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중앙아시아 축제
ICH Materials 147
Videos
(4)-
영혼을 위한 소리 - 수바논 족의 부클로그
▶ Play 영상 4. 영혼을 위한 소리 수바논 족의 부클로그\n이 에피소드는 1996년 3월 21일 필리핀 텔레비전에서 처음으로 방영된 시간여행(Time Travel) 프로그램의 ‘수바논 족의 축하행사’ 에피소드를 축약한 것이다. 에피소드 포맷은 원본을 수정한 것이다.\n\n수바논 의식에서는 동물을 제물로 바친다.\n\n상류에 거주하는 수바논 족또는 수바눈(Subanun)족은 서쪽 반도에서 찾을 수 있다. 수바논 족의 주요 거주지는 카티푸난(Katipunan)이다. 수바논 족은 사용하는 언어와 주변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적응에 따라 미사미스(Misamis) 족, 라푸얀(Lapuyan) 족, 신당간(Sindangan) 족, 투보이(Tuboy) 족, 살루그(Salug) 족 등 5개 민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n\n수바논 족은 고지대 강가 지형에 알맞은 문화와 기술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비탈진 산지의 화전에서 농사를 짓는다. 수바논 족은 전통적으로 이동식 수원(水源) 근처의 산마루에 거주할 수 있는 구조물을 몇 개 두고 서로 멀리 떨어져서 거주한다. 주로 농경지 근처에 집을 짓는데, 돌 사이에서 물이 솟아 나오는 샘과 인접한 지역을 선호한다.\n\n쌀이 주식이지만 옥수수, 고구마, 카사바 등을 윤작하거나 섞어짓기도 한다. 토지 문제와 토양 퇴화로 재배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논벼 경작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금속공예와 뒷면 직조(backstrap weaving) 를 한다. 아시아 돌과 도자기 거래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수바논 족은 수세기 동안 해안 사람들과 교역을 해 온 것으로 짐작된다. 오늘날 수바논 족은 대개 공격성이 없다. 과거에는 친족 중에 중요한 사람이 죽으면 ‘영혼의 동반자’를 제공해야 했다는 증거가 있다.\n\n수바논 족은 부클로그(buklog)라는 특이한 의식을 행한다. 부클로그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춤을 추는 연단(buklog-an, 부클로간)이다. 충격 내구성이 뛰어난 이 구조물은 높이가 3.5~4.5미터에 이르며 위로 곧게 뻗은 나무가 네 귀퉁이를 받치고 있다.\n\n기다란 기둥이 연단 중앙을 지나 위로 높게 뻗은 모습이 5월제(May Day) 기념 기둥 같다. 그 밑으로는 짧고 두꺼우며 속이 빈 통나무가 있는데 이것은 울림통 역할을 하며 속이 빈 항아리로 채워진 도랑 위에 놓인다. 중앙 기 둥은 무희들이 연단 위에서 리듬에 맞춰 춤을 추면 그에따라 오르내린다. 울림이 강한 소리를 듣고 사람들은 의 식과 축제의 현장으로 모여든다. 먹고, 마시고, 춤추는 축제가 며칠간 계속되며, 약 200명이 밤낮없이 계속해서 부클로간 위에서 춤을 춘다.\n\n부클로그의 핵심 의식이 있기 전에 여러 가지 복잡한 세부 의식이 진행된다. 핵심 의식은 주로 강가에서 이루어지는데 신을 달래는 의식이다. 부클로그는 중요한 의식으로,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축하하며 병을 고치고 난 다음에 신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또 특정 사람을 존중하고 귀향한 사람을 환영하며 새로운 지도자(timuay, 티무아이)를 칭송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망자의 영혼에 경의를 표하고, 조상의 영혼을 천도하며 기일을 기념하는 역할도 한다.\n\n수바넨(Subanen) 족은 수바논 족에 속하지만 북삼보앙가(Zamboanga del Norte) 주에 거주한다.
