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한국의 무형유산
ICH Materials 417
-
Buriad 민속 무용단, ‘Balj 의 멜로디’
몽골의 무형문화유산에 영향을 주는 수 많은 요인 때문에 많은 유산이 거의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몽골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제도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전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입안자들이 채택한 조치 중 하나가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을 위한 한-몽골 공동협력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2008 년부터 한국 문화재청이 후원했으며 유네스코몽골위원회와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수행했다.\n\n몽골 인간문화재 제도 구축 사업 프로젝트 2 년차가 되는 2009 년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계획 및 수행했다.\n- 중부, 동부, 고비 아이막 등 다른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 지속\n- 무형문화유산 문제 및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심포지엄과 워크숍 개최\n- 무형문화유산 및 보유자 임시 목록 작성\n- 몽골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초안 작성
Mongolia -
Buriad 소수민족의 전통의상 Buriad deel
몽골의 무형문화유산에 영향을 주는 수 많은 요인 때문에 많은 유산이 거의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몽골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제도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전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입안자들이 채택한 조치 중 하나가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을 위한 한-몽골 공동협력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2008 년부터 한국 문화재청이 후원했으며 유네스코몽골위원회와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수행했다.\n\n몽골 인간문화재 제도 구축 사업 프로젝트 2 년차가 되는 2009 년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계획 및 수행했다.\n- 중부, 동부, 고비 아이막 등 다른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 지속\n- 무형문화유산 문제 및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심포지엄과 워크숍 개최\n- 무형문화유산 및 보유자 임시 목록 작성\n- 몽골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초안 작성
Mongolia -
Dagvadorj 가 제작한 공예품
몽골의 무형문화유산에 영향을 주는 수 많은 요인 때문에 많은 유산이 거의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몽골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제도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전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입안자들이 채택한 조치 중 하나가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을 위한 한-몽골 공동협력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2008 년부터 한국 문화재청이 후원했으며 유네스코몽골위원회와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수행했다.\n\n몽골 인간문화재 제도 구축 사업 프로젝트 2 년차가 되는 2009 년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계획 및 수행했다.\n- 중부, 동부, 고비 아이막 등 다른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 지속\n- 무형문화유산 문제 및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심포지엄과 워크숍 개최\n- 무형문화유산 및 보유자 임시 목록 작성\n- 몽골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초안 작성
Mongolia -
Baldan Bereeven 사원, Khentii 아이막
몽골의 무형문화유산에 영향을 주는 수 많은 요인 때문에 많은 유산이 거의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몽골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제도를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전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입안자들이 채택한 조치 중 하나가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을 위한 한-몽골 공동협력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2008 년부터 한국 문화재청이 후원했으며 유네스코몽골위원회와 아·태무형유산센터가 수행했다.\n\n몽골 인간문화재 제도 구축 사업 프로젝트 2 년차가 되는 2009 년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계획 및 수행했다.\n- 중부, 동부, 고비 아이막 등 다른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 지속\n- 무형문화유산 문제 및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심포지엄과 워크숍 개최\n- 무형문화유산 및 보유자 임시 목록 작성\n- 몽골 무형문화유산 가이드북 초안 작성
Mongolia
-
세션 3) 발표 4: 우리, 다함께 무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분야에 있는 청년들이 자연과 무형문화유산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해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사례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South Korea 2020-09-25 -
Eer—A Kyrgyz Saddle(KOR)
