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성별
ICH Materials 88
Publications(Article)
(41)-
벨뎀치 전시회, 키르기스 여성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어준 전통 치마벨뎀치(beldemchi)는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이다. 지난 2017년 6월 7일,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에 위치한 파인아트뮤지엄에서 벨뎀치(beldemchi)를 주제로 한 전시가 열렸다.\n\n벨뎀치는 드레스나 가운 또는 얇은 코트 위에 두르기도 하는 전통 치마이다. 벨(bel)은 ‘허리’를, 뎀(dem)은 ‘호흡’을 의미하는데, 어원에 따르면 벨뎀치는 ‘여성에게 새로운 숨을 제공하는 치마’라는 뜻이다. 키르기스의 여성들은 첫 출산이라는 극심한 고통을 겪은 후에 처음으로 벨뎀치를 입는다. 초산 시 젊은 여성의 몸은 특별한 관리와 온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인데, 실로 적절한 어원인 셈이다. 또한 벨뎀치는 산후 여성에게 바른 자세를 갖도록 도와주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며 여성의 아름다움에서 중요한 요소인 허리를 보호해준다. 키르기스 민족이 소비에트 시기 이전(~1917년)에는 내륙의 대륙성 기후에서 유목생활을 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당시 벨뎀치는 키르기스 여성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지켜주는 필수품이었다.\n\n키르기스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평소에는 물론 휴일과 축제 기간에도 벨뎀치를 착용하였다. 벨뎀치는 벨루어, 벨벳, 실크를 이용해 만들고 자수로 장식한다. 자수는 장식적 기능보다 여러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자수는 저주나 징크스, 또는 다른 곤란한 상황을 막고자 하는 부적인 동시에 여성의 존재를 드러내고 돋보이게 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자수의 구성과 스타일, 품질을 보면 그 여성의 나이와 사회적 신분 및 지역 그리고 그녀의 예술적 기량을 추측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든 여성이 벨뎀치를 만들고 자수를 놓을 줄 안다고 여겼다.\n\n모양에 있어 벨뎀치는 넓고 두꺼운 벨트가 장착된 두 겹의 스윙 스커트(swing skirt)로,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길고 추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북부에서는 허리에 두르는 플레어 스커트의 형태로, 벨트 위에 두꺼운 밴드를 덧대고 도톰한 소재로 만든다. 남부는 앞부분을 절개하여 단추로 여미는 스타일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지역적 특성 및 일상의 필수품이었던 치마가 어떻게 점차 여성들의 풍부한 창조성을 표현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n\n벨뎀치는 취향과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키르기스인의 일상에서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소비에트 모더니즘 시기(1960년대)를 거치며 벨뎀치는 촌스럽고 고루하게 여겨졌고, 1970년대에 들어서며 차차 모습을 감추었다. 그러나 시골의 나이 많은 여성들은 아직까지도 벨뎀치를 입고 있다.\n\n이번 벨뎀치 전시회는 키이즈 두이노 재단(Kiyiz Duino Foundation)과 가파르 아이티에프(Gapar Aitiev)의 이름을 딴 파인아트뮤지엄이 함께 주최한다. 전시를 통해 여러 주립 박물관과 개인 소장품으로부터 수집한 40개 이상의 벨뎀치 작품과 키르기스스탄의 각각의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자수 스타일 및 기술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키르기스스탄에서 벨뎀치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유명 디자이너들도 참여해 독특한 벨뎀치 디자인을 선보일 예정이다. 키르기스의 많은 여성들이 편안한 플레어 치마를 선호하고 있다.\n\n사진 : Women wearing Beldemchi © Kyiz Duino FundYear2017NationKyrgyzstan
-
