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네시아 코스라에 무형유산: 전통 항해술, 카누 제작 및 경주
Translated by ChatGPT
Description 먼 옛날 캐롤라인제도의 일부 섬에서는 카차우(Kachau)가 코스라에를 의미했고, 때로는 동쪽 방향을 뜻하기도 했다. 이 의미는 현재까지도 캐롤라인제도 전역에 그대로 남아 있다. 오늘날 중부 캐롤라인 산호도의 섬사람들은 자신들의 조상의 흔적을 코스라에에서 찾는다. 코스라에인들은 마셜제도는 물론 서쪽으로는 최대 사타왈(Satawal)까지 항해했다고 전해진다. 이때 항해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으며, 그들은 삶의 다방면에 관해 풍부한 지식을 보유해야 했다. 항로를 정할 때는 달과 별을 참조했다. 카누 건조자를 가리키는 표현은 므웨트 오레크 오아크(mwet orek oak, 두 형태소 중 ‘오레크’는 작업을, ‘오아크’는 카누를 뜻한다)이다. 이전 시대에 그들은 장인 계층으로서 가족 간에 기술을 전수했으며, 각자가 자기 소유의 카누를 만들었다. 코스라에에서 카누 건조 초창기에는 아세트(asset, 카누의 측면을 붙이기 위한 천연 뱃밥이나 접착제로 쓸 수 있는 나무종)를 구멍을 막는 용도로 사용했으며, 모스(mos, 빵나무 열매) 수액은 나무조각을 붙이는 접착제로 썼다. 이때 모스 수액에는 카누를 조각하면서 나온 나무 부스러기를 섞어서 사용했다. 또한 라프(lap)라 불리는 적색토를 아세트와 섞어 카누에 칠을 하는 데 사용했다. 코스라에섬 곳곳에 적색토가 있지만 카누에 쓰이는 라프는 우퉤(Utwe)에서만 난다. 벌채목 몸통을 끌어당길 때는 대개 특별한 노동요를 불렀다. 이러한 노동요는 지금도 코스라에에 남아 있으며 특히 중노동을 할 때 불린다. 카누 건조가 끝나면 므웨트 셀러(mwet seluh)와 그를 보조한 일꾼들을 위한 특별한 잔치가 열린다. 세월이 흐르면서 수송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암초지대 밖에서는 카누 이용 빈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카누는 대중적인 인기 스포츠인 카누 시합의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여전히 코스라에인들에게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 있다. 카누 시합은 일본의 위임통치로부터 해방된 후에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해방을 축하하는 기념행사가 되었다.
Manage No VI00000214 Running Time 22:07
Country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ICH Domain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nature and the universe, Traditional craft skills
Videos Photographer Year 2020
Place File Size
Definition HD Color File Format mp4
Copyright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코스라에 역사보존국 -

Information source

Elements related to

Materials related to

Photos
Collection(Video) related to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