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 무형문화유산에 국경은 없지만 이들은 사람, 거주지, 그리고 풍습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유권과 주권이 있다(Le Thi Minh Ly 2020). 이런 이유로 저명한 프랑스 사회인류학자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1912)은 호주 부족의 종교적 생활에 관한 저서에서 축제에 관한 연구가 민족의 사회생활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마도 축제를 ‘원시사회’의 생활에서 중요한 사회적 행사로 개념화한 첫 번째 학자였을 것이다. 고래숭배(Cau ngu)축제는 연안 어업 마을의 전통적인 문화적 공간과 관습은 물론 전통의식, 놀이, 어민들의 지식을 재현한다. 또한 이 축제는 바다와의 조화로운 삶이라는 오랜 철학과 바다에 관한 영적 믿음, 그리고 미묘한 문화적 차이가 지역민들의 삶에서 보존되고 알려지길 바라는 사람들의 염원을 보여준다. | ||
---|---|---|---|
Manage No | VI00000290 | Running Time | 12:46 |
Country | Republic of Korea | ||
Videos Photographer | 르 퐁 따오, 베트남 국립민족학박물관, 베트남 사회과학원 | Year | 2020-10-29 |
Place | File Size | ||
Definition | File Format | ||
Copyright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Collection(Video) related to
Article
-
DI00000830
해양문화의 가치 보존 및 지역사회 화합 촉진: 탄 호아 지역 고래숭배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문화유산에 국경은 없지만 이들은 사람, 거주지, 그리고 풍습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유권과 주권이 있다(Le Thi Minh Ly 2020). 이런 이유로 저명한 프랑스 사회인류학자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1912)은 호주 부족의 종교적 생활에 관한 저서에서 축제에 관한 연구가 민족의 사회생활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마도 축제를 ‘원시사회’의 생활에서 중요한 사회적 행사로 개념화한 첫 번째 학자였을 것이다. 고래숭배(Cau ngu)축제는 연안 어업 마을의 전통적인 문화적 공간과 관습은 물론 전통의식, 놀이, 어민들의 지식을 재현한다. 또한 이 축제는 바다와의 조화로운 삶이라는 오랜 철학과 바다에 관한 영적 믿음, 그리고 미묘한 문화적 차이가 지역민들의 삶에서 보존되고 알려지길 바라는 사람들의 염원을 보여준다.
르 퐁 따오 연구원, 베트남 국립민족학박물관 2020 -
DI00000605
어촌 공동체의 꺼우응으 축제: 현대 생활의 전통적 믿음
응으록(Ngư Lộc)은 베트남 중북부 타인호아성 하우록현 연안의 다섯사(社) 중 하나이다. 이곳은 베트남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한 지역으로 주요 생계 수단은 전통 낚시와 해산물 가공업이다. 주민들의 일상생활은 독특한 꺼우응으(cầu ngư) 축제를 통해 오랫동안 유지해온 연안 지역의 관습 및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 꺼우는 ‘숭배’를, 응으는 ‘신성한 고래’를 뜻하는데 어부들은 해신들이 지배하는 바다에서 언제나 신성한 고래가 위험에 처한 인간을 구해줄 것이라고 믿었다. 고래 사원과 꺼우응으 축제는 신성한 고래와 해신에 대한 어부의 공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평화롭고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는 꺼우응으 축제는 베트남 어촌 공동체에서 가장 큰 축제로, 수많은 문화적 가치가 융합되어 공동체의 신앙 활동과 민속 축제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꺼우응으 축제는 후기 레 왕조(1428-1789) 때 마을이 생긴 이후로 열리기 시작하여 여러 세대를 거쳐 전해지며 보존되었다.
레프엉타오, 베트남민족인류학자협회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