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VC00000034 Country Republic of Korea Year 2020 Copyright ICHCAP

Description | 웨비나: “삶, 환경, 그리고 무형유산으로 살펴본 실크로드” <1 일차> 1. '실크로드의 인간, 환경 그리고 문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로컬퓨처스 대표) 2. '지속가능발전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협력 메카니즘 구축' (박성용,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정책개발실장) 3. '실크로드 무형유산 축제의 생명력과 지속성' (알리셔 이크라모프, 국제중앙아시아학연구소 국제협력실장) 4. '실크로드 지역의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향한 예술 연행,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 (유동조, 설치미술가) ㅇ 패널 토론 온라인 전략 회의 – 1. 실크로드 지역 무형유산 활성화: 무형유산 축제와 지속가능한 발전 1. '무형유산 보호에 있어 축제의 역할 – 타지키스탄' (딜쇼드 라히미, 타지키스탄 문화부 문화정보연구소 부소장) 2. '무형유산 축제가 지역사회 미치는 영향과 효과 – 키르키즈스탄' (사비라 솔톤겔디에바, 유네스코키르기스스탄 국가위원회 사무총장) 3. '무형유산 축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 카자흐스탄' (한자다 예센노바, 전 카자흐스탄 무형유산보호국가위원회 위원장) 4. '무형유산 축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 한국' (김주호, 안동축제관광재단 축제팀장) 5. '투르크메니스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미래' (쇼하트 주마예프, 유네스코투르크메니스탄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2일 차> 온라인 전략 회의 – 2. 실크로드 지역의 무형유산 협력과 연대 1.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타당성 고찰' (김상철 교수, 한국외대) 2.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운영 관련 주요 이슈' (알림 페이줄라에프, 중앙아시아학연구소 선임연구원) 3.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을 위한 국제 경험과 노하우' (필립 보쌍트, 국제민속축전기구협의회 회장) 4. '유럽 민속 축제 협회가 배운 교훈 : 경험과 지식 공유' (칼로얀 니콜로프, 유럽민속축제협회 회장) 5. '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한 무형유산 축제의 발전 모색 – 한국' (고대영, 당진시청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학예사) ㅇ 패널 토론 온라인 전략 회의 – 3.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통한 협력사업 활성화 1.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활동의 범주와 양태 그리고 발전 가능성' (허권, 몽골국제대학교 교수) 2. '실크로드 지역의 축제 관련 협력 방안' (자한기르 세림카노프, 아제르바이잔국립음악원 국제관계학과 학과장) 3. '사례연구 : ICH Link – 온라인 무형유산 정보 플랫폼' (박상묵,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선임전문관) 4. '사례연구 : 실크로드 유산 회랑-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 이란' (크리스타 피캇, 유네스코알마티사무소 소장) 5. '유네스코 실크로드 온라인 플랫폼' (메흐라드 샤바항, 유네스코 인문사회과학분야 사업전문관) ㅇ 패널 토론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더보기-
VI00000319
1. 실크로드의 인간, 환경, 그리고 문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는 지역 공동체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함께 글로벌 금융과 시장 등의 유입으로 지역 공동체가 약화되는 위험성을 강조한다. 지역 공동체의 전통과 안정성이 사라지면서 글로벌 시장이 이를 대체하고 공동체의 가치는 저하된다. 호지는 향후 공동체의 경제적 번영이 지역 공동체 간 교역을 통한 지역화에 달려있다고 확신한다. 그녀가 말하는 소규모 운동에는 지역 차원이 아니라 전 세계에 필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부유한 지배집단은 포함되지 않는다.
16:30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8
2.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협력 메커니즘의 구축
무형유산의 중요성과 실크로드 지역의 특징,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무형유산 보호가 왜 중요한지를 설명한다. 또한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가 중앙아시아 국가와 협력하여 추진한 다양한 정보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특히 실크로드 주변국과의 협력은 실크로드 프로젝트 개발에 관한 센터의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 역할을 강화하여 실크로드 지역과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 향후 협력 강화를 위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네트워크 구축이 무형유산을 기반으로 실크로드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한 여러 이해당사자의 협력에 중요한 여정이 될 것이라 말한다.
13:24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7
3. 실크로드 무형유산 축제의 생명력과 지속성
일리셔 이크라모프는 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와 무형유산 축제 자료를 검토하면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실크로드 무형유산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지역 공동체의 중요성과 지역 축제의 대중성을 확인함에 따라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결여에 아쉬움을 느꼈으며 축제가 지역의 전통과 특산품을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러한 측면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의 상업화로 이어져서 행사의 수준이 저하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12:46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316
4. 실크로드 지역의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예술연행,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
유동조는 1979년부터 환경과 관련된 설치미술을 해온 작가로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는 물과 관련된 작품이다. 물-행위 설치 프로젝트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1년 동안 10개국의 11개 호수와 1개의 강에서 이뤄진 것으로 물이 있으면 “물”이 없고, 물이 없으면 “물”이 있다라는 공통적인 작품명 아래 큰 성공을 거둬왔다. 그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실크로드에 속한 여러 나라의 작가들과 연계하여 물-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물과 환경 문제를 재인식하는 캠페인을 추진할 것이다.
11:51
Republic of Korea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