This film is about traditional Kyrgyz saddles. A saddle-making expert shows the technology behind saddle manufacturing and how to cover the saddle with leather and make ornaments. Specialists also talk about the history of the associated Kyrgyz saddle traditions.\n\n키르기스 전통 안장 ‘에르’ 제작기법\n이 영상은 키르기스의 전통안장에 관한 내용이다. 안장 제작 전문가가 안장 제작 기술과 가죽으로 안장을 감싸는 방식, 그리고 장식품을 만드는 과정과 제작 방법, 키르기스 안장 전통의 역사에 대해 얘기한다.\n\n공동제작\n·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n· 유네스코키르기스스탄위원회\n\n협력기관\n· 한국교육방송공사(EBS)\n·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Kyrgyzstan 2017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전통 공예기술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 전통 공예기술\n\n모든 민족의 재능, 기술, 감각, 사상의 표지로서 수천 년 동안 형성되어 왔으며 문화를 반영하는 거울의 수준까지 이른 수공예는 독립 이후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1997년 우즈베키스탄 민간 실용 예술 및 수공예 장인들의 “우스토(Usto)”라는 창작 생산 연합이 만들어졌다. 공예가들은 “공예가(Hunarmand)”라는 전국 조직으로 통합되었다.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의 1997년 3월 31일자 “국민의 예술적 수공업 및 실용예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지원 조치들에 대한 강령”은 수공업을 살리고, 더욱 발전시키고, 잊혀진 부문들을 부활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페르가나 지역 수공업은 고대로부터 발달하였으며, 그 독특한 방식으로 여타 지역들과 구별된다. 19세기에 리시톤(Rishton), 안디잔(Andijon), 구룸사로이(G‘urumsaroy)는 페르가나 지역의 대규모 도자기 공예의 중심지로 간주되었다. 이 지역들의 그릇 장식은 독특하며 이곳에서 만든 항아리, 주전자 역시 다른 지역의 그릇들과 다르다. “차시마 굴(Chashma Gul)”, “초르 굴(Chor Gul)”, “오프톱(Oftob)”과 같은 표준 작품들은 이 지역의 고유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로 이 리시톤 도공소에서 위구르, 중국, 키르기즈 문화의 조화를 볼 수 있다.\n\n1. 코칸드(Qo‘qon)\n코칸드(Qo‘qon)는 고대부터 장인 수공업자 도시로 높이 평가받아 왔다. 18~19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넓은 한국(汗國, Khanate)의 수도였던 코칸드는 고유한 역사·문화적 외관과 진귀한 건축물을 도시 내부에 형성하였다. 또한 도자기 공예, 방직, 자수, 금속 공예, 귀금속 세공, 목각, 회화 등의 전통적 직업·기술들이 발달하였다. 오늘날, 목각술 학교 설립자인 코디르존 하이다롭(Qodirjon Xaydarov)과 그의 제자들,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영웅 압두가니 압둘라옙(Abdug‘ani Abdullayev), 국민 장인 무함마달리 유누솝(Muhamadali Yunusov), 숙련 장인 미르자우스몬(Mirzausmon), 미르자 유누스(Mirzayunus), 하산 우마롭(Xasan Umarov), 살림존 에르가솁(Salimjon Ergashev) 등의 코칸드 장인들은 각자 스승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활동해 오고 있다. 또한 노즈르코지옙(Nozrqo‘ziyev) 가家는 코칸드 회화 학파의 계승자로 간주된다. 우즈베키스탄 국민 장인 사이다흐맛 마흐무돕(Saidahmad Mahmudov) 박사, 사민존 모이디놉(Saminjon Mo‘ydinov), 그리고 누릿딘 우스모놉(Nuriddin Usmonov)은 숙련 장인으로 유명하다. 코칸드 귀금속 세공인들은 돌을 이용하여 섬세한 귀걸이, 팔찌, 발찌, 장신구, 목걸이 등을 만들었다. 오몬존 우마롭(Omonjon Umarov) 장인은 코칸드 도장(刀匠; 칼제조사) 학교를 설립하였고, 현재 그의 제자이자 아들인 하산보이 우마롭(Hasanboy Umarov)은 새로운 유형의 칼공예를 개발해오고 있다.\n\n2. 리시톤(Rishton) 도예\n리시톤(Rishton) 도예陶藝 중앙아시아 지역의 다른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페르가나에서도 유약을 입힌 토기 제품의 무늬는 두껍고 흐릿한 알칼리-주석 유약 위에 그려졌다. 이러한 9세기 그릇 장식 방식은 이후 또렷한 납층 아래에 그리는 하회(下繪, sirosti) 기법에 자리를 내주었다. 10~11세기에는 페르가나 도예에서 주석 유약과 옛 장식 기법이 이용되었다. 이후 유약 위에 코발트 안료로 유사 나무 형태, 반半심장 모양의 독특한 기법으로 무늬를 그려 넣은 그릇이 만들어졌다. 이브로힘 코밀롭(Ibrohim Komilov), 아슈랄리 욜도솁(Ashurali Yo‘ldoshev), 샤로핏딘 유수폽(Sharofiddin Yusupov), 토흐르 하이다롭(Toxir Haydarov), 알리셰르 나지롭(Alisher Nazirov), 루스탐 우스모놉(Rustam Usmonov) 등의 리시톤 도예학교는 숙련장인들의 중심지로 간주되었다. 리시톤 장인들은 각자 스승의 전통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대와 현대의 도예 비법을 ‘도제’ 전통을 통해 젊은이들에게 전수해 오고 있다. 이 도예학교에서 유숩존 이스모일롭(Yusufjon Ismoilov), 미르조마즈하르 아크라몹(Mirzomazxar Akramov), 딜숏 코치코롭(Dilshod Qo‘chqorov) 같은 열정적인 젊은 도공들이 많이 양성되었다.\n\n3. 마르길론(Marg‘ilon)\n마르길론(Marg‘ilon)은 페르가나 지역 고대 도시 중 하나이다. 마르길론에서는 고품질의 고운 비단, 광택나는 원단이 널리 생산된다. 20세기 초 마르길론 장인들은 고급 비단 직조 분야에서 전국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마르길론의 원단 제품은 원료, 무늬, 직조 기술에 따라 10여 개의 유형으로 나뉜다. 베카삼(beqasam), 아드라스(adras), 파린포시샤(parinposhsha), 바노라스(banoras), 하리르(harir), 쇼이(shoyi), 카노비즈(kanoviz), 야크로야(yakro‘ya), 아틀라스(atlas), 혼아틀라스(xonatlas), 치타(chita), 올라차(olacha), 칼라미(kalami), 보즈(bo‘z) 및 기타 종류의 옷감은 우즈베키스탄은 물론 해외에서도 유명하다. 투르군보이 미르자아흐메돕(Turg‘unboy Mirzaahmedov)은 마르길론 아틀라스, 아드라스, 쇼이 원단의 고대적, 현대적 종류를 가르치는 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제자 압두나비 토시테미롭(Abdunabi Toshtemirov), 라술존 미르자아흐메돕(Rasuljon Mirzaahmedov), 이브로힘존 술토놉(Ibrohimjon Sultonov) 등은 마르길론 아틀라스, 아드라스 외 기타 옷감 제조의 비결을 ‘도제’ 전통에 따라 전수해 오고 있다. 마르길론 전통모자(do‘ppi)는 형태, 원단, 장식, 미학적 상징 및 다양한 자연·지리적 특징들로 차별화된다. 페르가나 서부 및 중부 지역의 형태는 네모나면서, 살짝 원뿔형을 지닌 모자가 특징이다. 2010년, 마르길론 시내 ‘사이드 아흐마드 호자 에숀(Said Axmad Xo‘ja Eshon)’ 마드라사(Madrasa)에서 솔리존 아흐마달리옙(Solijon Ahmadaliev) 작업장이 설립되었다. 이곳에서 젊은이들은 소멸되어 가고 있는 날염捺染 기술을 배우고,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생산된 제품을 토대로 정기적으로 전시회가 개최된다. 페르가나 지역에서 수행된 답사를 통해 이러한 장인들의 작품이 깊이 연구되었다.\n
Uzbekistan 2012-01-01 -
5. 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한 무형유산 축제의 발전 모색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사례)
