 보석 박힌 장신구가 달린 호화로운 전통 의상을 입는다. 춤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무릎을 바깥 방향으로 굽히고 배는 안쪽으로 넣는 자세인 ‘아젬(agem)’이 기본 동작이며, 서로 다른 박자와 방향으로 이행하는 동작인 ‘탄당(tandang)’,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전이하는 동작인 탕키스(tangkis), 그리고 행복·슬픔·분노·두려움·사랑 등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앙켑(angkep)’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모든 동작에는 ‘가믈란(Gamelan, 타악기 위주의 인도네시아 전통 악단)의 음악 반주가 따른다. 무용수들은 종교적인 가르침에서 비롯한 도덕적 교훈을 담은 교향시 반주에 따라 춤을 춘다. 발리 춤의 무용수는 능숙한 기량 외에도 내면의 아름다움(탁수, Taksu), 카리스마와 겸손, 절제를 갖춰야 하며, 춤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특별한 영적인 힘 또한 필요하다.\n\n발리의 여러 공동체에서 추는 춤은 주로 전통 집단인 세카(sekaa)에 속한 연장자가 어린이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한다. 최근에는 각 급 학교에서도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다. 발리 전통춤은 발리 사람들의 풍습과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 춤은 2015년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 되었다.\n\n출연자: 자카르타 주립대학교 무용단\n예술감독: 이다 바구스 케투 수디아사
Indonesia -
발리니스 댄스 “태양의 신”
이 작품은 발리 전통 춤을 바탕으로 삶의 철학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창작 무용이다. 발리 사람들에게 있어서 춤은 발리 달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행하는 종교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발리의 전통춤은 전통과 풍습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상징한다. 발리 사람들은 전통 춤의 율동이 자연을 대변하며, 무드라(Mudra, 손동작)는 일상생활, 법령, 믿음,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n\n발리 춤은 먼저 성스러운 춤 ‘왈리’(Wali, 8~14 세기에 기원), 약간 성스러운 춤 ‘베발리’(Bebali, 14~19세기에 기원), 그리고 오락을 위한 춤 ‘발리-발리안’(Balih-balihan, 19세기~현재에 기원)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는 장소(desa), 시간(kala), 경우(patra)에 따라 나눈 것으로 세 가지 춤 안에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춤들이 있으며, 발리 전역에서 널리 연행되고 있다.\n\n발리 전통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출 수 있다. 무용수들은 강하고 세련된 남성 역할, 여성 역할, 혼합된 역할 등 다양한 인물을 표현한다. 동식물 문양을 금박으로 입힌 화려한 색상에 황금 잎사귀와 보석 박힌 장신구가 달린 호화로운 전통 의상을 입는다. 춤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다. 무릎을 바깥 방향으로 굽히고 배는 안쪽으로 넣는 자세인 ‘아젬(agem)’이 기본 동작이며, 서로 다른 박자와 방향으로 이행하는 동작인 ‘탄당(tandang)’,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전이하는 동작인 탕키스(tangkis), 그리고 행복·슬픔·분노·두려움·사랑 등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앙켑(angkep)’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모든 동작에는 ‘가믈란(Gamelan, 타악기 위주의 인도네시아 전통 악단)의 음악 반주가 따른다. 무용수들은 종교적인 가르침에서 비롯한 도덕적 교훈을 담은 교향시 반주에 따라 춤을 춘다. 발리 춤의 무용수는 능숙한 기량 외에도 내면의 아름다움(탁수, Taksu), 카리스마와 겸손, 절제를 갖춰야 하며, 춤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특별한 영적인 힘 또한 필요하다.\n\n발리의 여러 공동체에서 추는 춤은 주로 전통 집단인 세카(sekaa)에 속한 연장자가 어린이에게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전승한다. 최근에는 각 급 학교에서도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다. 발리 전통춤은 발리 사람들의 풍습과 문화가 녹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세 가지 장르의 발리 전통 춤은 2015년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 되었다.\n\n출연자: 자카르타 주립대학교 무용단\n예술감독: 이다 바구스 케투 수디아사
Indonesi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 -
청년, 전지공예를 만나다
