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미얀마
ICH Materials 100
Videos
(6)-
공작춤
윈난 지역에서 공작은 새들의 왕으로 불린다. 특히 다이 족(傣族) 사람들은 공작을 행운과 아름다움 그리고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긴다. 오늘날에도 좋은 날이나 명절이 되면 세상과 생명에 대한 경외심으로 공작무(孔雀舞)를 추거나 다함께 관람하는 풍속을 이어오고 있다. 다이 족들의 다양한 민족춤 중에는 유독 주변에서 흔히 보는 동물의 동작을 모방한 춤이 많다. 여기에는 자연을 중시하며 함께하는 다이족의 문화가 녹아 있다. 공작 춤은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며 대중적인 사랑을 받는 춤으로 꼽힌다.\n\n공작 춤에는 고정적인 순서와 형식이 있다. 주로 공작새가 둥지에서 나와 민첩하게 주위를 둘러보거나, 태연하게 걷는 모습, 물가를 찾고, 물을 마시며, 유유히 놀고, 날개를 퍼덕이거나, 날개를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묘사하여 춤사위로 표현한다.\n\n다이족의 전설에 따르면 원래 공작새는 지금과 달리 아름다운 꼬리와 깃털을 가진 새가 아니었다. 어느 날, 소승불교 법회가 열리는 장소에 부처님이 내려와 설법을 하게 되었다. 중생들은 앞 다투어 부처님의 주변으로 몰리기 시작했지만 공작새는 멀리서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불법을 듣고자 하는 공작새의 착한 심성을 본 부처님은 공작새의 꼬리 위에 한 줄기의 불광(佛光)을 내렸다. 그 이후 공작새의 꼬리는 지금처럼 아름다워졌고 공작새는 부처님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춤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n\n공작 춤은 주로 여성이 공작의 역할을 맡지만 원래 다이족의 전통 관습에 따르면 남성 무용수가 추었다. 이 작품은 남성 무용수가 표현하는 수컷 공작의 강건한 기질과 암컷 공작의 부드러운 모습이 융합되어 독특한 매력을 보여준다.\n\n다이족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56개 소수 민족 가운데 열한 번째로 크며 인구는 115만 여명으로 인구수 100만 명이 넘는 마지막 소수 민족이기도 하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의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와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이며, 라오스와 베트남, 태국, 미얀마에까지 걸쳐 분포한다. 태국의 다수를 차지하는 타이(Thai)족과 역사, 문화 및 언어 등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약 25개 소소민족들이 살고 있는 윈난성은 인류민속학의 보고로 여겨진다. 각기 특색 있는 무속 신앙과 불교 등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바탕으로 저마다 아름다운 민간 설화와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풍성한 문화적 유산들은 민속춤에도 면면히 녹아있다.\n\n동물의 동작을 모사한 춤이다.\n\n출연자: 운남성 쿤밍시 민족가무극원\n안무가: 양쭤우(楊洲)
China Sep 3, 2016 -
중국 - 와산례
중국의 소수민족인 와족의 대표적인 전통춤 ‘솔발무(솨이파우)’를 바탕으로 와족의 수렵 생활을 표현한 창작무이다. 남녀 무용수들은 검고 긴 머리카락을 힘차게 흔들며 시원하고 절도 넘치는 춤동작으로 관객을 압도한다.\n\n와족에게 머리와 머리카락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와족 사회에는 파종 전에 풍년을 기원하며 사람의 머리를 잘라 바치는 인두제라는 오래된 제사 전통이 있었다. 이 의식은 1968년경까지 와족 공동체에서 행해졌다. 주로 머리 숱이 풍성한 사람들이 제물이 되었는데, 건강한 머리카락이 풍성한 수확을 상징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n\n또한 운남성의 다른 소수민족과 달리 까무잡잡한 피부와 검고 긴 머리카락으로 유명한 와족들은 검은 피부와 검은 머리를 미인의 기준으로 여긴다. 