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s
캄보디아
ICH Materials 215
Publications(Book)
(42)-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2 (무형문화유산과 노동)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2권의 테마는 「무형문화유산과 노동」입니다.
South Korea 2009 -
2018 국제포럼_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고등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는 7월 17일 서울에서 유네스코방콕사무소,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공동으로 국제포럼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고등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다」를 개최했습니다.\n\n본 자료집에는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학들의 다양한 무형유산관련 교과 과정 및 공동체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을 통한 고등교육기관의 무형유산 보호에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아시아태평양지역 12개국 무형유산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논의한 결과물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outh Korea 2018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48 (위기를 극복하는 지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48권의 테마는 「위기를 극복하는 지혜」입니다.\n\n최근, 허리케인 아이다(Ida)가 캐리비안 국가들과 미국 남부, 북동부 주를 강타했고 재앙 수준의 홍수는 인명피해로까지 이어졌습니다. 대자연은 인간을 작게 만들지만, 동시에 인간은 그 자연으로부터 위기를 극복하는 힘을 얻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구전전통과 전통 지식에 집중하여 누가, 무엇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태평양, 일본, 인도, 그리고 태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South Korea 2021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9 (무형문화유산과 원무(圓舞))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9권의 테마는 「무형문화유산과 원무(圓舞)」입니다.
South Korea 2011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12 (무형문화유산과 분장)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12권의 테마는 「무형문화유산과 분장」입니다.
South Korea 2012 -
무형문화유산 정보의 구축과 공유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2011년 11월 30일부터 4일간 대한민국 제주에서 ‘무형문화유산 정보의 구축과 공유’를 주제로 전문가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해당 회의는 센터의 중점기능인 ‘정보와 네트워킹’의 실천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로서 마련되었으며, 무형유산 정보공유, 지식재산권 보호, 온라인을 통한 협력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n\n해당 보고서는 참가자들의 발표 자료와 회의에서 진행되었던 토론내용을 제공합니다."
South Korea 2012 -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정보와 네트워킹
South Korea 2009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VOL.35 (무형유산과 도시축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35권의 테마는 「무형유산과 도시축제」입니다.
South Korea 2018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41 (블록 날염 인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 무형유산에 대한 계간지인 ICH 꾸리에를 2009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n\n「Windows to ICH」라는 제목으로, 각 호마다 테마를 가지고 있으며, 제41권의 테마는 「블록 날염 인쇄」입니다.
South Korea 2019 -
아태무형문화유산꾸리에 한국어판 VOL.52 (전승공간, 무형유산이 살아 숨쉬다)
공간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과 사람이 공간을 만든다는 말이 함께 쓰이는 걸 보면 사람과 공간은 서로를 위해 공존한다. 무형유산과 전승공간도 마찬가지다. 무형유산이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선 전승공간이 필요하고, 전승공간은 무형유산을 통해 의미를 갖는다. 바늘과 실처럼 말이다. 네팔, 동티모르, 베트남, 한국의 무형유산과 전승공간에 얽힌 이야기를 살펴보자.
South Korea 2022 -
2019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당진시 지원을 받아 리빙헤리티지시리즈(Living Heritage Series) 두 번째 도서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을 발간했습니다. \n\n이 도서는 총 7개 국가(캄보디아, 일본, 필리핀, 한국, 태국, 우크라이나, 베트남)에서 연행돼 온 줄다리기를 문화적 다양성과 유사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번 도서 출판은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센터가 진행한 줄다리기 관련 심포지엄과 현장연구에 참여한 6개국 저자들의 원고를 보완한 내용 중심으로 기획돼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더해 우크라이나 저자 또한 이번 도서 출판 작업에 합류해 줄다리기라는 유산이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이외 지역에서도 연행돼 왔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n\n이번 도서는 줄다리기가 가진 보편성과 함께 서로 다른 지역의 연행자들과 연행 방식 및 기원 등을 통해 이 유산이 지닌 문화적 다양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Japan,Cambodia,South Korea,Philippines,Ukraine,Viet Nam 2019 -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지적재산권 - 동향과 과제
South Korea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