이것은 그저 한 청년의 이야기가 아닌, 전지공예에 관한 나와 내 친구들의 이야기다.\n\n어릴 적 전지공예에 대한 내 첫 기억은 창문 장식과 행운을 의미하는 푸(Fu) 글자를 종이로 만든 것이다. 나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국가 무형유산 전승자이다. 덕분에 나는 어릴 때부터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다섯 살 때, 나는 할머니를 따라 가위를 들고 빨간 종이에 그림을 오려내기 시작했고, 결국 종이 위에 사랑스러운 토끼 한 마리가 생생하게 나타났다. 비록 서툴고 어설펐지만, 할머니는 내가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것에 매우 흡족해하셨다. 수년간 연습하여 점차 수레국화, 하와이무궁화, 꽃다발 등 복잡한 패턴을 자를 수 있게 되었다. 매년 춘절이 되면, 우리 가족은 모여 앉아 경극을 부르고, 붓글씨를 쓰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선물할 전지공예를 만든다. 사람들이 내가 만든 작품을 칭찬해주고 좋아하는 걸 보면 전통 전지공예에 대한 애정이 깊어지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커진다. \n\n자라면서 나는 무형유산으로서 전지공예가 소실 위험에 처해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행히, 중국은 물론 전세계가 이 전통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전승자들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예술을 좋아하는 십대 청소년으로서 나는 해당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다. 그래서 나는 친구들에게 함께 전지공예를 배우자고 했다. 내 할머니는 전지공예 확산과 전승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전지공예 강의를 열었다. 청년과 아이, 부모 등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 명까지, 전지공예를 좋아하는 이들이 강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전지공예를 만들고, 연습하고, 관련 대회와 전시에도 참여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전지공예를 알게 되고 이 예술을 전수하게 되었다\n\n대학생이 된 지금 나는 전지공예를 배우고 보급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방법을 갖게 되었다. 2018년 여름사회활동 기간에 나는 열명이 넘는 친구들을 데리고 전지공예에 관한 체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내 고향, 산둥성 빈저우를 방문했다. 내 할머니를 포함하여 네 명의 전지공예 전승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로부터 전지공예 기술을 배우는 시간도 가졌다. 그리고 우리 학교인 상하이자오퉁대학 건물을 전지공예로 만들어 보았다. 또한 유치원을 방문해 지역 아이들이 전지공예를 배우는 걸 도왔다. 아이들의 눈에서 배움에 대한 열의를 보고, 내가 처음 가위를 잡고 희열을 느꼈던 때로 돌아간 것만 같았다. 나는 할머니를 도와 전지공예의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전지공예를 더욱 보호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우리는 전지공예로 학생과 선생님들이 좋아할 만한 엽서를 만들었다. 학교를 본 딴 엽서는 선물용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고, 중국 문화 상품으로서 국내외 대학교간 교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n\n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청년들은 현명한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최신 문화의 영향과 유산 소실의 위험을 마주하고 있기에, 이러한 문화들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번은, 할머니가 길을 걷다가 떨어진 낙엽을 여러 개 주워서 이들의 모양을 유심히 살핀 후 전지공예 문양으로 그려 넣는 것을 보았다. 그녀의 눈에는 세상 어느 것도 완벽하게 똑같은 것은 없다. 전지공예에선 나뭇잎 문양도 수천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예술작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문화적 힘일 것이다. \n\n무형유산에 관심이 많은 나는 올해 여름방학에 학교에서 마련한 중국 남서부 무형유산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창작 제품을 만들어서 지역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프로젝트를 위해 소수민족들이 모여 사는 구이저우성을 방문했다. 묘족 어린이들이 여전히 민족적 특징을 가진 자수와 은장식구를 배우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수천 개의 묘족 부락 관광지를 관리하는 분을 인터뷰하며, 지역 비유산 문화의 전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하나는 교육으로, 무형유산을 학교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문화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업화로, 비유산 문화를 기반으로 시대에 맞게 변화된 문화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민족문화를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지공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전지공예의 본질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른 혁신을 가하는 것이 최선의 전승 방법이다. 빈저우 전지공예 전승자 가운데 한 명인 겅(Geng)은 전지공예 요소를 적용한 청색 날염 옷감을 만들어서 판매했다. 상업화는 그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지공예 문화를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n\n나는 아직 대학생이라 큰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기타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내 고향의 무형유산을 촉진하고 혁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같은 뜻을 동료 친구들을 더 많이 만나고 함께 노력하여 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지속시켜 나갈 수 있길 바란다.\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