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PI00006878 Country Indonesia Year Sep 3, 2016 ICH Domain Performing Arts

Description | 이 작품은 전통적인 가라누힝 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가라누힝(Garanuhing) 춤은 전능한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한 전통 행렬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성 무용수들이 추는데, 벼를 수확한 후 감사와 기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병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순조로운 치료를 기원하는 퇴마 의식 ‘툴락발라’에서 추기도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의상과 분장만큼이나 크고 힘이 넘치는 춤 동작이 관객들을 압도한다. ‘가라누힝’은 단어의 뜻 그대로 해석하면 놋쇠로 만든 종 또는 그 종소리를 뜻한다. 약 5cm 크기의 속이 비어 있는 둥근 방울 혹은 종 모양 속에 작은 금속 물체를 채워 소리를 낸다.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무용수들이 발목이나 손목에 달아 소품으로 사용한다. 자바섬 서부 지역 원주민인 순다 족의 음악 장르인 칼리닝안을 가라누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벼 수확 후 신에게 감사를 올리던 축제 혹은 퇴마의식에서 연행된 춤이다. 출연자: 마와르 부다야 댄스 아틀리에 예술감독: 마리아 소피아 트리마와산티 안무가: Maria Sofia Trimawarsanti | ||
---|---|---|---|
Photographer | (사)아시아춤문화연구소 | ||
Place | 대한민국 | File Size | 523KB |
Definition | 882 x 540 | File Format | PNG |
Copyright | (사)아시아춤문화연구소 |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Photos
더보기-
PI00006883
가라누힝 춤
이 작품은 전통적인 가라누힝 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가라누힝(Garanuhing) 춤은 전능한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한 전통 행렬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성 무용수들이 추는데, 벼를 수확한 후 감사와 기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병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순조로운 치료를 기원하는 퇴마 의식 ‘툴락발라’에서 추기도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의상과 분장만큼이나 크고 힘이 넘치는 춤 동작이 관객들을 압도한다. ‘가라누힝’은 단어의 뜻 그대로 해석하면 놋쇠로 만든 종 또는 그 종소리를 뜻한다. 약 5cm 크기의 속이 비어 있는 둥근 방울 혹은 종 모양 속에 작은 금속 물체를 채워 소리를 낸다.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무용수들이 발목이나 손목에 달아 소품으로 사용한다. 자바섬 서부 지역 원주민인 순다 족의 음악 장르인 칼리닝안을 가라누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벼 수확 후 신에게 감사를 올리던 축제 혹은 퇴마의식에서 연행된 춤이다. 출연자: 마와르 부다야 댄스 아틀리에 예술감독: 마리아 소피아 트리마와산티 안무가: Maria Sofia Trimawarsanti
Indonesia Sep -
PI00006882
가라누힝 춤
이 작품은 전통적인 가라누힝 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가라누힝(Garanuhing) 춤은 전능한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한 전통 행렬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성 무용수들이 추는데, 벼를 수확한 후 감사와 기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병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순조로운 치료를 기원하는 퇴마 의식 ‘툴락발라’에서 추기도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의상과 분장만큼이나 크고 힘이 넘치는 춤 동작이 관객들을 압도한다. ‘가라누힝’은 단어의 뜻 그대로 해석하면 놋쇠로 만든 종 또는 그 종소리를 뜻한다. 약 5cm 크기의 속이 비어 있는 둥근 방울 혹은 종 모양 속에 작은 금속 물체를 채워 소리를 낸다.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무용수들이 발목이나 손목에 달아 소품으로 사용한다. 자바섬 서부 지역 원주민인 순다 족의 음악 장르인 칼리닝안을 가라누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벼 수확 후 신에게 감사를 올리던 축제 혹은 퇴마의식에서 연행된 춤이다. 출연자: 마와르 부다야 댄스 아틀리에 예술감독: 마리아 소피아 트리마와산티 안무가: Maria Sofia Trimawarsanti
Indonesia Sep -
PI00006881
가라누힝 춤
이 작품은 전통적인 가라누힝 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가라누힝(Garanuhing) 춤은 전능한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한 전통 행렬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성 무용수들이 추는데, 벼를 수확한 후 감사와 기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병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순조로운 치료를 기원하는 퇴마 의식 ‘툴락발라’에서 추기도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의상과 분장만큼이나 크고 힘이 넘치는 춤 동작이 관객들을 압도한다. ‘가라누힝’은 단어의 뜻 그대로 해석하면 놋쇠로 만든 종 또는 그 종소리를 뜻한다. 약 5cm 크기의 속이 비어 있는 둥근 방울 혹은 종 모양 속에 작은 금속 물체를 채워 소리를 낸다.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무용수들이 발목이나 손목에 달아 소품으로 사용한다. 자바섬 서부 지역 원주민인 순다 족의 음악 장르인 칼리닝안을 가라누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벼 수확 후 신에게 감사를 올리던 축제 혹은 퇴마의식에서 연행된 춤이다. 출연자: 마와르 부다야 댄스 아틀리에 예술감독: 마리아 소피아 트리마와산티 안무가: Maria Sofia Trimawarsanti
Indonesia Sep -
PI00006880
가라누힝 춤
이 작품은 전통적인 가라누힝 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가라누힝(Garanuhing) 춤은 전능한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한 전통 행렬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성 무용수들이 추는데, 벼를 수확한 후 감사와 기쁜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병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순조로운 치료를 기원하는 퇴마 의식 ‘툴락발라’에서 추기도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의상과 분장만큼이나 크고 힘이 넘치는 춤 동작이 관객들을 압도한다. ‘가라누힝’은 단어의 뜻 그대로 해석하면 놋쇠로 만든 종 또는 그 종소리를 뜻한다. 약 5cm 크기의 속이 비어 있는 둥근 방울 혹은 종 모양 속에 작은 금속 물체를 채워 소리를 낸다.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무용수들이 발목이나 손목에 달아 소품으로 사용한다. 자바섬 서부 지역 원주민인 순다 족의 음악 장르인 칼리닝안을 가라누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벼 수확 후 신에게 감사를 올리던 축제 혹은 퇴마의식에서 연행된 춤이다. 출연자: 마와르 부다야 댄스 아틀리에 예술감독: 마리아 소피아 트리마와산티 안무가: Maria Sofia Trimawarsanti
Indonesia S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