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721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오은경 교수, 동덕여대 유라시아투르크연구소 소장 Published Year 2020 Language Korean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Description | 좌장이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발표자에게: 발표자께서는 새로운 질서와 삶의 방식, 그리고 세계화와 문화적 통일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역화를 촉진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제 생각에 이 현지화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 쉽게 수행 될 수 있다고 보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두 번째 질문입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역화의 방향이나 전략을 바꿀 필요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그렇다면 그 방향이나 전략은 어떤 것일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또한 요즘 사람들은 뉴 노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니 코로나 19 이후의 현지화에 대해서 말씀 부탁 드립니다.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
VI00000319
1. 실크로드의 인간, 환경, 그리고 문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는 지역 공동체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함께 글로벌 금융과 시장 등의 유입으로 지역 공동체가 약화되는 위험성을 강조한다. 지역 공동체의 전통과 안정성이 사라지면서 글로벌 시장이 이를 대체하고 공동체의 가치는 저하된다. 호지는 향후 공동체의 경제적 번영이 지역 공동체 간 교역을 통한 지역화에 달려있다고 확신한다. 그녀가 말하는 소규모 운동에는 지역 차원이 아니라 전 세계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부유한 지배집단은 포함되지 않는다.
16:30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8
2.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협력 메커니즘의 구축
무형유산의 중요성과 실크로드 지역의 특징,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무형유산 보호가 왜 중요한지를 설명한다. 또한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가 중앙아시아 국가와 협력하여 추진한 다양한 정보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특히 실크로드 주변국과의 협력은 실크로드 프로젝트 개발에 관한 센터의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역할을 강화하여 실크로드 지역과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 향후 협력 강화를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구축이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실크로드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한 여러 이해당사자의 협력에 중요한 여정이 될 것이라 말한다.
13:24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7
3. 실크로드 무형유산 축제의 생명력과 지속성
일리셔 이크라모프는 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와 무형유산 축제 자료를 검토하면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지역 공동체의 중요성과 지역 축제의 대중성을 확인함에 따라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결여에 아쉬움을 느꼈으며 축제가 지역의 전통과 특산품을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러한 측면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의 상업화로 이어져서 행사의 수준이 저하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12:46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6
4. 실크로드 지역의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예술연행,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
유동조는 1979년부터 환경과 관련된 설치미술을 해온 작가로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는 물과 관련된 작품이다.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1년 동안 10개국의 11개 호수와 1개의 강에서 이뤄진 것으로 물이 있으면 “물”이 없고, 물이 없으면 “물”이 있다라는 공통적인 작품명 아래 큰 성공을 거둬왔다. 그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실크로드에 속한 여러 나라의 작가들과 연계하여 물-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물과 환경 문제를 재인식하는 캠페인을 추진할 것이다.
11:51
Republic of Korea 2020
Article
더보기-
DI00000708
실크로드의 인간, 환경, 그리고 문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는 지역 공동체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함께 글로벌 금융과 시장 등의 유입으로 지역 공동체가 약화되는 위험성을 강조한다. 지역 공동체의 전통과 안정성이 사라지면서 글로벌 시장이 이를 대체하고 공동체의 가치는 저하된다. 호지는 향후 공동체의 경제적 번영이 지역 공동체 간 교역을 통한 지역화에 달려있다고 확신한다. 그녀가 말하는 소규모 운동에는 지역 차원이 아니라 전 세계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부유한 지배집단은 포함되지 않는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로컬퓨처스 대표 2020 -
DI00000714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협력 메커니즘의 구축
무형유산의 중요성과 실크로드 지역의 특징,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무형유산 보호가 왜 중요한지를 설명한다. 또한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가 중앙아시아 국가와 협력하여 추진한 다양한 정보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특히 실크로드 주변국과의 협력은 실크로드 프로젝트 개발에 관한 센터의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역할을 강화하여 실크로드 지역과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 향후 협력 강화를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구축이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실크로드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한 여러 이해당사자의 협력에 중요한 여정이 될 것이라 말한다.
박성용,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정책개발실장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