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PI00007727 Country Cambodia Year 2023-04-23 ICH Domain Performing Arts, Social practices, rituals, festive events

Description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하누만의 지물 | ||
---|---|---|---|
Photographer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 | ||
Place | File Size | 11.5MB | |
Definition | 300dpi | File Format | JPG |
Copyright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 |
![]() |
Information source
ICHCAP
Materials related to
Photos
더보기-
PI0000772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트노우(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의 지물
Cambodia 2023 -
PI0000772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레아 칸(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하누만의 지물
Cambodia 2023 -
PI0000771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트노우(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의 지물
Cambodia 2023 -
PI0000772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크라밧(벨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버클이 있는 벨트
Cambodia 2023 -
PI0000773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크라밧(벨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버클이 있는 벨트
Cambodia 2023 -
PI0000773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크라밧(벨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버클이 있는 벨트
Cambodia 2023 -
PI0000771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트노우(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의 지물
Cambodia 2023 -
PI0000771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마콧 캄풀 스루오치(원뿔형 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원뿔형 관은 공주, 왕의 배우자 혹은 신을 연기하는 여성 역할의 무용수가 쓴다.
Cambodia 2023 -
PI0000773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3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1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마콧 캄풀 스루오치(원뿔형 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원뿔형 관은 공주, 왕의 배우자 혹은 신을 연기하는 여성 역할의 무용수가 쓴다.
Cambodia 2023 -
PI0000773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3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1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마콧 캄풀 스루오치(원뿔형 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원뿔형 관은 공주, 왕의 배우자 혹은 신을 연기하는 여성 역할의 무용수가 쓴다.
Cambodia 2023 -
PI0000771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크룽 레압(크룽 레압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 가면은 3층으로 되어 있으며 9개의 머리 혹은 얼굴이 표현되어 있다. 맨 아랫층에는 커다란 악마의 얼굴(윗턱에는 크게 벌린 입에 야생 수퇘지의 커다란 송곳니가 있음.)이 하나, 뒷면에는 다른 세 개의 작은 악마 얼굴이 있고, 중간 층에는 4개의 악마 얼굴이 있다. 맨 윗층은 인간의 얼굴로 되어 있다. 맨 아래층과 중간층의 악마 얼굴은 푸른색(혹은 때로는 금색)이며 맨 윗층의 인간 얼굴은 하얀색이다. 라바나 가면은 라바나 악마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1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크룽 레압(크룽 레압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 가면은 3층으로 되어 있으며 9개의 머리 혹은 얼굴이 표현되어 있다. 맨 아랫층에는 커다란 악마의 얼굴(윗턱에는 크게 벌린 입에 야생 수퇘지의 커다란 송곳니가 있음.)이 하나, 뒷면에는 다른 세 개의 작은 악마 얼굴이 있고, 중간 층에는 4개의 악마 얼굴이 있다. 맨 윗층은 인간의 얼굴로 되어 있다. 맨 아래층과 중간층의 악마 얼굴은 푸른색(혹은 때로는 금색)이며 맨 윗층의 인간 얼굴은 하얀색이다. 라바나 가면은 라바나 악마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3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콩 레악(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3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콩 레악(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1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크룽 레압(크룽 레압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라바나 가면은 3층으로 되어 있으며 9개의 머리 혹은 얼굴이 표현되어 있다. 맨 아랫층에는 커다란 악마의 얼굴(윗턱에는 크게 벌린 입에 야생 수퇘지의 커다란 송곳니가 있음.)이 하나, 뒷면에는 다른 세 개의 작은 악마 얼굴이 있고, 중간 층에는 4개의 악마 얼굴이 있다. 맨 윗층은 인간의 얼굴로 되어 있다. 맨 아래층과 중간층의 악마 얼굴은 푸른색(혹은 때로는 금색)이며 맨 윗층의 인간 얼굴은 하얀색이다. 라바나 가면은 라바나 악마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3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콩 레악(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3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콩 레악(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콩 레악(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0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하누만(하누만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하누만 가면은 하얀 얼굴, 크게 벌린 입, 큰 코와 큰 입을 가진 형식화된 원숭이 형태로 묘사된다. 원숭이 장군은 머리에 금색띠를 착용하고 있다. 이 가면은 하누만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1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하누만(하누만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하누만 가면은 하얀 얼굴, 크게 벌린 입, 큰 코와 큰 입을 가진 형식화된 원숭이 형태로 묘사된다. 원숭이 장군은 머리에 금색띠를 착용하고 있다. 이 가면은 하누만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1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무크 하누만(하누만 가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하누만 가면은 하얀 얼굴, 크게 벌린 입, 큰 코와 큰 입을 가진 형식화된 원숭이 형태로 묘사된다. 원숭이 장군은 머리에 금색띠를 착용하고 있다. 이 가면은 하누만 역할에 사용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4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초엥(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초엥(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초엥(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빌 초엥(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4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5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납 다이(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팔에 두르는 이 장신구는 왼쪽 팔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5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코르(펜던트가 달린 목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목 펜던트는 자수 칼라 장신구와 자수 숄 위에 건다.
