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VC00000014 Country Republic of Korea Year 2020 Copyright ICHCAP

Description |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우리의 기존 생활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0년 5월 29일 현재 전 세계 233개국과 영토에서 590만 건 이상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세계인구의 3분의 1이 다양한 형태의 격리 상황을 겪고 있고, 91%의 학생들이 휴교를 경험하고 있으며, 2,50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직장을 잃을 것으로 예측된다. 코로나 19 의 유행은 고등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교육기관이 일시적으로 문을 닫고 대다수의 강의가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기존 대면 수업의 방식을 벗어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교육 과정 개발을 의미하며 애석하게도 모든 국가가 바뀐 환경을 따라갈 역량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특히 현장방문과 실습이 빈번한 문화유산 관련 과목을 가르치는 강사와 교수들은 현재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현장에 기반을 두지 않고서 문화유산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 위기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들은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코로나19 유행으로 문화유산교육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웨비나 시리즈의 두 번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 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위기 시대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모델, 교육적 설계, 학습방법 등을 모색하여 사회·문화 생활이 붕괴된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이 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접근법과 전략을 취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유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으로 그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발표 1]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의 무형유산 페다고지 (닐까말 샤파가인, 아메다바드대학 교수) [발표 2] 문화유산 교육에서 핵심 지식 요건과 실천으로서 무형유산 교육을 위한 도전과제와 기회 (크리스탈 버클리, 호주 디킨대학교 교수) [발표 3] 건축학과 학생들의 지역문화유산 이해를 위한 기록물과 서술기법 (니킬 조쉬, 국립싱가폴대학 교수) [발표 4] 문화유산과 코로나19: 새로운 형태의 회복탄력성 위한 디지털 기술 (다닐로 페체, 이탈리아 튜린폴리텍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발표 5] 코로나19 대유행 속 무형유산의 창조적인 변형과 혁신적 발전 (진 지앙보, 상하이대학교 교수)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더보기-
VI00000234
코로나19의 무형유산 보호와 전승에의 영향
코로나19 유행으로 문화유산교육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웨비나 시리즈의 두 번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 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다뤘다. 특히 위기 시대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모델, 교육적 설계, 학습방법 등을 모색하여 사회·문화 생활이 붕괴된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이 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법과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유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으로 그 논의를 확장했다. 닐까말 샤파가인은 인도 아메다바드 대학교의 문화유산관리센터의 센터장이다. 위스콘신-밀워키 대학 및 하와이 대학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닐교수는 모든 교육수준에서 문맥적 학습을 탐구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태평양무형유산고등교육네트워크(APHEN-ICH) 및 아시아유산관리아카데미(AAHM)에서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8:28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35
문화유산 교육에서 핵심 지식 요건과 실천으로서 무형유산 교육을 위한 도전과제와 기회
코로나19 유행으로 문화유산교육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웨비나 시리즈의 두 번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 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다뤘다. 특히 위기 시대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모델, 교육적 설계, 학습방법 등을 모색하여 사회·문화 생활이 붕괴된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이 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법과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유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으로 그 논의를 확장했다. 크리스탈 버클리 암은 호주 디킨 대학교의 문화유산 강사로 재직 중이다. 고고학, 인류학, 공공정책 분야의 전문가로, 개인연구, 정부, 교수, 연구 분야에서 일했다. 연구 관심분야는 세계유산, 자연문화, 도시경관 연구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ICOMOS의 국제 부사장을 역임했다. ICOMOS ISC의 전문위원과, 2013년부터는 포트 아서 역사유적지 관리위원회(PAHSMA)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8:17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36
건축학과 학생들의 지역문화유산 이해를 위한 기록물과 서술기법
코로나19 유행으로 문화유산교육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웨비나 시리즈의 두 번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 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다뤘다. 특히 위기 시대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모델, 교육적 설계, 학습방법 등을 모색하여 사회·문화 생활이 붕괴된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이 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법과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유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으로 그 논의를 확장했다. 니힐 조시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US) 건축학과 수석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푸네 대학교(인도), 요크 대학교(영국),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싱가포르)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연구 관심사는 문화재 관리, 전통 건축자재와 기술, 그리고 지역사회 참여적 접근 등이다. NUS 재직 이전에는 20여 년간 영국, 인도, 말레이시아에서 일해왔으며, 현재 영국 왕립지리학회 회원으로 고대건축물보호협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 세계 여러 학회에서 활발한 강연자로 여러 출판물을 가지고 있다. 최근 출판물에는 Mahabodhi Temple at Bodhgaya: Constructing sacred placeness,deconstructing the‘great case’of 1895 (2019) 등이 있다.
21:49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39
문화유산과 코로나19: 새로운 형태의 회복탄력성 위한 디지털 기술
코로나19 유행으로 문화유산교육이 큰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웨비나 시리즈의 두 번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 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들을 다뤘다. 특히 위기 시대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모델, 교육적 설계, 학습방법 등을 모색하여 사회·문화 생활이 붕괴된 상황에서 고등교육기관이 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접근법과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유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으로 그 논의를 확장했다. 다닐로 페체는 이탈리아 Poitecnico di Torino 포닥 연구교수이자 영국 런던 카스 경영대학원의 초빙 강사이다. 연구 관심사는 주로 디지털 기술 채택으로의 조직 및 산업 차원의 변화이다.
20:03
Republic of Korea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