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의례
ICH Materials 535
Audios
(40)-
깬(kèn) 독주
2009년의 통계에 따르면 산짜이족(Sán Chay)으로도 알려져 있는 까오란족(Cao Lan)은 16만 9,410명으로, 주로 뚜옌꽝(Tuyên Quang) 성에 거주한다. 까오란족은 신 까(sình ca; 고유한 민속노래), 무아 쫑(múa trống; 드럼 춤), 무아 쑥 뗍(múa xúc tép; 작은 새우 잡기 춤), 무아 찜 거우(múa chim gâu; 뻐꾸기 춤) 등과 같은 시와 민속음악 및 춤 등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까오란족이 연주하는 악기는 타인 라(thanh la; 손잡이 없는 작은 징), 나오 밧(não bạt; 작은 심벌즈), 드럼, 종, 관악기 등 다양하다. 깬(kèn)은 관악기로, 축제나 의례에서 연주한다. 깬은 몸통, 종, 리드 버팀대, 리드 등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통은 길이가 30cm 정도로 속이 빈 원통형의 딱딱한 나무로 되어 있다. 몸통에는 앞쪽에 7개, 뒤쪽 리드 버팀대 근처에 1개 등 8개의 구멍이 있다. 종은 원뿔대 모양의 얇은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져 있다. 작은 종은 튜브의 큰 쪽, 리드 버팀목은 작은 쪽에 각각 붙어 있다. 리드는 리드 파이프로 만들어지거나 리드 버팀목에 부착된 형태를 이루기도 한다. 깬은 떨리면서 강한 소리를 내며, 높은 음에서는 약간의 불협화음을 내고 낮은 음에서는 약간 깨지는 소리를 낸다. 음역대는 2옥타브이며, 남자만 연주한다. 수록된 음악은 하인 (hành quân; 군사 작전), 깬 캅(kèn Khắp), 드아 팟(đưa Phật; 부처 환영) 등과 같은 의식에서 연주되는 멜로디를 발췌한 것이다.
Viet Nam 1959 -
상 사(Sang sa)-띤 떠우(Tính tẩu; 류트) 독주
2009년의 통계에 따르면 타이족(Thái) 인구는 150만으로 베트남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주로 선라(Sơn La) 성과 디엔비엔(Điện Biên) 성에 거주한다. 타이족은 신화, 시, 핫 캅(hát khắp) 민속음악, 쏘에(xòe) 춤, 대나무 막대 춤 등 민속문화를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띤 떠우(Tính tẩu)는 타이족의 전통 악기 가운데 하나다. 띤 떠우는 특히 타이족을 비롯해 따이족(Tày), 눙족(Nùng) 등과 같은 소수민족의 텐(Then) 의식 같은 의례의 노래 반주를 위해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타이족의 사랑 노래, 쏘에 춤을 위한 반주에도 동원된다. 띤 떠우는 현악기로, 뜯는 악기에 속한다. 띤 떠우는 머리, 목, 울림통, 상판, 브리지, 줄로 이루어진다. 목과 머리는 전체 길이 80~90cm의 나무 하나로 만든다. 여기에는 조율을 위한 두 개의 집게가 있다. 울림통은 늙은 박의 표면으로 만들며, 둥글고 두껍다. 상판은 크고 얇은 대나무로 만든다. 줄이 놓이는 브리지는 홈이 파진 대나무 조각이다. 띤 떠우의 줄은 지역과 음악 기능에 따라서 2개 또는 3개로 되어 있다.
Viet Nam 1964 -
남 아이 (Nam ai; 기악 합주)
아이 장 남(Ai giang nam)이라고도 불리는 남 아이(Nam ai)는 까 후에 곡의 기본 가락이다. 전설에 따르면 응우옌 왕조 시대 때 민(Minh) 왕으로 있던 응우옌푹쭈(Nguyễn Phúc Chu) 왕이 남 아이의 전조인 아이 장 남을 작곡했다. 이에 따라 남 아이 가락은 18세기에 발생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남 아이 가락은 느린 박자로 연주되며, 구슬픈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음악은 궁중에서 허용되지 않았으며, 때때로 제물을 바치는 의례나 장례식에서 연주됐다.