줄다리기는 전 세계에서 널리 행해지는 무형유산으로, 특히 벼농사 지역에서 성행한다. 그중에서도 기지시줄다리기는 문화적 가치가 높다. 매년 4월 둘째 주에 열리는 기지시줄다리기 축제는 5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 축제는 농경, 어업, 시장의 전통에 기반하며 다가오는 새해의 풍요와 평안을 기원한다. 줄다리기는 그 지역의 농사, 지역, 사회적 특징이 나타난다. 200미터 길이와 1미터 굵기의 줄을 사용하는 기지시줄다리기는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 행사이다. 다른 국가에서도 비슷한 줄다리기 경기들이 열린다. 기지시줄다리기 박물관 건립이 추진되면서 지역의 상징이 될 수 있겠다는 판단에 따라 지방정부에서 박물관 건립을 지원했다. 박물관이 건립된 후, 줄다리기 행사에 관한 지식을 다른 나라로 전파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었다. 과거에는 줄다리기 행사를 개최하는 다른 국가와 교류를 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박물관 개관 이후로 네트워크 구축 차원에서 다른 국가를 초빙할 기회가 생겼고, 그 결과 아태지역에서 연행되는 다른 유형의 줄다리기도 연구할 수 있었다. 기지시줄다리기가 잘 알려져 있으므로, 네트워크가 구축된 축제를 통해 다른 문화권의 전통 줄다리기를 보여줄 수 있는 축제를 구상 중이다.\n\n줄다리기는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널리 분포되어 있는 무형유산이다. 특히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여러국가의 벼농사 지역에서 공동체의 화합과 단결을 위해 성행하고 있다.
South Korea 2020-11-19
-
2020 문화다양성과 세계시민교육 온라인 세미나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전주교육대학교와 공동으로 <문화다양성과 세계시민교육>을 주제로 2020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에서는 상호 존중과 화해의식에 기여하는 문화다양성 교육, 평화와 공정한 사회에 기여하는 세계시민교육이 양질의 교육 달성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살펴보고 우리의 교육 현장이 양질의 교육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n\n세션 1: 문화유산을 통한 문화 다양성 교육\n1. 한국의 문화 다양성 교육 정책과 현황 (발표자: 한건수/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n2. 문화 다양성 증진을 위한 무형유산 통합교육 (발표자: 쯔엉 빅 한/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문화담당관)\n3. 박물관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 (발표자: 이은미/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학예연구사)\n4. 다민족 사회의 통합을 위한 문화 다양성 교육 (발표자: 조세핀 잘레/ 조지타운세계유산센터 커뮤니케이션협력팀장)\n\n세션 2: 초등교육에서의 세계 시민교육\n1. 한국 초등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현황 (발표자: 정우탁/ 前 전 유네스코국제이해교육원 원장)\n2.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창의인성 능력 함양 (발표자: 소피아 분/ 캄보디아 초등학교 교사)\n3. 초등교육에서 평화교육(Classroom in Peace) 사례 (발표자: 호세 페르난도 메시아/ 평화수업(Aulas en paz) 상임이사)\n4. 월드비전의 세계시민교육 사례 (발표자: 남상은/ 월드비전 옹호&시민참여팀 팀장)
South Korea 2020 -
2020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 인간, 자연,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2020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 인간, 자연, 그리고 무형문화유산\n\n세션 1: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n\n기조발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에르네스토 오토네, 유네스코 문화사무총장보)\n1. '인류세와 무형문화유산' (박범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소장)\n2.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농업, 미크로네시아의 혼농임업' (프란시스 레그, 미크로네시아연방 야프 역사보존연구소 소장)\n3. '위험에 맞서는 무형유산, 눈사태 위험관리' (마이클 브룬들, 스위스 눈과 눈사태 연구를 위한 WSL 연구소 책임연구원)\n4. '생태 인문학 속의 무형유산- 태평양 지역의 토착민 문화를 중심으로' (엘리자베스 들러그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UCLA) 교수)\n\n세션 2: 인류의 위기극복과 무형문화유산\n\n특별강연: '인류의 미래와 생태적 전환, 그리고 무형문화유산의 역할'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前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의장)\n1.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무형문화유산 – 토착전통지식체계를 중심으로' (치디 오구아마남, 캐나다 오타와대학 교수, ABS Canada 센터장)\n2. '무형문화유산으로 보는 인도의 재해저감관리 사례' (라훌 고스와미,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퍼실리테이터)\n3.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바다윤리 : 일본, 호주, 미국의 전통어업 사례를 중심으로' (쿠미 카토, 일본 와카야마대학교 교수)\n4. '해안 생태계 복원력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 동티모르 지역주민의 문화양식 사례를 중심으로' (시니키네쉬 베이옌 짐마, 유엔환경계획 지역조정관)\n\n세션 3: 일상 속의 무형문화유산, 새로운 시대를 향하여\n\n특별강연: '무형문화유산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동체의 과제' (마이클 메이슨, 스미스소니언연구소 민속생활문화유산센터장)\n1.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그레고리 미첼 퍼시픽 블루 재단 대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UCSD) 명예교수)\n2. '자연과 무형문화유산, 그리고 법' (아니타 바이바드, 라트비아 문화교육원 교수)\n3. '코로나 시대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의 역할' (에릭 제루도, 필리핀 산토토마스대학교 교수)\n4. '우리, 다함께 무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n
South Korea 2020 -
아태지역 무형유산 영상제작사업: 중앙아시아 (살아있는 유산: 삶의 지혜)
