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771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알리셔 이크라모프, IICAS국제협력실장, 우라잘리 타슈마 토프, 우즈베키스탄 국립예술문화연구소 교수 Published Year 2020 Language Korean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Description | 좌장이 참가자들에게: 시간이 부족하므로 허락해 주신다면 한 가지 질문을 모든 발표자에게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박상묵 발표자님, 이 질문은 제가 발표자님께 여쭈어본 질문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질문은 도전과제와 관련이 있으며 인공 지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허권 발표자가 앞서 프레젠테이션에서 언급했듯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네트워킹을 계속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온라인 네트워킹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면, 우리 앞에 놓인 도전과제 중 하나는 오늘날 거의 모든 웹사이트에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의 범위는 무엇을 위한 필수도구가 될 수 있습니까? 이 무형유산 실크로드 네트워크를 홍보합니까?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고려해야 합니까? 크리스타 피캇 발표자께서는 커뮤니케이션센터를 관리하신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인공지능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계실 줄로 압니다. 인공지능이 오고 있으며 이미 모든 곳에 도래했습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당신의 관점에서의 인공지능과 실크로드 네트워크입니다. 어떤 도전이 될 수 있으며 제안은 무엇입니까?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더보기-
VI00000301
1.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의 범주와 양태 그리고 발전 가능성
‘실크로드’는 길이자 뿌리이며 고정된 개념이 아닌 역동적으로 여전히 확장하는 다의적 개념이다. 실크로드는 학문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20세기 말 실크로드는 평화와 이해의 상징으로 통했었지만 현재는 남용, 상업화, 정치적 오용의 위험에 처해 있다. 또한 실크로드 주변 국가들은 세계화와 상업화로 인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결과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정의와 목표 국가/지역, 회원국, 온라인과 오프라인 접근성, ICT 콘텐츠 생산 격차, 정보 업데이트 및 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정보공유 역량 강화, 정보 품질 개선, 민관협력 프로그램 기획 및 시행이 있다. 우리는 ‘실크로드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전문가/학계 협력에 대한 견해는 무엇인가’와 ‘새로운 과학적 접근방법을 지원할 수 있는가’,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
20:10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02
2. 실크로드 지역의 축제 관련 협력 방안
문화를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문화적 요소나 표현은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국지적 환경에 적응하므로 항상 반드시 민족 정체성의 표지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공유 문화유산’ 개념을 통해 우리는 민족의 문화유산 보호와 활성화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잠재력을 드러낸다. 실크로드의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문화를 연결하는 목표는 (1) 가치관, 지혜, 창의력을 공유하는 즐거움의 성취, (2) 문화와 민족 간 상호 이익과 공감의 양성, (3) 방대한 지역의 다채로운 문화유산의 공통점 모색이다. 센터와 국제중앙아시아학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무형문화예산 실크로드 네트워크 구축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기관과 집단의 지원과 행동이 필요하다.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위해 두 가지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유럽축제협회 경험을 활용한 자체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고, 두 번째는 신규 네트워크 청년 관리자가 참여하는 특별한 무형유산 축제아카데미 설립 준비를 위한 유럽축제협회와의 협력이다.
19:10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03
3. ichLinks – 온라인 무형유산 정보 플랫폼
아태지역 무형유산 정보공유플랫폼 ichLinks의 구축 배경과 핵심가치 및 목표, 활동 계획, 기대 효과 등에 대해 소개한다. ichLinks는 모든 참여 회원국이 플랫폼을 통해 서로 긴밀히 연결되는 공유 공간으로 기능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센터는 원스톱 통합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이자 아태지역 회원국 참여 기반 확장형 플랫폼을 표방한 ichLinks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참여 회원국의 협력기관들이 주도하는 운영협의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 간에 서로 다른 기술적 환경에서 비롯된 차이와 결핍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 지원책도 마련될 예정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참여 회원국과 협력기관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플랫폼 활용을 지원하고, 다자간 정보공유, 교류, 협력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지속적 창출을 보장할 것이다. ichLinks를 통해 공유된 정보와 콘텐츠는 축제, 전시, 연구, 관광 등의 분야에서 온·오프라인 원천소스로 끊임없이 재창조되어 다시 활용될 수 있다.
16:42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04
4. 실크로드 문화유산의 통로 (아프카니스탄, 중앙아시아, 이란) 사례연구
유네스코알마티사무소는 중앙아시아의 유형 및 무형유산과 관련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경 없는 기관이다. 현재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무형유산 목록화 작업, 무형유산 보호 수요 사업, 무형유산 구축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16:53
Republic of Korea 2020
Article
더보기-
DI00000746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의 범주와 양태 그리고 발전 가능성
‘실크로드’는 길이자 뿌리이며 고정된 개념이 아닌 역동적으로 여전히 확장하는 다의적 개념이다. 실크로드는 학문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20세기 말 실크로드는 평화와 이해의 상징으로 통했었지만 현재는 남용, 상업화, 정치적 오용의 위험에 처해 있다. 또한 실크로드 주변 국가들은 세계화와 상업화로 인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결과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정의와 목표 국가/지역, 회원국, 온라인과 오프라인 접근성, ICT 콘텐츠 생산 격차, 정보 업데이트 및 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정보공유 역량 강화, 정보 품질 개선, 민관협력 프로그램 기획 및 시행이 있다. 우리는 ‘실크로드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전문가/학계 협력에 대한 견해는 무엇인가’와 ‘새로운 과학적 접근방법을 지원할 수 있는가’,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
허권, 몽골국제대학교 교수 2020 -
DI00000748
실크로드 지역의 축제 관련 협력 방안
문화를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문화적 요소나 표현은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국지적 환경에 적응하므로 항상 반드시 민족 정체성의 표지인 것은 아니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공유 문화유산’ 개념을 통해 우리는 민족의 문화유산 보호와 활성화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잠재력을 드러낸다. 실크로드의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문화를 연결하는 목표는 (1) 가치관, 지혜, 창의력을 공유하는 즐거움의 성취, (2) 문화와 민족 간 상호 이익과 공감의 양성, (3) 방대한 지역의 다채로운 문화유산의 공통점 모색이다. 센터와 국제중앙아시아학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무형문화예산 실크로드 네트워크 구축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기관과 집단의 지원과 행동이 필요하다.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위해 두 가지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유럽축제협회 경험을 활용한 자체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고, 두 번째는 신규 네트워크 청년 관리자가 참여하는 특별한 무형유산 축제아카데미 설립 준비를 위한 유럽축제협회와의 협력이다.
자한기르 세림카노프, 아제르바이잔국립음악원 국제관계학과 학과장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