제12차정부간위원회 특집 자연의 섬 ‘제주’와 ‘제주인’의 지혜제주도를 처음 온 사람들이 깜짝 놀라는 것이 있다. 바로 검은 돌이다. 제주는 화산섬으로 온통 돌투성이다. 화산이 분출하면서 내뿜은 화산탄들이 흩어져 제주의 모든 땅들을 뒤덮고 있다. 지금도 밭에 가면 흔하게 돌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제주도에서는 농사를 짓기가 어렵다. 하지만 13세기부터 제주 사람들은 밭에 흩어진 쓸모없는 돌들을 모아 밭의 경계에 돌담을 두르고 경작지를 확보하였다. 현재 그 길이가 22,100Km에 이른다.\n\n이 돌들은 얼기설기 쌓여 있어 대충 쌓아 놓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속에는 제주인의 지혜가 숨어있다. 그 열쇠는 바로 바람이다. 제주는 여름에 불어오는 태풍은 물론이고 4계절 내내 강한 바람이 분다. 빈틈 없이 촘촘히 돌담을 쌓는다면 제주 사람들은 매일 들에 나가 넘어진 돌을 다시 쌓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구멍이 난 울퉁불퉁한 제주의 돌담은 바람의 힘을 떨어뜨리고 통과시킨다. 삶에서 얻은 지혜이다.\n\n제주의 옛 이름은 ‘탐라’이다. 탐라의 시작과 관련된 이야기로는 땅에서 솟아난 세 신인(神人)이 탐라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이곳은 성스럽게 여겨져 ‘삼성혈’이라 불린다. 이는 한국 본토의 고대 건국신화가 하늘에서 알로 태어난 것과는 달리 땅에서 솟아난 것으로 문화적 원형의 차이를 보여주는 대목이다.\n\n제주도에는 1만8천의 신이 있다. 제주도민들은 세상 모든 것에 신이 있다고 믿는다. 그 믿음은 제주의 거친 자연환경에서 비롯된다. 쉴 새 없이 불어오는 거친 바람과 물이 고이지 않는 척박한 화산 땅은 사람이 살기에는 너무나 힘든 환경이었다. 그래도 살아야 했던 제주도민들은 거친 자연환경에 순응하며 살기 위해 신을 찾았던 것이다.\n\n제주의 마을에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신들의 거처인 ‘본향당’들이 있다. 이곳엔 ‘심방’이라 불리는 무당이 있다. 이들은 제주민들을 신과 연결해 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거친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왔던 해녀들과 어부들을 위해 음력 2월 영등굿이 진행된다. 영등신은 바람의 신으로 파도를 일으키기 때문에 해녀들과 어부들에겐 바다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신이다.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칠머리당 영등굿’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제주도에서는 이 기간 동안 30여 곳에서 바다의 신을 위한 의례를 펼친다.\n\n제주에는 여신과 관련한 이야기가 많다. 이들은 다른 나라의 여신과 달리 남신들에게 기대거나 속박되지 않는다. 거대한 거인으로 치마폭에 흙을 날라 제주 섬을 만들었다는 ‘설문대할망’, 생명을 잉태시키는 ‘삼승할망’, 농업을 관장하는 ‘자청비’ 등 주체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모습은 제주여성들의 모습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유교의 영향으로 동아시아에 나타나는 남자 중심의 사회와는 달리 제주도의 여성들은 자존감이 매우 높다. 경제활동도 한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n\n그 대표적인 것이 제주해녀이다. 작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개최된 11차 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대표목록으로 등재된 ‘제주해녀문화’는 역사적으로 이어져온 여성 중심의 사회를 통해 나타난 것이다. 화산섬으로 물이 고이지 않아 벼농사를 짓지 못하는 제주도에서 땅이 아닌 바다에서 먹을거리를 찾아야 했던 여성들은 생계를 위해 해녀가 되었으며 혼자가 아닌 다 같이 살아가는 법을 익혔다.\n\n제주의 자연은 척박하며 사람이 살아가기엔 모자란 땅이다. 하지만 제주 사람들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 선에서 이를 이용하여 살아왔다. 그 곳엔 1만8천의 신들이 있고 이웃이 있다. 이것이 제주문화를 지금까지 이어온 힘이다.\n\n사진 : Jeju haenyeo (female divers) crossing low stone walls to get to the sea © Jeju Haenyeo MuseumYear2017NationSouth Korea
-
망갈쇼파자트라, 방글라데시인들의 행복의 행진파헤라 바이샤크(Pahera Baishak)는 벵골력에 해당하는 새해 첫 날에 해당하는 날로써, 15세기에 무굴제국의 아크바르 황제가 수확철과 세금징수 기간을 맞추기 위해서 지정한 이래로 현재까지 많은 도ㆍ농 공동체들이 이날을 기리며 함께 즐기고 있다. 이름이나 출신과 상관없이 종교와 카스트, 사회계층, 교리, 성별 및 나이를 초월해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는 축제로서 방글라데시 사람들의 주체성을 공고히 하고 집단 근본주의(communal fundamentalism)를 경계하는 한편, 화합과 연대를 장려하는 날이기도 하다. 