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age No DI00000078 Country Republic of Korea Author 디나라 초춘바에바 소장, 중앙아시아공예지원협회정보센터 , Dinara Chochunbaeva Published Year 2011 Language Korean Copyright Attach File View (KOR)

Description | 전통공예는 역사적으로 자연과 긴밀하게 접촉하며 살아온 키르기스 민족의 전통 유목문화의 일부로 정착되어 왔다. 키르기스인들의 자연환경은 수공예품을 만들어 내기 위한 재료와 영감의 무궁무진한 원천으로 간주되었다. |
---|
Information source
Elements related to
Stakeholders related to
Materials related to
Photos
더보기Article
-
DI00001005
1. 전통공예
ICH and society 시리즈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 편>은 무형유산 홍보 도서의 여덟 번째 시리즈로, 키르기스스탄 무형유산의 인식제고를 위해 ICHCAP과 National commission of the Kyrgyz Republic for UNESCO가 2018년부터 2019년 까지 2년에 걸쳐 진행한 공동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은 소비에트 체제의 여파로 한때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공동체의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모여 과거의 위기를 극복하고 세대를 통해 전승되고 있습니다. 본 도서는 전통공예, 의례, 구전 전통 및 전통음식 등 총 6개의 주제로 구성돼 있으며. 말 사육 문화, 목초지 관리, 금속공예 등 100여종의 무형유산 종목에 대한 사진과 설명을 통해 공동체의 삶을 통해 전승되고 있는 키르기스스탄 민족의 뿌리와 정체성을 소개합니다. 이번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 편>을 통해 중앙아시아 고유의 유목 문화를 간직한 키르기스스탄의 풍부하고, 다양한, 창의적인 무형유산들을 살펴보기를 바랍니다.
ICHCAP, the National Commission of the Kyrgyz Republic for UNESCO -
DI00000964
02 Fostering Cultural Dialogue in Central Asia : Central Asian Crafts Support Association's Resource Centre in Kyrgyzstan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아태지역 NGO들의 무형유산 보호 활동을 소개하는 사례집을 발간하였다. 해당 도서는 무형유산 분야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NGO들의 활동 사례 정보 보급과 교류 활성화를 위한 ‘아태지역 NGO 무형유산 보호 사례조사 및 도서발간 사업(프로젝트 PINA)’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 몽골, 니우에및 필리핀 NGO의 무형유산 보호 활동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Isekender Osmoev 2016