Philippines 1996 -
몽골-매춤
매 춤은 창공을 가르는 하얀 매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몽골의 민속 무용이다. 무용수들은 한 쪽 다리를 든 채, 양 팔을 펄럭이며 매의 날개 짓을 모방하는 동작을 구사하거나 역동적인 음악에 맞춰 절도 넘치는 춤사위를 선보인다. 양팔을 들어 어깨를 들썩이는 기본 동작은 몽골의 민속춤인 비옐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n\n몽골에서 하얀 매는 몽골 제국을 건국한 징기스칸의 토템 새로 여겨진다. 매 춤은 13세기 몽골 전사들의 용맹함을 상징하는 춤으로 주요 국가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레퍼토리 중 하나이다. 몽골의 국가적 스포츠 축제인 나담에 출전한 레슬링 선수들은 경기를 시작하기 전 몸을 풀기 위한 의식으로 매 춤을 춘다. 매 춤은 래슬링 선수들의 용기와 강인함, 품위와 무적의 투지를 상징하며, 선수의 기량을 과시하는 수단이다. 레슬링 경기가 끝나면 승자는 먹이를 정복한 매처럼 양 팔을 활짝 뻗어 다시 한 번 매 춤을 추고, 경기에 진 선수에게 승자의 팔 밑으로 지나가도록 하는 것을 전통으로 여긴다.\n\n몽골 외에 타지키스탄 같은 중앙아시아의 민족들에게서도 유사한 매 춤을 볼 수 있다.\n\n출연자: 몽골 국가 가무 예술단\n예술감독: Tseden-Ish Altangerel\n안무가: Davaakhuu Altangerel
Mongolia Sep 3, 2016 -
새봄 명절 ‘나브루즈’
전통 명절 ‘나브루즈’(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n나브루즈(Navruz)는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가장 크게 축하하는 명절 중 하나다. 나브루즈는 2009년 7개국에 의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대표목록에 등재된 바 있다. 나브루즈를 기념하는 나라들 중 일부가 추가로 협약당사자가 된 점을 고려해 2016년 12개국의 공동등재로 재지정되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3월 21일이 나브루즈 국경일로 공표되었지만 마할라 자치주와 공화국에 속한 몇몇 지역에서는 한 달간 나브루즈를 축하한다. 영상에서는 타슈켄트의 마할라 지역의 한 곳과 페르가나 지역의 놀이공원, 문화예술연구원에서 이루어지는 나브루즈 축하행사를 보여준다. 궁중요리인 ‘나브루즈-수말락(Navruz-sumalak)’과 야채를 곁들인 파이 ‘코크 솜사(Kok somsa)’, 야채를 소로 넣은 ‘코크 추취바라(Kok chuchvara)’ 같은 봄철 요리를 해먹는 것이 전통이 되었다.\n\n민속공연단, 꼭두각시 조종자, 줄타기 곡예사, ‘폴본(Polvon)’이라 불리는 씨름선수, 현대 가수들의 공연과 그 밖의 다양한 민속놀이 경연 등이 나브루즈 축하 기간에 진행된다. 나브루즈는 새해의 시작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더 가까이 결속시키고 축제의 참여자들 사이에 사랑과 애정을 전파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Uzbekistan 2017 -
2. 실크로드 지역의 축제 관련 협력 방안
문화를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문화적 요소나 표현은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국지적 환경에 적응하므로 항상 반드시 민족 정체성의 표지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공유 문화유산’ 개념을 통해 우리는 민족의 문화유산 보호와 활성화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잠재력을 드러낸다. 실크로드의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문화를 연결하는 목표는 (1) 가치관, 지혜, 창의력을 공유하는 즐거움의 성취, (2) 문화와 민족 간 상호 이익과 공감의 양성, (3) 방대한 지역의 다채로운 문화유산의 공통점 모색이다. 센터와 국제중앙아시아학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무형문화예산 실크로드 네트워크 구축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기관과 집단의 지원과 행동이 필요하다.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위해 두 가지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유럽축제협회 경험을 활용한 자체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고, 두 번째는 신규 네트워크 청년 관리자가 참여하는 특별한 무형유산 축제아카데미 설립 준비를 위한 유럽축제협회와의 협력이다.
South Korea 2020-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