아태지역 무형유산 영상제작사업: 중앙아시아 (살아있는 유산: 삶의 지혜)\n\n급격한 도시화와 세계화로 인해 무형유산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무형유산의 변화와 그 추이를 파악하는 기록 작성이 보호 조치의 일환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특히 현존하는 무형유산을 보존·전승하는 데 있어 가시성을 확보하는 양질의 영상제작은 더욱 중요한 보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n\n영상은 최신의 기술을 활용해 무형유산을 가장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는 기록 매체이자 또한 대중과 소통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입니다. 하지만 아태지역의 영상 제작 환경이 상대적으로 취약해 이를 위한 많은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회원국의 무형유산 보호 역량을 강화하고, 아태지역 무형유산의 가시성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각국의 무형유산 전문가들, 공동체, NGO 등과 협력해 무형유산의 생생한 현장 기록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n\n센터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무형유산 보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해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등과 함께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보호 협력 네트워크 회의(중앙아 협력회의)를 개최해왔습니다. \n\n센터는 해당 협력 회의를 통해 무형유산 정보수집, 무형유산 웹사이트 제작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센터와 중앙아시아 4개국 및 몽골은 지난 2015년 전주에서 개최된 6차 회의에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가시성 제고를 위한 2차 3개년 사업계획을 채택하면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영상제작’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사업 참여국 지원을 위해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영상제작’ 사업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15년 11월 중앙아시아의 영상 및 무형 유산 전문가를 초청하여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이후 국가별로 지정된, 포컬 포인트 기관들은 영상기록을 담당할 전문가회의 및 영상기록팀을 구성하여 약 2년간 영상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n\n2016년 2월 말 각국의 중간보고 이후, 2016년 5월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개최된 ‘제7차 중앙아 협력회의’ 기간 중 5개국이 모두 모여, 국가별 영상 샘플을 시사하고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2016년 말부터 2017년 초까지 몽골, 한국, 타지키스탄 등에서 바쁘게 중간점검 실무회의가 개최되었고, 마침내 2017년 7월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서 개최된 ‘제8차 중앙아시아 협력회의’ 기간 중 최종 공개 시사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후 최종 편집 작업을 거쳐 각국의 무형유산을 담은 영상 50편이 완성되었습니다.
Kyrgyzstan,Kazakhstan,Mongolia,Tajikistan,Uzbekistan 2017 -
아시아태평양 무형유산을 활용한 교수학습 (총 6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방콕사무소 및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과 협력하여 2019년부터 무형유산 학교교육 협력사업을 통해 미래세대가 무형유산 보호에 참여의 주체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무형유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n\n본 사업의 일환으로 유네스코방콕사무소는 교육현장의 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 공동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무형유산을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하였다.\n\n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총 6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에피소드마다 무형유산 활용 교육의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있다.\n\n1. 학교에서 무형유산을 활용하여 가르친다는 것은?\n2. 무형유산을 활용해서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n3. 저는 교사입니다. 어떻게 하면 무형유산을 수업에 통합할 수 있을까요?\n4. 저는 학부모입니다. 어떻게 하면 학교가 무형유산을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n5. 저는 교직원입니다. 어떻게 하면 선생님들이 무형유산을 수업에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n6. 저는 학생입니다. 우리 문화가 지속될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n\n각 에피소드는 질문에 대한 답을 이해하기 쉽고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교육이 지식전달로 기능하는 것을 넘어 지식과 삶을 연결하는 핵심 매개체로써 무형유산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n우리 사회는 학생들이 미래사회의 능동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교육한다. 결국 공교육 콘텐츠가 삶과 연결되지 않으면 교육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양질의 교육을 달성하기도 어려워질 것이다.\n삶의 양식으로 존재하는 무형유산은 교육현장에 새로운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는 새로운 교수법을 활용하고, 학생들은 수업에서 배운 것을 생활에서 발견함으로써 수업내용에 더 흥미를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미래세대가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공동체는 지속가능하게 될 것이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무형유산 보호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n\n무형유산이 일일 체험으로 끝나는 추억으로 남지 않고, 삶의 일부로 이어지도록 하는 교육의 연결고리가 바로 무형유산 교육이라는 것을 이번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통해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n학교교육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영어를 기본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 본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곧 한국어, 태국어, 네팔어, 캄보디아어, 러시아어 등 총 5개 아태지역 언어로 번역되어 서비스될 예정이다.