Viet Nam 1998 -
Vatanim (나의 조국) / 소비르존 마트무사옙 (Sobirjon Matmusayev)과 아크롬존 투르디옙 (Akromjon Turdiye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Yovvoyi Chorgokh (야생의 초르고흐) / 무롯존 유수폽 (Murodjon Yusupo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Bo‘ston (정원) / 누그몬존 아흐메돕(Nughmonjon Akhmedov)과 셰랄리 이소콥(Sherali Isoqo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Mayliga (아주 좋아!!) 나시바 니도예바 (Nasiba Nidoyeva), 사노바르 라흐마토바 (Sanobar Rakhmatova), 우미다 누랄리예바 (Umida Nuraliyev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Naylayin (어떡하죠?) / 압두라싯 엘치옙 (Abdurashid Elchiye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Bog‘aro(정원에서) / 딜푸자 코디로바 (Difuza Qodirova)와 오디나 요쿠보바 (Odina Yoqubova)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Yovvoyi Chorgokh (야생의 초르고흐) / 초르고흐(Chorgokh) 그룹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Poshshopirim(하지니의 시, 나의 왕) / 에르킨존 시르모놉 (Erkinjon Shirmonov)과 네맛존 시르모놉 (Ne’matjon Shirmonov)
카타 아슐라(Katta Ashula, 일명 '쟁반노래(patnis ashula)')는 페르가나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우즈벡 전통 노래 양식이다. 보통 2~5명의 공동 가창자들이 악기 없이 (손에 쟁반이나 접시를 들고) 부른다. 대게 높은 음역대에서 폭넓은 호흡으로 부르는데 특유의 복잡한 연행방식으로 여타 장르와 구분된다. 카타 아슐라는 고대 의례와 노동요謠, 비가悲歌, 애곡哀哭, 아욜구 노래(ayolg'u; 악기이자 노래 장르), 그리고 고대 아랍-페르시아 운율학 체계에 기초한 가잘(g'azal)의 고대적 낭송방식을 근간으로 탄생되었다. 보통 대규모 모임, 봄의 꽃 축제, 잔치 연회에서 불린다.
Uzbekistan 2015 -
붓 란 (Bụt lằn; 봄 정경의 표현)
2009년 통계에 따르면 눙족(Nùng) 인구는 96만 8,800명으로 베트남 소수민족 가운데 7번째로 인구가 많고, 주로 랑선(Lạng Sơn) 성과 까오방(Cao Bằng) 성에 거주한다. 눙족은 풍부한 민속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민속음악을 즐긴다. ‘붓’(Bụt; 자비의 여신)은 눙족의 종교 의례 가운데 하나다. 눙족은 평상시에 남성은 30개의 ‘혼’(hồn; 영혼), 여성은 40개의 ‘비아’(vía; 얼)를 각각 지닌다고 생각한다. ‘혼 비아’(Hồn vía)는 몸과 연관돼 있다. 힘든 일을 겪을 때마다 영혼과 얼이 몸에서 빠져 나오고, 이로 인해 아프게 된다. 영혼과 얼이 몸을 오랫동안 떠나 있으면 병세가 심각해지고 죽을 수도 있다. 눙족은 매년 봄 초입에 가정에 깃든 얼을 위한 숭배 의식을 치른다. 이 숭배 의식은 12단계로 구성되며, 의미가 담긴 가사로 노래를 부른다. 노래의 곡조는 고음과 저음을 모두 포함하는데 정교하고 강하고 열정 넘치는 선율을 두루 내며, 깊은 내면의 감정을 끌어내도록 한다. 식물, 꽃, 동물 등을 주제로 봄의 정경을 표현하는 노래 ‘붓 란’(Bụt lằn)은 사람의 생각, 감정, 열정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 풍경을 묘사하면서 순진하고 다재다능하고 숭고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Viet Nam 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