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미얀마
ICH Materials 100
-
공작춤
윈난 지역에서 공작은 새들의 왕으로 불린다. 특히 다이 족(傣族) 사람들은 공작을 행운과 아름다움 그리고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긴다. 오늘날에도 좋은 날이나 명절이 되면 세상과 생명에 대한 경외심으로 공작무(孔雀舞)를 추거나 다함께 관람하는 풍속을 이어오고 있다. 다이 족들의 다양한 민족춤 중에는 유독 주변에서 흔히 보는 동물의 동작을 모방한 춤이 많다. 여기에는 자연을 중시하며 함께하는 다이족의 문화가 녹아 있다. 공작 춤은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며 대중적인 사랑을 받는 춤으로 꼽힌다.\n\n공작 춤에는 고정적인 순서와 형식이 있다. 주로 공작새가 둥지에서 나와 민첩하게 주위를 둘러보거나, 태연하게 걷는 모습, 물가를 찾고, 물을 마시며, 유유히 놀고, 날개를 퍼덕이거나, 날개를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묘사하여 춤사위로 표현한다.\n\n다이족의 전설에 따르면 원래 공작새는 지금과 달리 아름다운 꼬리와 깃털을 가진 새가 아니었다. 어느 날, 소승불교 법회가 열리는 장소에 부처님이 내려와 설법을 하게 되었다. 중생들은 앞 다투어 부처님의 주변으로 몰리기 시작했지만 공작새는 멀리서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불법을 듣고자 하는 공작새의 착한 심성을 본 부처님은 공작새의 꼬리 위에 한 줄기의 불광(佛光)을 내렸다. 그 이후 공작새의 꼬리는 지금처럼 아름다워졌고 공작새는 부처님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춤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n\n공작 춤은 주로 여성이 공작의 역할을 맡지만 원래 다이족의 전통 관습에 따르면 남성 무용수가 추었다. 이 작품은 남성 무용수가 표현하는 수컷 공작의 강건한 기질과 암컷 공작의 부드러운 모습이 융합되어 독특한 매력을 보여준다.\n\n다이족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56개 소수 민족 가운데 열한 번째로 크며 인구는 115만 여명으로 인구수 100만 명이 넘는 마지막 소수 민족이기도 하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의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와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이며, 라오스와 베트남, 태국, 미얀마에까지 걸쳐 분포한다. 태국의 다수를 차지하는 타이(Thai)족과 역사, 문화 및 언어 등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약 25개 소소민족들이 살고 있는 윈난성은 인류민속학의 보고로 여겨진다. 각기 특색 있는 무속 신앙과 불교 등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바탕으로 저마다 아름다운 민간 설화와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풍성한 문화적 유산들은 민속춤에도 면면히 녹아있다.\n\n동물의 동작을 모사한 춤이다.\n\n출연자: 운남성 쿤밍시 민족가무극원\n안무가: 양쭤우(楊洲)
China Sep 3, 2016 -
중국 - 와산례
중국의 소수민족인 와족의 대표적인 전통춤 ‘솔발무(솨이파우)’를 바탕으로 와족의 수렵 생활을 표현한 창작무이다. 남녀 무용수들은 검고 긴 머리카락을 힘차게 흔들며 시원하고 절도 넘치는 춤동작으로 관객을 압도한다.\n\n와족에게 머리와 머리카락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와족 사회에는 파종 전에 풍년을 기원하며 사람의 머리를 잘라 바치는 인두제라는 오래된 제사 전통이 있었다. 이 의식은 1968년경까지 와족 공동체에서 행해졌다. 주로 머리 숱이 풍성한 사람들이 제물이 되었는데, 건강한 머리카락이 풍성한 수확을 상징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n\n또한 운남성의 다른 소수민족과 달리 까무잡잡한 피부와 검고 긴 머리카락으로 유명한 와족들은 검은 피부와 검은 머리를 미인의 기준으로 여긴다. 검은 색을 숭상해서 전통 의상 역시 검은 색을 바탕으로 하며, 치아를 검게 물들이기 위해 홍마오수라는 나무의 가지를 태워 생긴 그을음을 치아에 묻히는데, 이는 치약을 대신해서 치아를 보호하는 방법이기도 하다.\n\n와족은 주로 중국 남부 운남성과 베트남,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북부 산간에 산다. 