Cambodia 2023 -
PI0000775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코르(펜던트가 달린 목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목 펜던트는 자수 칼라 장신구와 자수 숄 위에 건다.
Cambodia 2023 -
PI0000775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코르(펜던트가 달린 목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목 펜던트는 자수 칼라 장신구와 자수 숄 위에 건다.
Cambodia 2023 -
PI0000775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코르(펜던트가 달린 목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목 펜던트는 자수 칼라 장신구와 자수 숄 위에 건다.
Cambodia 2023 -
PI0000775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5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5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5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5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6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라박(또는 라박 프카 삼용) 갈란드 펜던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갈란드 펜던트는 머리장식품에 부착하여 왼쪽 귀 앞에 오도록 하고 아래로 늘어뜨린다. 이 갈란드는 참파(또는 미첼리아 알바(Michelia Alba) / 매그놀리아 참파카(Magnolia Champaca))와 자스민꽃을 번갈아가며 만든다. 갈란드는 생화나 조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Cambodia 2023 -
PI0000776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시엣(귀 뒤에 꽂는 꽃))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생화든 조화든 무용수는 오른쪽 귀 위에 커다란 꽃 한송이를 꽂는다.
Cambodia 2023 -
PI0000776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시엣(귀 뒤에 꽂는 꽃))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생화든 조화든 무용수는 오른쪽 귀 위에 커다란 꽃 한송이를 꽂는다.
Cambodia 2023 -
PI0000776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프카 시엣(귀 뒤에 꽂는 꽃))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생화든 조화든 무용수는 오른쪽 귀 위에 커다란 꽃 한송이를 꽂는다.
Cambodia 2023 -
PI0000776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치엥 (금속체인 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금속 체인 띠는 종종 한 줄 혹은 그 이상이 되기도 하는데, 자수 숄 위에 왼쪽 어깨에서 반대편 오른쪽 엉덩이까지 내려오도록 몸에 두른다.
Cambodia 2023 -
PI0000776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치엥 (금속체인 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금속 체인 띠는 종종 한 줄 혹은 그 이상이 되기도 하는데, 자수 숄 위에 왼쪽 어깨에서 반대편 오른쪽 엉덩이까지 내려오도록 몸에 두른다.
Cambodia 2023 -
PI0000776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새 치엥 (금속체인 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금속 체인 띠는 종종 한 줄 혹은 그 이상이 되기도 하는데, 자수 숄 위에 왼쪽 어깨에서 반대편 오른쪽 엉덩이까지 내려오도록 몸에 두른다.
