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VC00000035 Country Republic of Korea Year 2020 Copyright ICHCAP, NIHC

Description | 2020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 인간, 자연,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세션 1: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기조발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에르네스토 오토네, 유네스코 문화사무총장보) 1. '인류세와 무형문화유산' (박범순,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소장) 2.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농업, 미크로네시아의 혼농임업' (프란시스 레그, 미크로네시아연방 야프 역사보존연구소 소장) 3. '위험에 맞서는 무형유산, 눈사태 위험관리' (마이클 브룬들, 스위스 눈과 눈사태 연구를 위한 WSL 연구소 책임연구원) 4. '생태 인문학 속의 무형유산- 태평양 지역의 토착민 문화를 중심으로' (엘리자베스 들러그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UCLA) 교수) 세션 2: 인류의 위기극복과 무형문화유산 특별강연: '인류의 미래와 생태적 전환, 그리고 무형문화유산의 역할'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前 유엔생물다양성협약 의장) 1.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무형문화유산 – 토착전통지식체계를 중심으로' (치디 오구아마남, 캐나다 오타와대학 교수, ABS Canada 센터장) 2. '무형문화유산으로 보는 인도의 재해저감관리 사례' (라훌 고스와미,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퍼실리테이터) 3.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바다윤리 : 일본, 호주, 미국의 전통어업 사례를 중심으로' (쿠미 카토, 일본 와카야마대학교 교수) 4. '해안 생태계 복원력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 동티모르 지역주민의 문화양식 사례를 중심으로' (시니키네쉬 베이옌 짐마, 유엔환경계획 지역조정관) 세션 3: 일상 속의 무형문화유산, 새로운 시대를 향하여 특별강연: '무형문화유산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동체의 과제' (마이클 메이슨, 스미스소니언연구소 민속생활문화유산센터장) 1.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그레고리 미첼 퍼시픽 블루 재단 대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UCSD) 명예교수) 2. '자연과 무형문화유산, 그리고 법' (아니타 바이바드, 라트비아 문화교육원 교수) 3. '코로나 시대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의 역할' (에릭 제루도, 필리핀 산토토마스대학교 교수) 4. '우리, 다함께 무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문화유산청년네트워크)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더보기-
VI00000255
기조발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진흥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신종 바이러스 대확산이라는 혼란 속 무형문화유산의 현황과 보호 사례를 탐색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의해나가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비전을 제시한다.
10:15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56
세션 1) 발표 1: 인류세와 무형문화유산
인간의 활동이 지구 활동이나 지구 역사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시대를 뜻하는 인류세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과학자들의 담론을 넘어 우리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문제, 그리고 질병. 지구가 인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의 미래와 가능성을 논의한다.
17:54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57
세션 1) 발표 2: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농업, 미크로네시아의 혼농임업
1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혼농임업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에서 주로 사용된 전통 농경 지식으로 홍수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숲의 토양을 안정화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이다. 혼농임업으로 자연과 공존하는 미크로네시아의 지속가능농업 사례를 제시한다.
14:55
Republic of Korea 2020 -
VI00000258
세션 1) 발표 3: 위험에 맞서는 무형유산, 눈사태 위험관리
201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눈사태 위험관리는 알프스산맥 주민들의 정체성이며 지역공동체의 주요 관심사다. 수 세기에 걸쳐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위험에 대비하는 알프스산맥 주민들의 자연재해관리 방식을 고찰한다.
17:27
Republic of Korea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