South Korea 2021
-
베트남 남부지역의 실내악 던 까 따이 뜨
CD8_베트남 남부지역의 실내악 던 까 따이 뜨\n\n던 까 따이 뜨(đ?n ca tai t?)는 베트남 남부지역 비엣족(Vi?t)만의 고유한 전통 실내악이다. 까 쭈(Ca tru), 까 후에(Ca Hu?) 등 베트남의 다른 전통음악과 비교할 때 던 까 따이 뜨는 ‘최근’의 전통음악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음악 연구자에 따르면 던 까 따이 뜨는 베트남 남부지역의 의례음악인 낙 레(nh?c L?)와 실내악인 낙 후에(nh?c Hu?)의 음악을 배경으로 하여 19세기 중반에 생겨났다. 지난날 낙 레는 베트남 남부지역의 문화생활에서 커다란 역할을 했다. 연주곡으로는 군악 합주인 패 보(phe vo)와 클래식 합주인 패 반(phe v?n)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패 보는 북, 심벌즈와 베트남 오보에인 깬 버우(ken b?u)로 구성됐다. 패 반은 특히 꼬(co), 꼬 찌(co ch?), 꼬 째(co tre), 가오(gao) 등 2현금인 꼬(co) 형태의 현악기 4종류와 북인 쫑 낙(tr?ng nh?c) 및 원통형 작은북인 쫑 껌(tr?ng c?m) 같은 타악기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두 종류의 합주는 마을의 주요 축제에서 연주됐다. 하지만 결혼, 생일, 집들이와 같은 별로 중요하지 않는 행사에서는 타악기 없이 현악기로만 구성된 소규모의 패 반 합주가 연주됐다. 이러한 합주는 던 꺼이(đ?n cay)라고 불렸다. 격조 높은 풍류를 목적으로 16현 치터인 단 짜인(đan tranh), 달 모양 류트인 낌(kim), 나무로 아주 작게 만든 송랑(song lang) 등과 같은 현악기가 점점 추가됐다.\n\n음악은 점점 의례의 엄숙함을 벗어나 일상생활에 맞는 형식으로 바뀌어 갔다. 이것이 던 까 따이 뜨의 기초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 당시까지는 아직 던 까 뜨이 뜨가 정립되지 않았다. 1885년에 수도인 후에(Hu?)가 함락됐을 때 응우옌 왕조 왕실의 악사들이 후에 음악 전승을 위해 베트남 중부에서 남부로 이동한 것이 던 까 따이 뜨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때 던 까 따이 뜨는 후에 실내악을 받아들인 후에 레퍼토리나 연행 스타일 면에서 형태를 갖춰 갔다. 던 까 따이 뜨는 베트남 남부지역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후에 던 까 따이 뜨는 현재 갖은 부침을 겪고 난 뒤에도 여전히 광범위하고 깊게 문화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가장 뿌리 깊게 스며들어 있는 것이 바로 던 까 따이 뜨일 것이다. 이는 대중성과 학문성을 모두 포함하는 예술의 한 영역으로서 던 까 따이 뜨의 특별한 예술 가치를 확인시켜 준다.20세기 중반 남부지역 동서부의 따이 뜨 음악가는 가장 오래되고 잘 알려진 20곡을 선정했는데, 이 곡들은 박(B?c), 응(Ng?), 남(Nam), 오안(Oan) 스타일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선정된 20곡은 원곡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후로 따이 뜨 음율을 배우고 싶은 사람은 만드시 이 20곡을 연주하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
Viet Nam 2015 -
핫 반 (의례 음악)
CD5_핫 반 (의례 음악)\n\n‘반(V?n) 가창’이란 뜻의 핫 반(Hat v?n)은 베트남 킨족(Kinh)의 지역 종교인 뚜푸(T? ph?) 신앙과 관련된 독특한 전통 음악이다. 핫 반 또는 쩌우 반(Ch?u v?n)은 신에게 무엇인가를 고하는 노래를 뜻한다. 종교에서 이 노래는 ‘신을 칭송하는 노래’라는 뜻의 깜 까 쭉 타인(C?m ca chuc Thanh)이라고 부를 수 있다. “부처는 경전을 사랑하고 신은 노래를 사랑한다”는 글귀가 담긴 책이 있다. 핫 반은 노래와 악기 반주를 함께하는 음악으로서 레퍼토리와 음률이 다양하고, 의례 음악 연주에서의 엄격한 규율은 핫 반을 듣는 이에게 강력한 인상을 심어 주는 베트남 전통음악 전문가가 되게 했다. 뚜푸 신앙(4신 신앙)은 핫 반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뚜푸 신앙에서는 하늘, 땅, 물, 산 등 우주의 4개 장소에 존재하는 신을 언급한다. 이들 신은 계급을 달리한다. 사원의 최상위에는 옥황상제의 아버지가 안치돼 있다. 그 아래로는 땀 따오 타인 마우(Tam toa Thanh M?u), 응우 비 브엉 (ng? v? v??ng Quan), 뜨 비 쩌우 바(t? v? Ch?u ba), 응우 비 호앙 뜨(ng? v? Hoang t?), 뜨 푸 짜인 꼬(T? ph? thanh Co), 뜨 푸 타인 까우(T? ph? thanh C?u), 응우 호(Ng? H?), 오응 롯(ong L?t)이 있다. 마우 리에우 하인(M?u Li?u H?nh)은 중심 역할을 하는 신으로 여기고 있다. 마우 리에우 하인은 베트남의 4신 가운데 하나가 되기 전에 고향과 이름이 있는 땅에 사는 평범한 사람이었다.\n\n뚜푸 신앙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책임을 맡은 사람은 꿍반(cung v?n)으로 불린다. 꿍반 역할을 맡은 사람은 5~7년의 오랜 기간 동안 훈련은 받아야 한다. 꿍반은 사원을 책임지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놈(Han-Nom) 글을 짓는 데 재능이 있어야 하고, 숭배 의례와 핫 반에도 능숙해야 한다. 꿍반의 역할은 가족 구성원에게만 전수된다. 핫 반 음악은 보통 꿍반 두 명이 연행하는데 한 명은 달 모양 류트인 응우옛(nguy?t), 다른 한 명은 타악기를 각각 연주한다. 이 가운데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 노래를 할 수 있다. 규모가 큰 의례에서는 핫 반 연주단의 규모가 16현 치터인 짜인(tranh)이나 베트남 전통 2현금인 니(nh?) 또는 플루트 등의 4~5명이 추가될 수 있다. 응우옛은 중국의 악기 예우낀(yeuqin; 중국명 웨친, 月琴)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예우낀과 비교하면 8~11개의 프렛이 있어 목이 길다. 응우옛의 목에 있는 프렛은 10개인 것이 일반형이다. 응우옛의 2개 줄은 과거에 명주였다가 오늘날에는 나일론으로 만든다. 짧은 줄은 저이 띠에우(day ti?u), 긴 줄은 저이 다이(day đai)라고 부른다. 달 모양 류트 응우옛은 대개 저이 방(day b?ng; 5음계)과 저이 레찌(day l?ch; 4음계)로 조율된다. 드물게 저이 또 란(day t? lan; 단조 7음계)과 저이 송 타인(day song thanh; 1옥타브)으로 조율되기도 한다.
