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313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가우라 만카카리타디푸라 국제협력분과 위원장, 인도네시아 와양사무국 국제협력분과 위원 겸 크리스사무국 Published Year 2018 Language Korean Copyright Attach File

Description | 현대사회에서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은 현재와 미래세대로의 전승에 달려있다. 이는 유네스코 2003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전승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의 계승자와 감상자를 양성하는 것인데, 이들이 없다면 무형문화유산은 점차 희미해지고 결국에는 완전히 사라져버릴 것이다. 전승은 형식, 비형식 및 무형식교육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필자는 2009년 무형문화유산 보호활동 모범사례1로 등재된 인도네시아 페칼롱간시 바틱 문화유산의 교육과 훈련의 사례를 들어 교육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Article
-
DI00001013
공식 교육과 비공식 교육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보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다카사무소와 공동으로 2019년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무형유산과 교육-정규·비정규 교육에서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공동의 협력’이라는 주제로 2019 남아시아 무형유산 보호 네트워크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각 국가별로 이루어진 주제발표, 국가발표, 사례발표문과 교육을 통한 무형유산보호 역량강화를 골자로 하는 결과문서도 함께 수록되어 있습니다.
Duong Bich Hanh(Chief of Culture Unit, UNESCO Bangkok Office) -
DI00000656
정규, 비정규 교육을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교육은 무형문화유산을 대대로 전승하는 핵심 수단이라는점에서 무형문화유산과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다. 2003년 협약에서도 교육은 무형문화유산보호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된다. 무형문화유산관련교육은 그 성격이 정규 교육일 수도, 비정규 교육일 수 도 있다. 먼저 정규 교육과 비정규 교육의 개념을 정의할 것이다. 이어서 정규, 비정규 교육이 실제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해 논의해보고,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관련해 정규, 비정규 교육을 통한 무형문화유산보호의 모범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우라 만차차리타디푸라 (인도네시아 크리스사무국 차장)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