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C00000142 Published Year 2020 Category Report Language English,Korean Publishing Country Republic of Korea Publisher ICHCAP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Description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 인가 NGO 협의체인 무형유산 NGO 포럼과 공동으로 11월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 간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했습니다. 전 세계 10개국 11명의 선정된 발표자를 포함한 15명의 참가자들은 코로나 시대 변형, 적용된 각 국의 다양한 활동 사례와 사업 경험을 공유하고, ‘뉴 노멀’ 시대 무형유산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연대를 제안하였습니다. * 한국어 자료는 149쪽부터 수록되어있습니다. |
---|
Contents (Author )
회복탄력성 체계 분석과 무형유산, NGO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의 도전과제 | 로베르토 마르티네즈, 경제협력개발기구 멕시코지부 |
문화유산 보호와 웰빙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관리 방안 |
카롤리나 베르무데즈, 에트놀라노재단
, Fundación Etnollano |
홍콩 윤롱지구의 공동체 기반 무형유산 거시적 발전 모델 | 카이퀑 초이, 생명회복기금 |
코로나 대항 매개체로서의 짐바브웨 토착지식 |
알링턴 엔드로브, 아마구구국제유산센터
, Amagugu International Heritage Centre |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 | 디비야 죠티 보라, 사회과학연구소 |
코로나19, ICCN 소속 도시들의 대응방안 |
훌리오 나세르, 국제무형유산도시연합, ICCN
, The Inter-City Intangible Cultural Cooperation Network (ICCN) |
코로나 시대 예술과 문화교육 혁신 |
제프리 풀린, 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
, Creative Generation |
파키스탄 칼라샤 지역의 무형유산을 통해 보는 유산교육 촉진 |
지아수딘 피르 & 미자 우바이드, THAAP
, THAAP and Institute for Art & Culture, Lahore, Pakistan |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 |
함한희, 무형문화연구원
, CICS (Among the accredited NGOs) |
지역 불균형 : 2003년 협약에 따른 인가 NGO의 균형 대표성 문제 |
마티 하카마키, 핀란드민속음악원
, Finnish Folk Music Institute |
포스트 코로나 : 공동체 연계 강화를 통한 공예 부문 회복탄력성 구축 |
조셉 로, 세계공예협회
, World Crafts Council International |
예술과 영향력 : 문화 분야 기업 참여 과제 | 니콜라스 포젝, 컬럼비아대학교 |
청년 교육 강화를 통한 공동체 역량강화: 알프스 남서부의 무형유산 사례를 통하여 | 알레시오 레 & 지울리아 아반자, 산타가타문화경제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