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장 (箭筒匠)
  • Manage No, Sortation, Country, Writer ,Date, Copyright
    Manage No EE00002215
    Country Republic of Korea
    ICH Domain Traditional craft skills
    Address 경상북도 경주시
    Year of Designation 1989.06.20
Translated by ChatGPT
Description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전통(箭筒)은 전쟁을 하거나 사냥을 할때 화살을 담아서 가지고 다니던 화살통을 말하며, 화살통을 만드는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전통장(箭筒匠)이라 한다. 우리나라 전통의 역사는 오래되어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쌍영총의 기마도와 수렵도 등의 벽화에서 그 모습이 보이고, 신라와 백제 고분에서는 화살통을 꾸몄던 꾸미개가 출토되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군인들의 사격연습이 실행되어 군수용품으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총포와 화약의 발달로 활의 중요성이 감소하여 화살통을 만들던 사람들은 직업을 바꾸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활쏘기가 취미생활의 하나가 되었고 화살통 역시 전쟁용에서 운동용으로 변하게 되어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 전통은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대나무로 만든 죽전통, 종이로 만든 지전통, 오동나무로 만든 목전통, 상어가죽으로 만든 교피전통 등이 있으며 때로는 조각이나 나전을 이용해 그 꾸밈새를 화려하게 만든 것도 있다. 전통의 재료는 주로 2년 이상 된 맑은 녹색의 왕대나무를 사용한다. 밑동부터 위로 90~97㎝ 정도로 자른 대나무는 빗물이 스며들지 않는 그늘진 곳에 2년 이상 저장했다가 묽은 양잿물에 3일 정도 담가서 기름(진)을 뺀다. 그 후 몸통 속에 막혀있는 마디를 제거하고 껍질에 문양조각과 칠을 하여 완성한다.

Information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