망갈쇼파자트라(MangalShobhajatra)는 축제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행진으로, 오늘날의 바이샤크 축제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n\n망갈쇼파자트라는 ‘행복의 행진’이라는 뜻으로 진흙인형이나 냄비, 기타 장식조각들을 만드는 벵골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85년 제소레(Jessore)에서 ‘차루피트(Charupeethh)’라는 문화 단체가 벵골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인형, 마스크, 음악을 사용한 행진을 처음 기획했다고 알려져 있다. 1989년 다카시에서 다카대학교의 순수예술대학의 학생들이 망갈쇼파자트라를 처음 접하였다. 당시 행진을 기획한 사람들은 마하버브 자말 샤밈(Mahabub Jamal Shamim), 모크레수르 라만(Moklesur Rahman)과 헤로마이 챤다(Heronmay Chanda) 등이다.\n\n행진은 주로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진행되는데, 첫 번째 주제는 억압과 악(惡), 두 번째는 악을 이겨내는 사람들의 용기와 힘,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평화와 연대를 다룬다. 최근 들어 방글라데시의 문화와 그해의 정치와 관련된 주제들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올해(방가브다 1424, 벵골력)에는 라빈드라나드 타고르(Rabindranath Tagore) 시인의 시에서 가져온 “아난달로케 망갈라로케 비라자 사탸순다라(Anandaloke Mangalaloke Biraja Satyasundara)”라는 슬로건과 함께 “빛을 향해 나아가자”를 주제로 정했다.\n\n지난해와 비슷하게 올해 망갈쇼파자트라는 수천 명의 참가자들을 유치하였다. ‘어둠을 쫓는 빛’이라는 의미의 태양 장식이 행진하는 동안 참가자들은 화려한 마스크, 꽃, 새, 동물, 태양 등 여러 장식을 한 수레를 끌었다. 태양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음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두 가지 본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달리 물고기와 새는 방글라데시의 문화유산을 강조하고 코끼리는 번영을 의미한다. 행진이 끝난 후, 사용됐던 마스크들은 기부되거나 자선기금 운동을 위해 판매된다.\n\n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2016년 망갈쇼파자트라를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선정한 바 있다. 올해 방글라데시 정부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행진을 기획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축제를 개최하였다. 또한 인도의 서벵갈 지역에서도 올해 전통적인 망갈쇼바야트라를 선보이기도 했다.\n\n사진: Bangladeshi children with placard in at Pohela Boishakh celebration CC-BY-SA-4.0 Moheen ReeyadYear2017NationBangladesh
-
필리핀 어부들의 수호성인을 위한 히간테스 페스티벌필리핀의 리잘 주(Province of Rizal)의 도시 앙고노(Angono)에서는 매년 11월 22일에서 23일경 어부들의 수호성인인 성 클레멘트(San Clemente)를 기념하는 히간테스 축제(Higantes festival)가 열린다. 히간테스(Higantes)는 스페인어로 거인을 뜻하며, 해당 축제에서 쓰이는 사람의 키를 넘는 거인 인형을 히간테스라고 부른다. 해당 축제에서는 히간테스 인형 수백 개가 모여 퍼레이드를 펼치는데, 이 인형들은 성별도 옷도 모두 다르지만 대부분 진지한 표정으로 두 팔을 허리에 짚고 있는 모양이 특징이다. 그 이유는 축제의 유래에서 찾을 수 있다.\n\n스페인 식민지 시절, 당시 농장주들은 비용을 아끼기 위해 한 해에 단 한번의 축제를 제외하고는 모든 축제를 금지시켰다. 그러자 스페인 선교사들을 통해 멕시코풍의 종이반죽 공예를 알게 된 마을 사람들이, 사람보다 큰 크기의 스페인 통치자 모습을 한 인형을 만들어 들고 다니며 자신들만의 놀림거리로 삼았다.\n\n현대에 와서는 앙고노 지역 내의 여러 독립된 마을인 바란게이(Barangay)을 대표하는 히간테(Higante)들이 퍼레이드에 등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튀긴 오리요리와 발루트(Balut) 오리알 요리로 유명한 마을의 상징은 오리 머리를 한 히간테이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많은 히간테스 예술가들이 크기와 형태가 다양한 인형들을 만들게 되었고, 그 숫자도 수백 개에 달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히간테스 제작 워크숍이나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하였으며, 이것이 오늘날의 해당 지역의 가장 큰 축제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었다.