Viet Nam 2015 -
부하라 샤시마콤
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산하 예술 연구소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민속음악유산 음원 CD 세트, 「우즈베키스탄의 멜로디(Melodies from Uzbekistan)」를 발간했습니다.\n\n이 음원 선집은 우즈베키스탄 국립학술원 산하 예술연구소의 오래된 오디오 녹음 자료들을 현재 사용되는 매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간한 것입니다. 선집에 담긴 음원들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즈베키스탄과 국경 지역에서 현장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와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민속 음악입니다. 총 여덟 장의 CD는 노동, 가축 사육, 의식용 노래 등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우즈베키스탄의 노래 유산과 두타르(Dutor), 가지르 나이(G’ajir Nay)와 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 관악기 등으로 연주한 기악 외에도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산인 마콤(Maqom)이나 구전예술전통인 도스톤(Doston) 등을 담고 있습니다.\n\n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전통 음악이 낯설게만 들릴 수도 있지만, 여덟 장의 음원 CD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민속 음악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설자료(한국어, 영어, 우즈베키스탄어)가 포함되어 있어 국내외 대중들 역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n우즈베키스탄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특징을 모두 들려주는 CD 선집은 앞으로 무형유산 교육 및 홍보 자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zbekistan 2015 -
카라칼파크스탄 도스톤
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산하 예술 연구소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민속음악유산 음원 CD 세트, 「우즈베키스탄의 멜로디(Melodies from Uzbekistan)」를 발간했습니다.\n\n이 음원 선집은 우즈베키스탄 국립학술원 산하 예술연구소의 오래된 오디오 녹음 자료들을 현재 사용되는 매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간한 것입니다. 선집에 담긴 음원들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즈베키스탄과 국경 지역에서 현장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와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민속 음악입니다. 총 여덟 장의 CD는 노동, 가축 사육, 의식용 노래 등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우즈베키스탄의 노래 유산과 두타르(Dutor), 가지르 나이(G’ajir Nay)와 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 관악기 등으로 연주한 기악 외에도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산인 마콤(Maqom)이나 구전예술전통인 도스톤(Doston) 등을 담고 있습니다.\n\n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전통 음악이 낯설게만 들릴 수도 있지만, 여덟 장의 음원 CD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민속 음악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설자료(한국어, 영어, 우즈베키스탄어)가 포함되어 있어 국내외 대중들 역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n우즈베키스탄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특징을 모두 들려주는 CD 선집은 앞으로 무형유산 교육 및 홍보 자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zbekistan 2015
-
페르가나 계곡의 무형유산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가나 주, 안디잔 주, 나망간 주를 아우르는 페르가나 계곡 지대에는 구전 전통, 공연 예술, 전통 의례와 축제, 그리고 전통 공예와 같은 빼어난 무형유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젊은 세대들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4개국은 2011년부터 중앙아시아-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협력 사업으로 ‘온라인 툴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무형유산 목록작성 지원 3개년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형유산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n\n우즈베키스탄에서는 민속예술연구센터가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와의 협력 하에 본 3개년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페르가나 계곡 지역, 자라프샨과 우즈베키스탄 남부 지역, 나보이, 부하라, 코레즘 주와 카라칼팍스탄공화국 등지의 무형유산 종목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에서의 1차 현지조사가 완료된 시점인 2012년, 우즈베키스탄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수집된 영상, 음원, 사진, 보유자 인터뷰 자료 중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10장의 DVD/CD 세트로 엮었습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이 해당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영어, 우즈벡어, 한국어 해설집을 제작하여 선집과 함께 배포하였습니다.\n\n페르가나 계곡은 타지크, 위구르, 투르크 족 등 각기 다른 공동체들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면, 각자의 고유한 전통들이 공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제작된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 중 하나인 ‘카타 아슐라(Katta Ashula)’는 미술과 노래, 반주, 그리고 서사시를 통합한 독창적인 민요의 한 종류로, 이곳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n\n자료들을 디지털화 시키고, 배포하여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유산을 알리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세대 간 전수가 단절되어 사라져가는 무형유산들을 보호하고 전문가부터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알려 문화 간 이해와 대화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Uzbekistan 2015 -
베트남의 얼을 노래하다
