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2003년 협약 이행 및 무형유산 보호 과제
  • Manage No DI00001210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우르트나산 노로브 (몽골 자연문화유산보호재단 이사장) , Urtnasan Norov link
    Published Year 2013
    Language Korean
    Copyright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Translated by ChatGPT
Description 모든 국가와 민족 집단의 무형유산은 지역, 환경, 경제생활 방식, 언어와 다양하고 고유한 문화역사 여건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국의 무형유산은 각각의 고유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세계 문화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을 차지한다. 몽골 국민과 몽골계 민족 집단은 전 세계 인구의 불가분한 일부분이다. 동서로 알타이 산맥에서 다싱안링 산맥, 남북으로 바이칼 호수에서 중국의 만리장성 사이에 펼쳐진 광활한 땅은 몽골인과 그들의 조상들이 유목생활을 하며 살아 온 터전이다. 다뉴브 강에서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진 거대한 유라시아 초원의 일부에 속하는 이 지역에 목축을 바탕으로 한 유목문화와 농경에 기반을 둔 정주문명이 공존해 왔다. 몽골인들은 광활한 중앙아시아에서 가축을 키우며 고유한 경제생활 방식과 생산 활동을 발전시키면서 지금 세계로부터 인정받는 유목문화와 문명을 이룩했다. 몽골인 삶의 터전인 이러한 자연 배경과 독특한 문화 공간이 몽골 무형유산과 민족 고유성을 규정한다.

Information source

Stakeholders related to

Materials related to

Book related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