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1005 Country Kyrgyzstan Author ICHCAP, the National Commission of the Kyrgyz Republic for UNESCO Language English Copyright Attach File

Description | ICH and society 시리즈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 편>은 무형유산 홍보 도서의 여덟 번째 시리즈로, 키르기스스탄 무형유산의 인식제고를 위해 ICHCAP과 National commission of the Kyrgyz Republic for UNESCO가 2018년부터 2019년 까지 2년에 걸쳐 진행한 공동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은 소비에트 체제의 여파로 한때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공동체의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모여 과거의 위기를 극복하고 세대를 통해 전승되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전통공예, 의례, 구전 전통 및 전통음식 등 총 6개의 주제로 구성돼 있으며. 말 사육 문화, 목초지 관리, 금속공예 등 100여종의 무형유산 종목에 대한 사진과 설명을 통해 공동체의 삶을 통해 전승되고 있는 키르기스스탄 민족의 뿌리와 정체성을 소개합니다. 이번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 편>을 통해 중앙아시아 고유의 유목 문화를 간직한 키르기스스탄의 풍부하고, 다양한, 창의적인 무형유산들을 살펴보기를 바랍니다.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Article
-
DI00000181
키르기스스탄의 목록작성 활동
공식 명칭이 키르기스 공화국인 키르기스스탄은 인구 약 600만 명의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작은 산악 국가다. 키르기스 공화국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키르기스 공화국은 소련이 붕괴된 이후 1991년에 독립을 쟁취하였다. 인구의 약 80%는 키르기스인이다. 나머지 20%는 러시아인, 우즈베키스탄인, 우크라이나인, 타르타르인, 타지크인, 카자흐인, 둔간족, 고려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르기스인들의 대부분은 이슬람교도이다. 키르기스 공화국은 2006년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인준함으로써 첫 번째로 협약에 가입한 중앙아시아 국가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또한 2016년까지 정부간위원회 회원국으로서 활동을 지속하게 될 것이다.
사비라 솔톤겔디에바 문화담당관, 유네스코 키르기스스탄위원회 , Sabira Soltongeldieva 2015 -
DI00000078
키르기스스탄의 중앙아시아공예지원협회정보센터
전통공예는 역사적으로 자연과 긴밀하게 접촉하며 살아온 키르기스 민족의 전통 유목문화의 일부로 정착되어 왔다. 키르기스인들의 자연환경은 수공예품을 만들어 내기 위한 재료와 영감의 무궁무진한 원천으로 간주되었다.
디나라 초춘바에바 소장, 중앙아시아공예지원협회정보센터 , Dinara Chochunbaeva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