산에 사는 사람들을 뜻하는 ‘와족’은 3천 년 전의 벽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래된 민족이다. 만물에 영혼이 있다는 자연 종교를 믿는 와족들은 성격이 호방하며 대자연 속에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을 좋아한다. 특히 가무에 뛰어나 명절 때마다 남녀노소 전통 의상을 입고 목고무, 솔발무 등의 춤을 열정적으로 춘다. 와족 전통 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솔발무((솨이파우)는 와족 여성들이 긴 머리카락을 힘차게 흔들면서 추는 전통춤으로, 종교의식을 행할 때나 축제 때 흔히 볼 수 있다.\n\n긴 머리카락을 흔들며 춤 추는 와족의 전통춤인 솔팔무(솨이파우)를 재구성한 춤이다.\n\n출연자: 서은무용단\n예술감독: 장거(張格)\n안무가: 리잉
China Oct 27, 2012
-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인 무형유산 NGO 포럼과 공동으로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 간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전 세계 10개국 11명의 선정된 발표자를 포함한 15명의 참가자들은 코로나 시대 변형, 적용된 각 국의 다양한 활동 사례와 사업 경험을 공유하고, ‘뉴 노멀’ 시대 무형유산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연대를 제안하였다.\n한국어 자료는 149쪽부터 수록되어있다.\n\n세션 1: 코로나19 시대,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n\n특별강연 1: '회복탄력성 체계 분석과 무형유산, NGO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도전과제' (로베르토 마르티네즈, 경제협력개발기구 멕시코지부)\n1. '무형유산 보호와 웰빙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관리 방안' (카롤리나 베르무데즈, 에트놀라노재단)\n2. '홍콩 윤롱지구 공동체 기반 무형유산을 위한 거시적 발전 모델 구축' (카이퀑 초이, 생명회복기금)\n3. '코로나 대항 매개체로서의 짐바브웨 토착지식' (알링턴 엔드로브, 아마구구국제유산센터)\n4.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 (디비야 보라, 사회과학연구소)\n\n세션 2: 코로나19가 NGO 활동에 가져온 변화\n\n1. '코로나19, ICCN 소속 도시들의 대응방안' (훌리오 나세르, 무형문화도시연합)\n2. '코로나 시대 예술과 문화교육 혁신' (제프리 풀린, 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n3. '파키스탄 칼라샤 지역의 무형유산을 통해 보는 유산교육 촉진' (지아수딘 피르 & 미자 우바이드, THAPP)\n4.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n\n세션 3: 통섭: 무형유산 교육 분야 원형과 전형\n\n특별강연 2: '지역 불균형 : 2003년 협약에 따른 인가 NGO의 균형 대표성 문제' (마티 하카마키, 핀란드민속음악원)\n1. '포스트 코로나, 공예 부문 공동체 회복탄력성 구축' (조셉 로, 세계공예협회)\n2. '예술과 영향력: 문화분야 기업 참여 과제' (니콜라스 포젝, 콜롬비아대학교)\n3. '청년 교육 강화를 통한 공동체 역량강화: 알프스 남서부의 무형유산 사례를 통하여' (알레시오 레 &지울리아 아반자, 산타가타문화경제재단)\n\n
South Korea 2020 -
해양 무형유산: 아태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활과 생태계 구축
해양 무형유산: 아태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활과 생태계 구축\n\n세션 1: 포용적 사회발전을 위한 전통 해양기술과 지식\n\n1. '해양 무형유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해양과학 10개년' (아테나 트라카다스 공동위원장, 유엔 해양과학10개년 헤리티지 네트워크)\n2. '지식의 유대와 시련 : 공동체 및 바다인으로 살기' (나루몬 아루노타이 교수, 태국 출라롱콘대학)\n3. '필리핀 불라칸 말로로스 연안지역 여성어민들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역량 강화' (미라 트리나 펠라요 교수, 필리핀 산토토마스대학)\n4. '미얀마 인레 호수 지역의 사회경제발전을 위한 전통 