베트남의 얼을 노래하다\n(2013-2014 베트남-센터 무형유산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 음원 자료)\n\n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 베트남 음악학연구소는 베트남의 무형유산 음원을 담은 CD세트 「Cultural Sounds: The Spirit of Vietnam」을 제작하였습니다. 이 CD세트는 2003년 유네스코무형유산협약을 실천하는 한편, 베트남 무형유산에 대한 국내외 대중의 이해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n\n베트남 음악학연구소는 2013년부터 1년 간 센터와 무형유산 아날로그 음원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지원 사업을 추진한 바 있으며, 이 사업을 통해 연구소가 소장한 300여개의 자기테이프를 디지털화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본 사업의 결과물을 보급하고 음원 자료에 대한 가시성을 제고하기 위해 현지 연구진들이 직접 각 주제별 곡목을 선정하고 CD세트를 제작하였습니다.\n\n9장의 CD로 구성된 선집에는 총 87곡이 담겨 있으며 곡목에 대한 베트남어, 영어, 한국어 해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본 사업은 훼손과 손상의 위험에 처한 베트남의 아날로그 자료를 복원하여 학술적인 가치를 높이고 대중의 인식을 제고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n\n센터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아태지역의 소중한 자료를 발굴하고, 무형유산 정보를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Viet Nam 2015 -
드넓은 몽골의 초원을 달리는 소리_몽골의 구전 전통과 공연 예술
드넓은 몽골의 초원을 달리는 소리_몽골의 구전 전통과 공연 예술\n\n몽골 국립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는 1950년대 초반부터 매년 각 지역에 답사팀을 파견하여 지역 구비문학, 방언을 조사·연구하고, 수기(手記) 및 채록된 자료를 아카이브에 보관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공식적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자료를 보관·보호하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아카이브의 음원자료에는 그 고유한 특성을 상실한 방언과 잊혀지고 소실된 다양한 구비문학들이 옛 모습 그대로 남아있어 해당 자료의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더욱 빛나게 해주고 있습니다.\n\n그러나 이러한 귀중한 음원자료의 대부분이 60년 이상 기술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보관되어 왔기 때문에 테이프들이 서로 붙고, 마르고,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오래된 자료들의 소실은 물론, 무형유산의 전승이 다음 세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유산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n\n이를 막기 위해 2008년부터 연구소는 음원자료를 디지털화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해왔으나, 전문 인력의 부족, 노후한 설비, 경비 및 장비 부족 등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디지털화한 자료의 음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습니다.\n\n이에 2011년, 몽골의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과 언어문학연구소, 한국의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오래되고 손상된 음원 자료들을 복원 및 디지털화 하고, 일반 대중에 배포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습니다.\n\n2011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된 ‘몽골 무형문화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지원 사업’의 첫 단계로 우선 자료복원과 디지털화 정보·전문가 교류를 위한 ‘몽골 무형문화유산 정보화 구축 지원을 위한 전문가 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몽골 국립라디오방송국, 언어문학연구소,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의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방송(MBC), 국가기록원, 영화진흥위원회 등과 복원·디지털화 노하우를 공유하고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n\n이번 사업을 통해 서사시, 전설, 설화, 호링-울게르, 전통예술, 후메이, 초르, 장가(長歌) 및 단가(短歌) 민요, 축가(祝歌), 찬가(讚歌), 무속(巫俗), 불교(佛敎) 및 풍습(風習)과 관련된 구비문학, 학술대회 녹음자료 등 715시간 분량의 음원자료가 복원, 디지털화 되었으며, 그 중 열 가지 주제로 128개의 음원을 선정하여 CD 선집 ‘초원을 달리는 소리’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선집은 10장의 CD와 20쪽의 소책자로 이루어진 해설집(영문판, 국문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n\n센터는 몽골 관계기관의 협력 하에 이번 온라인 공개를 통해 해당 음원 자료에 대한 몽골 및 각국 전문가, 관계기관, 일반 대중의 접근성 강화 및 몽골 무형유산에 대한 국내외 일반 대중의 인식 제고와 더불어 아태지역 무형유산 분야 국제 정보 센터로써 지역 무형유산 관련 음원 콘텐츠 확보 및 아카이브 기능 강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Mongolia 2012 -
우즈베키스탄인들의 전통 멜로디(2014-2015 우즈베키스탄 순수예술연구소 소장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
2015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아날로그 자료 복원 및 디지털화 협력사업의 일환으로서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위원회,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산하 예술 연구소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민속음악유산 음원 CD 세트, 「우즈베키스탄의 멜로디(Melodies from Uzbekistan)」를 발간했습니다.\n\n이 음원 선집은 우즈베키스탄 국립학술원 산하 예술연구소의 오래된 오디오 녹음 자료들을 현재 사용되는 매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간한 것입니다. 선집에 담긴 음원들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즈베키스탄과 국경 지역에서 현장 수집된 민속 음악 자료와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민속 음악입니다. 총 여덟 장의 CD는 노동, 가축 사육, 의식용 노래 등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우즈베키스탄의 노래 유산과 두타르(Dutor), 가지르 나이(G’ajir Nay)와 같은 각종 전통 현악기, 관악기 등으로 연주한 기악 외에도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산인 마콤(Maqom)이나 구전예술전통인 도스톤(Doston) 등을 담고 있습니다.\n\n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전통 음악이 낯설게만 들릴 수도 있지만, 여덟 장의 음원 CD 외에도 우즈베키스탄 민속 음악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설자료(한국어, 영어, 우즈베키스탄어)가 포함되어 있어 국내외 대중들 역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n우즈베키스탄의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특징을 모두 들려주는 CD 선집은 앞으로 무형유산 교육 및 홍보 자료로서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zbekistan 2015
