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 네팔의 민속무용_가투 나크(Ghatu Naach) 연행자: 미상 녹음연도: 1994년 카스트: 아르야 카스 수집가: 람 프라사드 카델(Ram Prasad Kadel) 네팔의 공동체 사람들은 다양한 민속무용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사실 민속무용은 시골 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의 노래와 춤에서는 종교적 영향도 쉽게 발견되는데, 주로 인간과 가축의 행복 및 순조로운 날씨와 풍작에 관여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춘다. 네팔은 매우 다양한 지형적 특징만큼 문화적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민요와 민속무용은 문화와 카스트, 계절,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른 네팔의 민속무용 모습을 보인다. 일례로 히말라야 지역에 사는 셰르파는 테라이 지역에 사는 타루 족과 서로 다른 노래와 춤을 즐긴다. 마찬가지로 봄의 노래와 춤은 기쁨을 표현하지만 겨울의 노래와 춤은 슬픔을 표현한다. 본 DVD에서는 네팔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토착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그리고 일상적으로 연행되는 민속무용들을 소개한다. 네팔 치트완 지역에 있는 카빌라스 마을에서 펼쳐진 가투 나크 공연이다. 가투 나크는 네팔 서부의 구룽 족이 추는 춤으로, 찬디 푸르니마 축제에서 가투사리(ghatusari)라고 하는 어린소녀들에 의해 연행된다. 두르가 여신의 현현 가운데 하나인 찬디 여신을 숭배하는 춤이기도 하다. 가투구루(ghatuguru)라고 하는 남성 사제가 여신에게 숭배를 올리고 나서 노래를 시작한다. 이후 가투사리는 눈을 감은 채 춤을 추기 시작하여 몽환적인 상태에 빠져든다. | ||
---|---|---|---|
Manage No | VI00000583 | Running Time | 08'33" |
Country | Nepal | ||
ICH Domain | Performing Arts, Social practices, rituals, festive events | ||
Videos Photographer | 람 프라사드 카델 | Year | 1994 |
Place | 네팔 | File Size | N/A |
Definition | N/A | File Format | N/A |
Copyright | 네팔음악박물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
![]() |
Information source
Materials related to
Videos
-
VI00000582
네팔의 민속무용_무샤르 나크(Mushar Naach)
네팔의 민속무용_무샤르 나크(Mushar Naach) 연행자: 찬드라 바하두르 마하라, 찬드라 하자라, 조슈 람, 바잔 파스완, 마항가 파스완 카스트: 무샤르 녹음연도: 1998년 수집가: 단 바하두르 네팔리(Dan Bahadur Nepali) 네팔의 공동체 사람들은 다양한 민속무용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사실 민속무용은 시골 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의 노래와 춤에서는 종교적 영향도 쉽게 발견되는데, 주로 인간과 가축의 행복 및 순조로운 날씨와 풍작에 관여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춘다. 네팔은 매우 다양한 지형적 특징만큼 문화적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민요와 민속무용은 문화와 카스트, 계절,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른 네팔의 민속무용 모습을 보인다. 일례로 히말라야 지역에 사는 셰르파는 테라이 지역에 사는 타루 족과 서로 다른 노래와 춤을 즐긴다. 마찬가지로 봄의 노래와 춤은 기쁨을 표현하지만 겨울의 노래와 춤은 슬픔을 표현한다. 본 DVD에서는 네팔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토착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그리고 일상적으로 연행되는 민속무용들을 소개한다. 무샤르는 네팔 테라이 지역의 여러 지구(삽타리, 시라하, 우다이푸르, 다누사, 자나크푸르, 모랑, 사를라히, 말랑와, 마호타리, 가우르, 라우타하트, 순사리)에 거주하는 독특한 카스트 계급이다. 무샤르는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네트와(Netwa)는 여러 축제에서 가장 널리 연행되는 춤이다. 무샤르 춤은 전통 의상을 입은 무용가들에 의해 연행된다. 축제와 출생, 결혼식, 다샤인 축제의 아홉 번째 날 등 여러 자리에서 볼 수 있다. 다섯 명의 남성 무용가들이 그룹을 이루며, 리더가 율동을 개시한다. 서사시, 신에 관한 이야기, 지구의 기원, 삶과 가족의 대소사가 노래의 주요 주제로 등장한다. 노래는 솔로 또는 듀엣으로 연창한다. 이 춤은 현재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08'05"
Nepal 1998 -
VI00000579
네팔의 민속무용_데우다 나크(Deuda Naach)
네팔의 민속무용_데우다 나크(Deuda Naach) 연행자: 미상 녹음연도: 1995년 카스트: 다마이 수집가: 단 바하두르 네팔리(Dan Bahadur Nepali) 네팔의 공동체 사람들은 다양한 민속무용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사실 민속무용은 시골 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의 노래와 춤에서는 종교적 영향도 쉽게 발견되는데, 주로 인간과 가축의 행복 및 순조로운 날씨와 풍작에 관여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춘다. 네팔은 매우 다양한 지형적 특징만큼 문화적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민요와 민속무용은 문화와 카스트, 계절,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른 네팔의 민속무용 모습을 보인다. 일례로 히말라야 지역에 사는 셰르파는 테라이 지역에 사는 타루 족과 서로 다른 노래와 춤을 즐긴다. 마찬가지로 봄의 노래와 춤은 기쁨을 표현하지만 겨울의 노래와 춤은 슬픔을 표현한다. 본 DVD에서는 네팔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토착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그리고 일상적으로 연행되는 민속무용들을 소개한다 네팔 중서부 칼리콧 지역의 예술가들이 연행한 데우다 나크 공연이다. 데우다 춤은 남녀 개인 또는 남녀 그룹을 이룬 무용가들이 연행한다. 모내기, 벼수확, 축제, 결혼식 등 다양한 의식에서 볼 수 있다. 그룹의 리더가 노래를 시작하면 다른 멤버들이 이를 따라 부르며 원을 이루어 춤을 춘다.