\n\n원래 히간테는 크기가 3m 이상인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 한 달의 시간이 걸리고 그 중 가장 어려운 얼굴 부분을 만드는 데에만 일주일이 걸린다. 얼굴은 오래된 신문을 반죽해서 만든다. 몸통은 퍼레이드에서 오랫동안 들고 다니기 쉽도록 대나무나 등나무 가지를 이용한다. 손잡이는 히간테를 들었을 때 땅에서 30cm 정도 들린 상태에서 다리가 보일 정도의 높이로 만든다.\n\n이 축제에는 바산(basaan)이라는 전통이 있다. 퍼레이드 행렬이나 참가자들이 서로에게 물을 뿌리는 전통이다. 사람들은 그 물이 어부들의 수호성인 성 클레멘트를 상징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축복을 받기 위해 자신들에게 물을 뿌려달라고 소리치곤 한다.\n\n퍼레이드에서는 히간테스뿐만 아니라 소녀들과 악단의 행진도 볼 수 있다. 소녀들은 파레하도레스(Parehadores)라고 부른다. 어부들의 수호성인인 성 클레멘트의 추종자를 상징하여 화려한 옷에 나무 슬리퍼를 신고 사그완(sagwan)이라는 나무로 만든 노를 들고 행진한다. 소녀들은 “성 클레멘트 만세 (비바 산 클레멘테, Viva San Clemente)”라고 외치고 행진과 함께 음악에 맞춰 춤을 춘다. 악단은 소녀들의 뒤를 따르며 연주한다.\n\n현재 히간테스축제는 다양한 참가자들이 경쟁하는 모습을 띠게 되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가 참가하는 축제이자 필리핀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n\n사진 : 유네스코 로고 ⓒ 유네스코Year2017NationPhilippines
-
키르기스 여성 머리장식의 의미아크엘레체크(ak-elechek)는 키르기스 여성이 쓰는 하얀색 터번 모양의 모자로, 겹겹이 두른 천으로 만들어져 있다. 천의 소재(비단, 양모 또는 면)와 겹의 수 그리고 모양은 여성의 나이와 사회적 지위 및 혼인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n\n과거, 젊은 여성은 신랑이 될 사람의 집에 갈 때 처음으로 아크엘레체크를 착용했고, 결혼 후에는 모든 공적 자리에 이 모자를 착용해야만 했다. 또한 키르기스 여성은 때이른 출산 또는 상처나 부상을 입었을 때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아크엘레체크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로부터 “하얀 아크엘레체크가 머리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가정이 평생 행복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n\n지난 2017년 3월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두 개의 아크엘레체크(또는 엘레체크) 축제가 열렸다. 하나는 수도 비슈케크에서 열린 전국적 규모의 축제로, 전 지역에서 온 천 명의 여성들이 아크엘레체크를 착용하고 행사에 참여했다. 북부의 작은 주(州) 탈라스에서 개최된 또 다른 축제에서 여성들은 86개 모양의 엘레체크를 만들었다.\n\n비슈케크와 탈라스에서 열린 전국적, 지역적 규모의 축제에는 키르기스스탄의 전통적 가치를 옹호하고 여성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각각 아크엘레체크를 쓴 천 명의 여성과 86명의 여성이 참여했다. 전 지역에서 온 다양한 나이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여성들이 함께했다. 해당 축제들은 공공재단인 키르기스 코오퍼레이션(Kyrgyz Cooperation)과 펠트월드-노마드스피릿재단(Felt World – Spirit of Nomadism Fund)의 주관으로 열렸다.\n\n사진 : Women wearing Ak-elechek© Kiyiyz-Duino – Kochmon RukhuYear2017NationKyrgyzstan
-
롬(ROM)과 올레(OLE): 북부 암브림 섬의 전통 마법의 춤롬(Rom)춤은 바누아투 군도의 암브림(Ambrym) 섬에서 유래하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암브림 토착어인 올레(Ole)1는 참가자가 롬2 가면을 쓰고 추는 춤을 말한다. 가면 자체를 뜻하는 롬은 뱅크스(Banks) 군도의 타마테(tamate) 가면과 같은 단순한 형태이지만 남부 말레쿨라(Malekula)의 가면과 더 비슷해 보인다.Year2014NationSouth Korea
-