Cambodia 2023 -
PI0000776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진-체안 크랑(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6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진-체안 크랑(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6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진-체안 크랑(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7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벨(또는 로야) 귀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귀장신구
Cambodia 2023 -
PI0000777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벨(또는 로야) 귀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귀장신구
Cambodia 2023 -
PI0000777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벨(또는 로야) 귀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귀장신구
Cambodia 2023 -
PI0000777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크라벨(또는 로야) 귀걸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귀장신구
Cambodia 2023 -
PI0000777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캉 초욱(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7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캉 초욱(발목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발목 장신구 한 세트는 캉 초욱과 크라빌 초엥, 두개의 고리로 구성된다. 캉 초욱은 크라빌 초엥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7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슬레욱 테스(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Indonesia 2023 -
PI0000777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슬레욱 테스(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78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슬레욱 테스(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79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칸트룸(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80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칸트룸(팔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손목 장신구 한 세트는 콩 레악 팔찌 1개, 칸트룸 팔찌 2개, 트라빌 다이 팔찌 1개, 친-체안 크랑 팔찌 1개, 슬레욱 테스 1개, 총 6개의 개별 악세서리로 구성된다. 콩 레악은 가장 위에 착용하며 그다음 칸트룸 팔찌, 크라빌 다이, 친-체안 크랑, 그리고 슬레욱 테스를 각각 차례로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81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수롱 코르(자수 칼라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자수 칼라 장신구는 목에 두르는 것으로 양쪽 어깨를 덮는다. 자수 숄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82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수롱 코르(자수 칼라 장신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자수 칼라 장신구는 목에 두르는 것으로 양쪽 어깨를 덮는다. 자수 숄 위에 착용한다.
Cambodia 2023 -
PI00007783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아브 치엥(또는 아브 다이 마캉)(한쪽에만 짧은 소매가 있는 속 셔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이 속 셔츠는 왼쪽에만 소매가 있다. 자수 숄 아래에 입는다. 그래서 왼쪽에 속 셔츠가 보이게 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84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아브 치엥(또는 아브 다이 마캉)(한쪽에만 짧은 소매가 있는 속 셔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이 속 셔츠는 왼쪽에만 소매가 있다. 자수 숄 아래에 입는다. 그래서 왼쪽에 속 셔츠가 보이게 된다.
Cambodia 2023 -
PI00007785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삼폿(치마))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몸의 아래쪽을 감싸는 한 장의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허리춤에 모아서 치마 모양을 만든다. 네앙 역할은 보통 붉은 색 삼폿을 입는다. 앞쪽에 주름이 잡혀있고 벨트 아래 끈 안으로 밀어넣어져 있다.
Cambodia 2023 -
PI00007787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바이 치엥(자수 숄/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이는 몸에 두르는 직사각형의 자수 숄/띠로 왼쪽 어깨에서 반대편 오른쪽 엉덩이까지 늘어뜨렸다가 다시 위로 올린다. 몸 뒤로 숄의 다른 한쪽 끝이 왼쪽 어깨 아래에서 허벅지 중간쯤까지 늘어뜨려진다. 이 숄은 삼폿과 짝을 이룬다.
Cambodia 2023 -
PI00007786
캄보디아, 왓 스베이 안뎃의 르콘 콜(스바이 치엥(자수 숄/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재(2018) ‘르콘 콜’은 ‘왓 스베이 안뎃’이라는 불교 사원을 둘러싼 지역 공동체가 연행하는 전통 가면극으로 「라마야나」의 캄보디아어 버전인 「리엄키」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공연한다. 이 가면극은 마을의 수호신들을 의미하는 ‘닉 타’를 위무하여 공동체를 보호하고 풍작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공연된다. ‘르콘 콜’이 공연되는 동안 영매가 자리 해 ‘닉 타’와 공연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연결되도록 돕는다. 르콘 콜은 주로 제의적 목적으로 행해지는데, 농업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쌀농사의 주기에 맞춰 공연된다. 공연자들은 화려하게 수놓은 의상과 가면을 착용하고 '핀 핏'이라는 전통 악단의 연주와 음송을 반주 삼아 공연한다. 등장인물 중 세 명의 캐릭터는 가면을 쓰지 않고 얼굴에 흰색을 칠해서 사람도 신도 아닌 다른 존재임을 표시한다. 이는 몸에 두르는 직사각형의 자수 숄/띠로 왼쪽 어깨에서 반대편 오른쪽 엉덩이까지 늘어뜨렸다가 다시 위로 올린다. 몸 뒤로 숄의 다른 한쪽 끝이 왼쪽 어깨 아래에서 허벅지 중간쯤까지 늘어뜨려진다. 이 숄은 삼폿과 짝을 이룬다.
Cambodia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