-
스리랑카-아태센터 간 무형문화유산 시청각자료 디지털화 협력 워크숍
아태센터는 한국 문화재청의 지원과 스리랑카 문화부의 협력을 받아 5일간의 무형문화유산 관련 시청각 자료의 디지털화에 관한 스리랑카-아태센터 협력워크샵을 개최했습니다. 전주와 서울에서의 워크샵은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아날로그 시청각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고 스리랑카 음악에 중점을 두어 전 세계에 보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n\n이 간행물에는 현장 방문과 관련된 연설문 및 정보뿐만 아니라 9건의 발표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South Korea 2015 -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지적재산권 - 동향과 과제
South Korea 2010
-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정보와 네트워킹
South Korea 2009
-
2021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자료집
본 자료집은 2021년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3일 간 진행된 2021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포럼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주최하고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가 주관한 행사입니다.\n\n본 포럼에서는 ‘융합과 창의의 시대, 무형문화유산의 재발견’이라는 주제로 무형문화유산의 창의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혁신과 가치 창출의 사례를 살펴보며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Africa,Southeast Asia,Northeast Asia,Southwest Asia,Central Asia,Pacific Ocean,Eastern Europe,North America 2021
-
한국의 무형유산보호에 있어 디지털기술의 활용 사례와 과제한국에서 무형유산 보호에 있어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기록화와 콘텐츠 및 온라인 플랫폼 세 개의 분야에서 이루어졌는데, 디지털 기록화를 통해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는 한편으로는 기록보존 차원에서 보존되고 또 한편으로는 콘텐츠로 가공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한국에서 무형문화재 보호를 담당하고 정부 기관, 기업, 대학과 연구기관 등 많은 기관이 무형유산 보호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시도를 하였다.Year2023NationSouth Korea
-
소통과 어울림의 공연예술, 줄타기관아나 대가집에서 큰 잔치가 있거나 명절이 되면 광대들의 연희가 벌어졌던 전통사회에서는 줄타기를 행하였다. 마당놀이의 꽃으로 불리었던 줄타기는한 국의 전통 공연예술로 ‘공중의 맨 줄 위에서 줄광대가 재담·소리·발림을 섞어가며 갖가지 재주를 부리는 놀음’을 말한다.\n\n줄타기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918~1392)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기록에 따르면 줄타기는 답삭희(踏索戱), 답삭(踏索), 주삭(走索), 보삭(步索), 삭상재(索上才), 주승(走繩), 이승(履繩)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며, 공통적으로 ‘줄 위에서 재주를 부리며 논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n\n현재 전승되는 줄타기는 연행자의 성격을 기준으로 ‘광대 줄타기’와 ‘뜬광대 줄타기’로 나눌 수 있다. ‘광대 줄타기’는 관아에 예속되어 정착한 대령광대待令廣大가 연행하는 반면 ‘어름 줄타기’라고도 불리는 ‘뜬광대 줄타기’는 유랑광대流浪廣大에 의해 연행되었다. 현재 ‘광대 줄타기’가 197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로 지정되어 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뜬광대 줄타기’는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의 한 종목으로 전승되고 있다.\n\n흔히 줄타기하면 줄광대만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제대로 된 줄타기 연행을 위해서는 줄광대뿐만 아니라 땅 위에 서서 줄광대와 재담을 주고받는 어릿광대와 장구, 피리, 해금 등으로 연행판의 분위기를 이끌고 줄광대의 기예를 율동감 있게 만들어주는 삼현육각재비가 함께 관중들이 어우러졌을 때 한국의 소통과 어울림의 공연예술인 줄타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n\n줄타기는 오후 내내 이어지기에 관객이 흥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곡예와 재담, 음악으로 구성을 세심하게 짜야 한다. 줄타기는 행사의 안전을 비는 ‘줄고사’를 시작으로 간단한 곡예부터 어려운 묘기까지 갖가지 줄타기 기술을 보여주며 관중의 극적인 긴장을 유도한다. 이후 ‘중놀이’와 ‘왈자놀이’를 통해 관중의 극적 긴장을 이완시키고 흥미를 유발하고, 다시 여러 기예를 통해 관중의 극적 긴장을 유도했다가 살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한 후 마무리한다. 연행자나 상황에 따라 다소 변화가 있기도 하나 주로 이러한 공연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된다.\n\n이때 한국 전통의 줄타기는 곡예기술에만 머무르지 않고, 노래와 재담을 곁들여 소통하며 함께 어우러진 놀이판을 이끌어나간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줄타기와 차별화된다. 이러한 독특한 특징을 지닌 한국의 줄타기는 공연자와 관객 모두가 소통하며,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함께 어우러져 내면의 자유까지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고유하며 그 가치가 있다.\n\n과거 판소리만큼이나 인기 있었던 줄타기 공연의 명성은 현대에 와서 빛을 잃어가고 있다. 간혹 지역 문화축제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전승 취약 종목이라는 꼬리표가 붙을 만큼 명맥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거부터 한국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도맡았던 줄타기가 미래세대에도 전해질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과 대중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무형문화유산 분야는 보전과 활용이 이루어졌을 때 가치를 발휘할 수 있기에 전승 환경 개선과 시대를 고려한 다양한 활용을 통해 줄타기의 명성을 다시 드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코로나19로 지친 일상 속 사람들에게 해방감을 안겨줄 수 있는 줄타기가 사람들의 환호 가운데 하늘을 자유롭게 가로지를 수 있게 될 날을 기대하며 이 글을 마무리한다.\n\n사진 : 2008년 남사당놀이에서의 줄타기 © 플리커 계정: Republic of Korea, 저작권 정보 링크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Year2022Nation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