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812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토마스 A. 그린 (미국 텍사스A&M 대학교 고고학부) Published Year 2020 Language English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Description | 토착무예vernacular martial arts는 무예로 분류되는 다양한 현상 중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교차문화적 관점으로 “무예는 (적에… 대한) 공격술 및 방어술과 관련된 체계적이고 방대한 지식, 믿음, 관습으로 정의 할 수 있다”(Green & Svinth, 2010). 자세히 살펴보면 이 포괄적 용어에 속 하는 행위는 규칙을 따르는 스포츠 시합의 생사를 다투는 싸움부터 표현 양식까지, 그리고 세계적인 격투스포츠부터 지역에 국한된 무예 문화까지 상당히 다양하다. 필자는 이 범주에서 마지막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를 토착무예라고 보며, 이 토착무예는 다양한 무예 표현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무형유산의 자격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구분 방식은 해당 논의에 유용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