검은 색을 숭상해서 전통 의상 역시 검은 색을 바탕으로 하며, 치아를 검게 물들이기 위해 홍마오수라는 나무의 가지를 태워 생긴 그을음을 치아에 묻히는데, 이는 치약을 대신해서 치아를 보호하는 방법이기도 하다.\n\n와족은 주로 중국 남부 운남성과 베트남,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북부 산간에 산다. 산에 사는 사람들을 뜻하는 ‘와족’은 3천 년 전의 벽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래된 민족이다. 만물에 영혼이 있다는 자연 종교를 믿는 와족들은 성격이 호방하며 대자연 속에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을 좋아한다. 특히 가무에 뛰어나 명절 때마다 남녀노소 전통 의상을 입고 목고무, 솔발무 등의 춤을 열정적으로 춘다. 와족 전통 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솔발무((솨이파우)는 와족 여성들이 긴 머리카락을 힘차게 흔들면서 추는 전통춤으로, 종교의식을 행할 때나 축제 때 흔히 볼 수 있다.\n\n긴 머리카락을 흔들며 춤 추는 와족의 전통춤인 솔팔무(솨이파우)를 재구성한 춤이다.\n\n출연자: 서은무용단\n예술감독: 장거(張格)\n안무가: 리잉
China Oct 27, 2012 -
구름과 바다 사이의 아와
‘아와’는 운남 지방에 사는 소수 민족인 와족들이 스스로를 부르는 말이다. 이 춤은 와족의 전통춤과 이야기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창작무용이다. 사랑에 빠진 소년이 사랑하는 소녀의 머리를 빗겨주며 영원히 이별하지 말자는 의미를 담아 바닥에 떨어진 머리카락으로 서로의 손목을 묶는다. 와족에게 머리카락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운남성의 다른 소수민족과 달리 까무잡잡한 피부와 검고 긴 머리카락을 가진 와족에게 검은 피부와 검은 머리는 미인의 기준으로 통한다.\n\n와족은 주로 중국 남부 운남성과 베트남,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북부 산간에 산다. 만물에 영혼이 있다는 자연 종교를 믿는 와족들은 성격이 호방하며 대자연 속에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을 좋아한다. 특히 가무에 뛰어나 명절 때마다 남녀노소 모두 전통 의상을 입고 목고무, 솔발무 등의 춤을 열정적으로 춘다. 와족 전통 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솔발무(솨이파우)는 와족 여성들이 긴 머리카락을 힘차게 흔들면서 추는 전통춤으로, 종교의식을 행할 때나 축제에서 흔히 볼 수 있다.\n\n물소는 와족에게 숭배의 대상이자 민족의 상징이다. 예로부터 씨를 부리기 전 오곡의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냈는데, 이때 물소를 제물로 바쳤다. 전통적으로 마을 입구나 집 앞에 제사에 쓰였던 물소의 머리로 걸어서 장식하는 풍습이 전해내려 오고있다.\n\n긴 머리카락을 흔들며 춤을 추는 와족 전통춤인 솔발무(솨이파우)를 재구성한 춤이다.\n\n출연자: 운남성 쿤밍시 민족가무극원\n안무가: 양쭤우(楊洲)
China Sep 3, 2016 -
연꽃실 직조
양곤대학교, 미얀마
Myanmar 2016 -
미얀마 칠기와 그 전망
미얀마 칠기와 그 전망 (키와 스웨 니언, 미얀마 미치나대학 교수)
Myanmar 2021-02-18 -
미얀마 인레 호수 지역의 사회경제 발전을 위한 전통 해양 기술
인레호수는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이고, 동부의 샨고원 서부 끝자락에 위치한다. 대략적인 호수 넓이는 44.9제곱마일이고 최대 해발고도는 2900피트(800미터)이다. 인레호수는 미얀마의 주요 관광지로, 산에 둘러싸인 호수의 그림 같은 아름다움, 호수 위에 장대로 세워진 가옥들, 아름다운 수상정원, 그리고 인타(Intha) 어부들의 문화적 풍습들로 여행객들을 끌어들인다. 인레호수 지역에 거주하는 주요 민족은 인타족이지만 파오족(Pa Oh), 타웅요족(Taungyo), 카얀족(Kayan), 샨족(Shan)이 다양성을 더한다.
South Korea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