무형유산 공동체의 성역할에 관한 인식변화 : 살락 욤 축제 사례많은 문화권에는 성에 따라 그들의 특정 역할, 기능 혹은 문화적·사회적 활동을 수행하는 데 기대되는 성 개념이 있다. 남자들은 강하고 힘이 세다고 생각되어, 주로 힘든 육체노동, 지도력 그리고 문해 능력과 관련된 역할을 담당한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여성스럽고 모성애적인 특성을 띠는 것으로 여기고 사회적 행사에서 남성을 돕는 역할을 맡긴다. 비록 이러한 성별 특성과 역할에 대한 개념이 문화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문화의 특정 부분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결정하는 전통적 관습은 종종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금기와 얽혀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학계와 무형유산 실연자 통합하기전북대학교는 2012년 무형문화연구원을 설립하였다. 이 연구원은 국내 차원에서의 ICH 수집 및 목록작성을 통해 ICH연구를 위한 최초 임무를 시작하였다. 연구원은 업무가 점차 확대되어 ICH의 보호, 정책수립 및 활성화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토대로 전북대학교는 2014년 가을 대학원생을 위한 입문과정을 개설하였고 그 다음 학기인 2015년 봄 "유·무형 문화유산"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 전북대학교는 무형유산정보학과를 설립하고 2016년 3월 ICH 연구를 위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Year2018NationSouth Korea
-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문화생활, 생산방식과 생태계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적 역학은 인간 문명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새로워진 생산방식은 종종 사람들의 문화적 관습들을 지역 생태계에 의해 제한되도록 만들었다. 다양한 토착 인구집단이 거주하는 인도 북동부의 전후 사정을 살펴보면, 문화가 이곳의 우아한 삶의 경험이라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오늘날 인도 북동부의 인구는 생활방식, 문화 활동, 그리고 다양한 문화와 인구집단의 문화적 변용, 동화와 융합을 의미하는 생리적 특징의 측면에서, 많은 다양성을 보여준다. 인도 북동부는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문화를 가진 다양한 사람들이 이주해 들어와 문화적 요소들이 섞인 증거를 가지고 있다. 브라마푸트라 계곡의 평원에서 카르비, 디마 하사오나가 산을 지나 디방 계곡까지 이르는 인도 북동부의 전체 문화적 생명선에는 수많은 문화적 표현들의 등고선들이 퍼져있다.Year2020NationSouth Korea
-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코로나 대유행 동안 국내외 무형유산 공동체가 직면한 어려움은 실로 우려스러운 일이다. 심지어 지역 정부 준위에서는 공동체 연계의 기반으로 여겨지는 지역 무형유산이 무시되기도 한다. 한국의 사례들은 우리 무형유산 공동체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비슷한 어려움을 보여준다. UNAK (국내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를 대표하여 COVID-19 시대 NGO들의 전례 없는 경험과 무형유산 공동체와의 참여사례 및 현재 위기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Year2020NationSouth Korea
-
살아있는 유산으로서의 성지 - 공동체의 삶을 풍요롭게 하다용의 꼬리를 닮은 언덕은 수 마일에 걸쳐 뻗어 있는 사질의 부드러운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다. 드문드문 있지만 싱싱하고 무성한 식생, 저 먼 지구의 심장부에서 솟아나는 차가운 물이 고인 샘물, 물가에서 부드럽게 부서지는 짭짜름한 호수의 파도, 하늘에서 솟아나는 것 같은 거대한 하얀 구름, 그리고 “용꼬리”를 밟으며 신성한 만질리-아타(Manjyly-Ata)를 따라 줄지어 순례하는 순례자들도 이 성지를 구성하고 있는 모습들이다.Year2019NationSouth Korea
-
타지키스탄 구전전통과 서사시의 현황과 보호 정책최근 몇 년 간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분야에서 유네스코 카테고리 II 기관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중앙아시아 전역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원하는 데에 가장 막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알려져 있다시피,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채택된 이후, 소련 해체 후에 자국의 정신문화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시각이 매우 활발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제안과 정책의 활성화 바람이 일었다.Year2015Nation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