08'31"
Nepal 1995 -
VI00000580
네팔의 민속무용_카미 나크(Kami Nach)
네팔의 민속무용_카미 나크(Kami Nach) 연행자: 미상 녹음연도: 1991년 카스트: 카미 수집가: 단 바하두르 네팔리(Dan Bahadur Nepali) 네팔의 공동체 사람들은 다양한 민속무용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사실 민속무용은 시골 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의 노래와 춤에서는 종교적 영향도 쉽게 발견되는데, 주로 인간과 가축의 행복 및 순조로운 날씨와 풍작에 관여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춘다. 네팔은 매우 다양한 지형적 특징만큼 문화적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민요와 민속무용은 문화와 카스트, 계절,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른 네팔의 민속무용 모습을 보인다. 일례로 히말라야 지역에 사는 셰르파는 테라이 지역에 사는 타루 족과 서로 다른 노래와 춤을 즐긴다. 마찬가지로 봄의 노래와 춤은 기쁨을 표현하지만 겨울의 노래와 춤은 슬픔을 표현한다. 본 DVD에서는 네팔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토착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그리고 일상적으로 연행되는 민속무용들을 소개한다. 카미 나크는 줌라 지역의 전통적인 칼방패춤이다. 줌라의 발리 왕(King Bali, 1461년 즉위)의 군장이었던 유명한 카미 계급 출신의 푸리찬드라 티루와 카미(Purichandra Tiruwa Kami)를 기리는 춤이다. 장례식을 제외하고 출생과 결혼과 같은 여러 중요한 대소사에서 연행된다. 비슈워카르마(bishwokarma)라고도 알려진 카미 계급민들은 무기와 도구를 만드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고대 시대에는 전사들이 전쟁을 대비하며 이 춤을 추었다. 이 춤의 연행가들은 전쟁에서 싸우는 군인의 다양한 자세를 묘사한다.
07'55"
Nepal 1991 -
VI00000581
네팔의 민속무용_팡두레 나크(Pangdhure Naach)
네팔의 민속무용_팡두레 나크(Pangdhure Naach) 연행자: 미상 녹음연도: 1993년 카스트: 마지 수집가: 람 프라사드 카델(Ram Prasad Kadel) 네팔의 공동체 사람들은 다양한 민속무용을 통해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한다. 사실 민속무용은 시골 생활에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의 노래와 춤에서는 종교적 영향도 쉽게 발견되는데, 주로 인간과 가축의 행복 및 순조로운 날씨와 풍작에 관여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춘다. 네팔은 매우 다양한 지형적 특징만큼 문화적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민요와 민속무용은 문화와 카스트, 계절, 지형적 특징에 따라 다른 네팔의 민속무용 모습을 보인다. 일례로 히말라야 지역에 사는 셰르파는 테라이 지역에 사는 타루 족과 서로 다른 노래와 춤을 즐긴다. 마찬가지로 봄의 노래와 춤은 기쁨을 표현하지만 겨울의 노래와 춤은 슬픔을 표현한다. 본 DVD에서는 네팔의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토착 공동체에서 가장 널리, 그리고 일상적으로 연행되는 민속무용들을 소개한다. 팡두레 나크는 네팔 치트완 지역의 쿠말 공동체에서 10월에 연행되는 춤이다. 팡두레는 마루니(Maruni)춤이라고도 하며, 무용가들은 크리슈나신과 사라스와티 여신의 영광과 전설을 재현한다. 남성 무용가가 여장을 하고 여신이 깃든 역할을 한다. 이 춤을 추기 전부터 끝난 후까지 특별한 의식이 진행되며, 마달로 의식의 음악을 연주한다. 춤이 시작되기 전에 공연 장소는 악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철저히 한다. 팡두레 춤은 전통적인 동작들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즉흥적으로 펼쳐지는 부분도 많다. 무용가는 마을 사람들의 집을 방문하여 축복을 내려준다.
11'22"
Nepal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