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494 Country Vanuatu Author NICOLA DALY, JULIE BARBOUR Published Year 2021 Language Korean Copyright

Description | 바누아투 군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말레쿨라는 아오테아로아와 언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많은 언어가 마오리어와 관련이 있으며 섬은 이를 문서화하는 장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바누아투는 30만명 미만의 인구가 145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밀집된 언어환경”으로 묘사되고 있다. 말레쿨라 자체에는 약 2만오천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30개 이상의 토착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일부는 수백 명의 사람들만이 사용하기도 한다. 전 세계의 토착어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마지막 사용자의 죽음과 함께 사라지고 만다. UN 원주민 문제에 관한 영구포럼은 2주에 한 개꼴로 토착언어가 사라지고 있다고 추정한다. 각 언어가 사라지면 그에 따른 고유한 문화적 표현과 세계관도 사라지게 된다. 말레쿨라의 프로젝트는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고자 한다. 말레쿨라 언어 말레쿨라에서의 언어 관련 사업은 1990년대에 고(故) 테리 크로울리가 작은 마을에서 네베에이 언어를 사용하는 대학생을 초대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만남은 섬의 많은 토착언어에 대한 그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말레쿨라 프로젝트는 종종 출판되지 않은 아동 도서 및 주제 사전의 형태로 문맹 퇴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커뮤니티와 협력한다. 이 연구는 지역 문화 정체성의 표현으로서 토착언어의 가치를 강조한다. 말레쿨라 프로젝트는 전통생활의 거의 모든 측면에 대한 중대한 변화에 직면하여 섬의 토착언어를 기록해야 하는 긴급한 필요성에 대한 대응이다. 앞서 언급한 변화들로 인해 토착어가 식민지 영어와 프랑스어, 멜라네시아어, 피지어의 방언인 비슬라마어와 경쟁하게 되었다. 교육에서 종교, 행정 및 가정생활에 이르기까지 오늘날에는 비슬라마어가 가장 많이 선택되고 있다.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가? 토착언어의 가치는 사람들이 자연 환경에 참여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명확하게 표현한다는 사실에 있다. 말레쿨라는 3천 년의 인간 정착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섬에서 사용되는 각 언어는 화자가 생명을 유지한 고유한 방식을 담고 있다. 토착언어는 사람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을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토착언어의 또 다른 근본적인 측면은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이다. 독특한 지역 정체성이 표준인 곳에서 비슬라마어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유지 되어온 언어적 다양성은 감소하게 된다. 최근 말레쿨라 사람들의 삶의 방식은 강렬한 공동체에서 더 광범위한 공식 교육으로 바뀌고 있다. 새로운 종교의 유입은 지역 신념 체계에도 유사한 영향을 미쳤다. 인프라의 개발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중앙집중식 거버넌스는 어린이에게 가르치는 언어를 포함하여 소규모 공동체의 업무 관리 자율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통적으로 언어분야 연구는 고도로 전문적인 언어 독자를 위한 귀중한 연구 결과를 낳았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공동체에 반환 할 것을 기대하지 않았다. 우리는 처음에 말레쿨라의 네베르베르 언어에 대한 글에서 이러한 전통을 따랐지만, 결과적으로 불만족스러워졌다. 아오테아로아의 현대식 탈식민화 연구 방법론과 윤리적 지침을 살펴보면서 우리는 “첫 번째 청중 원칙”을 개발했다. 즉, 현지 언어 공동체가 현장 연구결과에 대해 가장 먼저들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2020년에 코로나 19 대유행 및 여행 금지로 인해 언어 현장 작업을 갑자기 중단하게 되었다. 말레쿨라 공동체와의 현장 작업에서 이 반갑지 않은 중단기간 동안 동료 학자들을 위해 더 많은 기술적 분석에 집중하고 싶었다. 그러나 공동체에 대한 우리의 의무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말레쿨라로 돌아갈 수 있게 될 시기를 대비하여 보관해둔 현장 데이터로 작업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기사 원문 출처: 본 기사는 https://theconversation.com의 정보에서 발췌하였으며, 추가 링크가 있는 원문 소스는 https://theconversation.com/people-on-vanuatus-malekula-island-speak-more-than-30-indigenous-languages-heres-why-we-must-record-them 를 방문 바란다. 사진 : 토착언어는 사람들이 환경에 적응해온 방식을 담고 있다. CCBY Royce Dodd, 작성자 제공 |
---|
Keyword
Information source
Photos related to
Materials related to
Article
-
DI00000930
아태지역 무형유산 정책∙제도 편람 - 바누아투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의 정보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무형유산 보호체계에 관한 핸드북을 발행하였습니다. 센터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한 32개국의 현황보고서를 기반으로, 국가목록과 관련기관 정보 같은 주요 자료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ICHCAP 2016 -
DI00000942
전통 문화연행 기록자료의 디지털 큐레이션과 이용
세계 언어의 4분의 1이 넘는 언어의 본거지인 태평양은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실 이러한 기록들이 학계를 넘어 문화적 또는 역사적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기록의 작성과 설명은 인문학자들에게 항상 우선순위는 아니었고, 일반적으로 아카이빙을 위한 좋은 해결책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많은 문화 관련 기관과 연구자들은 녹음 자료를 기록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아카이빙을 위해 기록자료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나 그것들이 얼마나 많이(또는 적게) 적절하게 설명되었는지, 또는 녹취록이 작성되었는지, 번역되었는지 깨닫게 된다.
닉 티버거 소장, 파라디섹 아만다 해리스 소장, 파라디섹 시드니 지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