해양기술' (투투앙 전문관, 미얀마 종교문화부 고고학및박물관부)\n5. '해양문화의 가치 보존 및 지역사회 화합 촉진: 탄 호아 지역 고래숭배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르 퐁 따오 연구원, 베트남 국립민족학박물관)\n6. '벵갈지역 여성어부의 삶과 무형유산으로의 확장 : 공동체의 기여 및 지속가능성, 생존, 지속성의 의미' (로마무드라 마이트라 밪파이 교수, 인도 심바이오시스대학)\n\n세션 2: 환경적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전통 해양기술과 지식\n\n1. '태평양지역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인간중심적 개발에 대한 무형유산의 기여' (엘렌 레카 문화담당관, 유네스코아피아사무소)\n2. '미크로네시아 얍(Yap)의 해안 문화 경관과 해양 생태 보전' (제프리 윌리엄 교수, 괌 대학교)\n3. '국가중요어업유산 (부제 :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정현정 사무관, 해양수산부 어촌어항과)\n4. '자연 우선 문화(Voicing Culture After Nature): 술라웨시 지역의 전통지식과 해양자원관리' (데디 수프리아디 아두리 연구원, 인도네시아국립과학원(LIPI))\n5. '오 르 바아 타 팔롤로–팔롤로 낚시와 선박제조술' (스티븐 퍼시발 대표, 사모아 티아파타아트센터)\n6. '일본 마츠시마 만 해양 무형유산: 위협 완화 및 기회 확대' (앨린 딜레니 교수, 일본 동북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n\n\n\n
South Korea 2020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2 (무형문화유산과 노동)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2권의 테마는 「무형문화유산과 노동」입니다.
South Korea 2009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8 (생업으로서의 무형문화유산과 전통지식)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8권의 테마는 「생업으로서의 무형문화유산과 전통지식」입니다.
South Korea 2011
-
토착 샤머니즘의 원시자연숭배미얀마의 토착 샤머니즘은 지리적 위치와 인류학적 특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그러나 이 모든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자연이 세상 모든 생명을 관장한다는 믿음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미얀마의 샤머니즘은 자연에 깃든 정령들이 삶을 지배한다는 자연숭배사상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이들 정령을 위로하는 일은 모든 생명체에게 복을 가져다주지만 정령들에게 복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액운이 닥친다. 이러한 믿음의 맥락에서 보면 인간은 의례를 통해 정령을 달래야 한다. 하지만 일반인은 신령이나 정령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으므로 샤먼이 다양한 의례를 통해 신령의 세계와 소통하는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Year2012NationSouth Korea
-
파베니 피 마이 무앙 : 치앙마이의 새해축제태국, 미얀마, 라오스 그리고 캄보디아 사람들은 매년 4월 13일부터 15일까지 전통 새해맞이 축제인 ‘파베니 피 마이 무앙’ 혹은 ‘송크란’ 축제를 연다. 이 축제는 물을 뿌리는 축제로도 잘 알려져 있다. 태국의 북부나 란나지방의 전통에 따르면 송크란은 음력인 란나달력을 기준으로 7번째 달에 열렸다. 새해 첫 번째 달이 현재의 4월이 된 것은 이때가 황도대를 통과하는 태양의 움직임과 일치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황도대는 계절의 변화를 반영하며 자연과 우주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부합한다. 매년 이때가 되면 가족들이 모두 모여 불상을 닦거나 축복을 기원하며 물을 뿌리는 전통의식 등을 행하면서 복을 빈다. 축제기간에는 매일 달라지는 목적을 달성해야 함으로 하루 하루가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Year2018Nation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